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문학사] 1910년대의 문학

 1  [현대문학사] 1910년대의 문학-1
 2  [현대문학사] 1910년대의 문학-2
 3  [현대문학사] 1910년대의 문학-3
 4  [현대문학사] 1910년대의 문학-4
 5  [현대문학사] 1910년대의 문학-5
 6  [현대문학사] 1910년대의 문학-6
 7  [현대문학사] 1910년대의 문학-7
 8  [현대문학사] 1910년대의 문학-8
 9  [현대문학사] 1910년대의 문학-9
 10  [현대문학사] 1910년대의 문학-10
 11  [현대문학사] 1910년대의 문학-11
 12  [현대문학사] 1910년대의 문학-12
 13  [현대문학사] 1910년대의 문학-13
 14  [현대문학사] 1910년대의 문학-14
 15  [현대문학사] 1910년대의 문학-15
 16  [현대문학사] 1910년대의 문학-16
 17  [현대문학사] 1910년대의 문학-17
 18  [현대문학사] 1910년대의 문학-18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현대문학사] 1910년대의 문학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근대의 정의
1) 근대의 정의
2) 근대문학의 태동배경
3) 주요 문학 발표지
2. 1910년대의 시
1) 주요 시 연보
2) 시사
3) 주요 작가 작품소개
-최남선, 김억, 황석우, 주요한,
최승구, 김여제, 현상윤
4) 의의
3. 1910년대의 소설
1) 주요 소설 연보
2) 소설사
3) 주요 작가 작품 소개
-현상윤, 양건식, 신채호, 이광수
백대진, 김동인, 전영택
4) 의의
Ⅲ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 주요한
1900년 평안남도 평양에서 출생했다. 토우쿄우 제일고등학교, 상하이의 호강대학 이과 졸업하고, 토우쿄우 유학생들이 간행한 한국최초의 동인지 『창조』(1919~1921)동인으로 활동했다.
불놀이- 주요한
아아 날이 저믄다. 서편하늘에, 외로운 강물 우에, 스러저 가는 분홍빗 놀...... 아아 해가 저믈면, 해가 저믈면, 날마다 살구나무 그늘에 혼자 우는 밤이 또 오것마는, 오늘은 사월이라 패일날, 큰길을 물밀어가는 사람소리는 듯기만 하여도 흥성시러운 거슬, 왜 나만 혼자 가슴에 눈물을 참을 수 업는고?







1919년《불놀이》는 격정적 어조와 직설적이고 감상적인 문체가 자유분방한 리듬을 형성하여 재래시의 정형성을 과감히 벗어나, 근대시가 문학의 새로운 영역을 개척한 것으로 평가된다. 대담한 상징적 표현, 내면 의식의 표출, 순수한 우리말의 사용, 계몽 의식 배제 등의 미의식의 표현이 이 시를 최초의 근대시로 평가받게 하는 주요 요인이다.
삶과 죽음이라는 대립된 욕구 사이에서 갈등하는 모습이 격한 감정으로 표출됨으로써, 때로는 산만하고 지루한 느낌을 주기도 하고, 감정의 지나친 유출로 인한 감정의 허세라는 비판을 받기도 하지만, 이러한 애상적 정조는 일제 치하를 살았던 청년 주요한의 고뇌와 무관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감상적(感傷的), 영탄적 정조의 세기말적 징후는 서구 상징주의 문학의 유입과 함께 당시 젊은 지식인들에게 강한 영향을 미쳤으며, 특히 박종화, 홍사용, 이상화로 대표되는 동인의 경우 3·1 운동의 좌절로 인한 암담한 절망감과 결부되어 퇴폐적이고 애상적인 분위기는 더욱 증폭되게 되었다.

- 최승구
1892년 경기 시흥에서 출생했다. 보성전문학교를 거쳐 일본 게이오 대학[慶應大學] 예
참고문헌
김복순《1910년대 한국문학과 근대성》 소명출판 1999
김윤식 외 《한국현대문학사》 현대문학 2008
이상진 《한국 근대 작가 12인의 초상》 옛오늘 2004
정우택,《한국 근대자유시의 이념과 형성》,소명출판,2004
장도준,《한국 현대시 교육론》,국학자료원,2003
김혜니,《한국 근대시문학사 연구》,국학자료원,2002
이성우,《한국 현대시의 위상학》,역락,2007
정한모,《한국현대시문학사》,일지사,1974
정우택,《한국 근대시인의 영혼과 형식,》깊은샘,2004
근대문학100년 연구총서 편찬위원회, 『약전으로 읽는 문학사1』,소명출판, 2008
정우택, 「한국 근대시 형성과정에서 ‘개인’의 위상과 의미」
맹문제, 「『학지광』에 나타난 김여제 시의 고찰」
김영민, 「춘원 이광수 문학의 근대성 연구」, 『민족문학과 근대성』,문학과 지성사, 1995
김상태 외, , 푸른사상, 2003
조동걸, , 지식사업사, 1989
신지연, , 한국 근대 문학회, 2007
김재용 외, 한국근대민족문학사, 한길사 1993, 428~430 참조
위키백과사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