자궁선근증의 임상관리지침

 1  자궁선근증의 임상관리지침-1
 2  자궁선근증의 임상관리지침-2
 3  자궁선근증의 임상관리지침-3
 4  자궁선근증의 임상관리지침-4
 5  자궁선근증의 임상관리지침-5
 6  자궁선근증의 임상관리지침-6
 7  자궁선근증의 임상관리지침-7
 8  자궁선근증의 임상관리지침-8
 9  자궁선근증의 임상관리지침-9
 10  자궁선근증의 임상관리지침-1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자궁선근증의 임상관리지침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정의와 원인 및 기전


2. 발생 빈도

3. 증상 및 징후

4. 병리조직학적 소견

5. 진단

6. 감별진단

7. 동반질환

8. 치료

1) 양방적 치료

# 자궁선근증의 호르몬 치료에 대한 최신 논문

2) 한방적 치료

① 약물요법

② 자침요법

③ 뜸

④ IR

⑤ 좌훈요법

Ⅲ. 고찰

Ⅳ. 결론

Ⅴ. 참고문헌


본문내용

2. 발생 빈도

자궁선근증의 발생 빈도는 외국의 조사 결과로는 Moliter5)는 8.8%, Bird6)는 61.6%, Vavilis 등7)은 19.5%로 보고하고 있고, 국내의 경우에 윤 등8)은 18.3%, 김 등9)은 22.5%, 정10)은 6.8% 등으로 보고하고 있어, 6.8%에서 61.6%까지 상당한 차이를 보인다. 이는 진단기준이 일치하지 않은 이유도 있겠고, 이 질환을 찾기 위한 병리의사들의 노력과도 관련이 있다고 한다8).

자궁선근증의 호발 연령은 국외의 Bird 등6)이 45.5세로 보고하고 있으며, 국내의 보고로서 이 등11)은 42.6세, 최 등12)은 46.3세, 윤 등8)은 46.9세, 이 등13)은 40-49세가 47.7%를 나타내는 것으로 나타나 국내외의 보고간에 큰 차이는 없었다. 또한 분만 횟수별 빈도를 보면 경산부가 차지하는 비율을 Moliter5)가 93.6%, 정 등10) 76.9%, 윤 등8)이 91.7%로 보고하였다. 즉, 자궁선근증의 발생 연령은 40~49세의 연령이나 폐경기 전후에 가장 흔히 나타나며 그 비율은 경산부가 비경산부보다 월등히 많다.


3. 증상 및 징후

자궁선근증의 징후로는, 자궁이 커져 있고 월경때 촉지시 압통을 느낀다. 자궁의 운동성은 제한이 되어있지 않으며 특별히 연관된 자궁부속기의 병변은 없다는 것을 들 수 있다.

자궁선근증의 임상증상으로는, 기능장애성 자궁출혈, 속발성 월경통이 있으며 내진 소견상 크고 동통이 수반된 자궁을 촉지할 수 있다. 성교통, 만성골반통 등이 있으며, 무증상인 경우도 의외로 많다. 기능장애성 자궁출혈 중 월경과다는 약 2/3에서 볼 수 있으며 빈발월경(metrorrhagia)은 다소 그 빈도가 떨어진다. 월경시 출혈의 양이 많은 이유는 커진 자궁강 내의 자궁내막의 양적 증가와 프로스타그란딘의 역할 및 고에스트로겐 혈증과 연관이 있다. 월경곤란증은 프로스타그란딘과 연관이 있는 것으로 생각되는데, 통증이 상상을 초월할 정도로 심하고 월경 시작 1주일 전에 시작하여 월경이 끝난 후까지 지속 될 수 있다. 또한 빈
참고문헌
1) 양승부, 최진수: 자궁선근증의 방사선학적 진단: 경질초음파의 유용성과 유용한 소견. 순청향의대논문집 제9권 제1호: 51-55, 2003
2) Cullen TS: The distribution of adenomyoma containing uterine mucosa. Arch Surg 80:170-178, 1992
3) Entman SS: Uterine leiomyoma and adenomyosis. In Jones HW, Wentz AC, Burnett LS: Novak's textbook of gynecology. 11th ed. Williams and Wilkins, Baltimore: 450-453, 1988
4) 대한산부인과학회: 부인과학. 제3판. 도서출판 칼빈서적. 서울:183-189, 1997
5) Moliter JJ: Adenomyosis; A clinical and pathological appraisal. Am J Obstet Gynecol 110: 275-284, 1971
6) Bird CC, McElin TW, Manalo-Estrella P: The elusive adenomyosis of the uterus revisited. Am J Obstet Gynecol 112: 583-593, 1972
7) Vavili D, Agorastos T, Tzafetas J, Loufopulous A, Vakiani M, Constantidis T, et al.: Adenomyosis at hysterectomy: prevalence and relationship to operative findings and reproductive and menstrual factors. Clin Exp Obstet Gynecol 24: 36-38, 1997
8) 윤용복, 박상욱, 유윤환, 김남수, 황익하, 김두표: 자궁절제술 후 확인된 자궁선근증의 임상적 고찰. 대한산부인과학회지 42: 1690-1694, 1999.
9) 김영선, 김성미, 호삼수: 자궁선근증에 대한 임상적 고찰. 대한산부인과학회지 30: 528-532, 1987
10) 정학영: 자궁선근증에 대한 임상 및 병리학적 관찰. 대한산부인과학회지 17: 141-146, 1974
11) 이우영, 허필영, 이창석, 최인호, 김수평: 자궁선근증에 대한 임상적 고찰. 대한산부인과학회지 23: 687-694, 1980
12) 최욱환, 이규섭, 김원희: 자궁선근증에 대한 임상적 고찰. 대한산부인과학회지 24: 779-786, 1981
13) 이경수, 권재등, 정재훈: 자궁선근증에 대한 임상적 고찰. 대한산부인과학회지 29: 396-402, 1986
14) 송미진, 김혜선, 이명숙, 조헌자, 이영호. 미만성 자궁선근증: 경질초음파 소견과 병리조직 소견과의 비교. 대한초음파학회지 18:99-103, 19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