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문학사] 1960년대 시, 소설(1960년대 문학)

 1  [현대문학사] 1960년대 시, 소설(1960년대 문학)-1
 2  [현대문학사] 1960년대 시, 소설(1960년대 문학)-2
 3  [현대문학사] 1960년대 시, 소설(1960년대 문학)-3
 4  [현대문학사] 1960년대 시, 소설(1960년대 문학)-4
 5  [현대문학사] 1960년대 시, 소설(1960년대 문학)-5
 6  [현대문학사] 1960년대 시, 소설(1960년대 문학)-6
 7  [현대문학사] 1960년대 시, 소설(1960년대 문학)-7
 8  [현대문학사] 1960년대 시, 소설(1960년대 문학)-8
 9  [현대문학사] 1960년대 시, 소설(1960년대 문학)-9
 10  [현대문학사] 1960년대 시, 소설(1960년대 문학)-10
 11  [현대문학사] 1960년대 시, 소설(1960년대 문학)-11
 12  [현대문학사] 1960년대 시, 소설(1960년대 문학)-12
 13  [현대문학사] 1960년대 시, 소설(1960년대 문학)-13
 14  [현대문학사] 1960년대 시, 소설(1960년대 문학)-14
 15  [현대문학사] 1960년대 시, 소설(1960년대 문학)-15
 16  [현대문학사] 1960년대 시, 소설(1960년대 문학)-16
 17  [현대문학사] 1960년대 시, 소설(1960년대 문학)-17
 18  [현대문학사] 1960년대 시, 소설(1960년대 문학)-18
 19  [현대문학사] 1960년대 시, 소설(1960년대 문학)-19
 20  [현대문학사] 1960년대 시, 소설(1960년대 문학)-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현대문학사] 1960년대 시, 소설(1960년대 문학)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들어가며

Ⅱ. 시대적 배경

Ⅲ. 1960년대 시문학
1. 개 관
2. 특 징
3. 60년대 시의 흐름과 작품 분석
(1) 사회의 구조적 모순과 부조리에 대응하는 사회시의 추구
(2) 시의 원형질로서의 생명 또는 서정에 대한 탐구
(3) 예술로서의 시에 대한 언어적인 천착
4. 60년대 시의 의의와 한계점

Ⅳ. 1960년대 소설문학
1. 개 관
2. 특 징
3. 60년대 소설의 흐름과 작품 분석
(1) 관념적 현실 인식과 성찰적 글쓰기
(2) 도시적 삶의 포착과 낭만적 서정의 세계
(3) 소외된 삶의 투시와 민중적 상상력의 활기
4. 60년대 소설의 의의와 한계점

Ⅴ . 맺으며

참고 문헌

본문내용
◎ 서정주

서정주는 1915 전북 고창에서 태어났으며 중앙 불교 전문 강원에서 수학했다. 1936년 동아일보 신춘문예에 시 [벽]이 당선된 후 동인지 『시인부락』을 주재하면서 본격적인 시작활동을 하게 되었다. 시집『화사집』,『귀촉도』,『신라초』,『동천』,『미당 서정주 신선집』등이 있다. 초기에는 강렬한 생명력을 추구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1960년대 이후 동양적 전통의 신비주의 경향에 경도되었다.

내 마음속 우리 님의 고운 눈썹을
즈믄 밤의 꿈으로 맑게 씼어서
하늘에다 옮기어 심어놨더니
동지섣달 나는 매서운 새가
그걸 알고 시늉하며 비끼어 가네 < 冬天 > - 『현대문학』 1966년 5월호

3음보 율조의 5행 한 문장으로 된 이 시는 짧은 형식 속에 인간의 본질과 의미라는 무게 있는 주제를 다루고 있다. 일체의 설명을 배제하고 고도의 상징적 수법을 구사함으로써 강렬한 언어적 긴장을 이루고 있는 차원 높은 시가 되었다. 싸늘하면서도 유리같이 투명한 겨울 밤하늘 '동천(冬天)'에 초승달이 떠 있고, 그 한 켠에 한 마리 '매서운 새'가 날고 있는 것이 이 시의 전부이다.
그렇다면, 동지섣달의 밤하늘을 날며 '시늉하며 비끼어 가'는 '매서운 새'는 무엇을 뜻하는 것일까? 초승달은 화자가 염원하는 동경과 구도의 상징물로서, 그가 추구하는 어떤 절대적 가치를 '임'(절대적 대상) → '초승달'(미완성의 상태) → '만월'(완전한 영원의 세계)의 순서로 전개시키고 있다. 그러므로 '매서운 새'는 '만월'인 영원의 세계를 동경하는 인간을 상징한다고 할 수 있다. 이 '매서운 새'가 현실 세계인 '동천'에 존재하며 끈질기게 영원의 세계인 '만월'에 접근하려고 노력하지만, 결국은 '시늉하며 비끼어'가는 한계에 부딪치고 말 뿐이다. 이렇게 이 시는 절제된 시어와 짧은 형식을 통해 절대적 가치에 대한 외경(畏敬)의 정신을 상징적으로 보여 주고 있다.

◎ 박재삼
참고문헌
✔ 단행본

김윤식․김우종외 34인, 『한국 현대 문학사』2002
김혜니 『한국 현대시문학사연구』, 국학자료원, 2002
권영민, 『한국현대문학사』, 민음사, 1994
권영민, 『한국문학 50년』, 문학사상사, 1995
허혜정,『60년대 동인들의 시운동과 시사적 위치 현대시학』,1996
문혜원,『한국 현대시와 전통』, 태학사, 2003, p.109
임영봉,『한국 현대문학 비평사론』 도서출판 역락, 2000
채호석, 『청소년을 위한 한국현대문학사』, 두리미디어, 2009
홍정선, , 『논문으로 읽는 문학사2』, 소명출판, 2008
김수영, 「실험적인 문학과 정치적 자유」, 1968, 『김수영 전집 2-산문』, 민음사, 1981
최인훈, 「‘광장’의 주인공 이명준에 대한 생각」, 『작가세계』, 1990
최인훈, 「‘광장’ 1961년판 서문」, 『작가세계』, 1990
김승옥, 「무진기행」, 『한국 현대 문학 전집 44』, 삼성출판사, 1981
장석주, 「20세기 한국 문학의 탐험」, 시공사, 2000
유종호 외, 「한국 현대문학 50년」, 민음사, 1995
윤병로, 「새 세대의 충격과 60년대 소설」, 『한국현대문학사』, 현대문학, 1995
문학사와 비평 연구회, 「1960년대 문학연구」, 예하 도서출판, 1993
「20세기 한국소설 길라잡이」, 『창작과 비평』, 2005

✔ 학위 논문

김민수, 「1960년대 소설의 미적 근대성 연구」, 중앙대학교 문예창작학과 문학이론전공 박사논문, 1999
권오현, 「1960년대 소설의 현실 변형 방법 연구」,계명대학교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박사 논문, 1997
김성천, 「김승옥 단편소설의 서사담론 연구」, 전남대학교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석사논문, 2002
박필현, 「1960년대 소설의 탈식민주의적 양상 연구」,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박사논문, 2004

✔ 인터넷 사이트

http://100.naver.com
http://cafe.naver.com/essayclass
http://www.seelotus.com/gojeon/bi-munhak/munhak-text-data/60%B3%E2%B4%EB%BD%C3%B9%AE%C7%D0%B0%B3%B0%FC.ht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