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대근무 간호사와 상시 근무 간호사의 수면장애와 피로도

 1  교대근무 간호사와 상시 근무 간호사의 수면장애와 피로도-1
 2  교대근무 간호사와 상시 근무 간호사의 수면장애와 피로도-2
 3  교대근무 간호사와 상시 근무 간호사의 수면장애와 피로도-3
 4  교대근무 간호사와 상시 근무 간호사의 수면장애와 피로도-4
 5  교대근무 간호사와 상시 근무 간호사의 수면장애와 피로도-5
 6  교대근무 간호사와 상시 근무 간호사의 수면장애와 피로도-6
 7  교대근무 간호사와 상시 근무 간호사의 수면장애와 피로도-7
 8  교대근무 간호사와 상시 근무 간호사의 수면장애와 피로도-8
 9  교대근무 간호사와 상시 근무 간호사의 수면장애와 피로도-9
 10  교대근무 간호사와 상시 근무 간호사의 수면장애와 피로도-10
 11  교대근무 간호사와 상시 근무 간호사의 수면장애와 피로도-11
 12  교대근무 간호사와 상시 근무 간호사의 수면장애와 피로도-12
 13  교대근무 간호사와 상시 근무 간호사의 수면장애와 피로도-13
 14  교대근무 간호사와 상시 근무 간호사의 수면장애와 피로도-14
 15  교대근무 간호사와 상시 근무 간호사의 수면장애와 피로도-15
 16  교대근무 간호사와 상시 근무 간호사의 수면장애와 피로도-16
 17  교대근무 간호사와 상시 근무 간호사의 수면장애와 피로도-17
 18  교대근무 간호사와 상시 근무 간호사의 수면장애와 피로도-18
 19  교대근무 간호사와 상시 근무 간호사의 수면장애와 피로도-19
 20  교대근무 간호사와 상시 근무 간호사의 수면장애와 피로도-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교대근무 간호사와 상시 근무 간호사의 수면장애와 피로도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I.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2. 연구목적
3. 용어정의
4. 연구의 제한점

II. 문헌고찰
1. 교대근무가 미치는 영향
2. 수면장애와 피로도와의 관계
3. 근무형태에 따른 수면장애와 피로도

III. 연구방법
1. 연구설계
2. 연구대상
3. 연구도구
4. 연구절차
5. 분석방법


IV. 연구결과
1. 일반적 특성
2. 교대근무간호사와 상시근무간호사의 수면장애와 피로도의 비교
3. 근무유형에 따른 수면장애 및 피로도의 상관관계
4. 근무유형 별 일반적 특성에 따른 수면장애의 차이
5. 근무유형별 일반적 특성에 따른 피로도의 차이

V. 논의


VI. 결론 및 제언
1. 결론
2. 제언

참고문헌

부록
본문내용
또한 강박증, 대인 예민성, 우울, 불안, 적대감 등과 같은 부정적인 정동에 영향을 미치며, 부적 정동이 높은 사람은 스트레스의 부정적인 효과를 더욱 증폭시키므로 근무자들이 교대근무 자체로 인해 나타나는 생리적인 신체 증상을 더 심하게 지각하도록 영향을 주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교대근무와 관련된 직무 불만족을 높이게 되고 더 심각한 증상으로 악순환 될 수 있다(임숙빈 등, 2006). 김윤규 등(2002)은 교대근무군이 비교대근무군보다 건강에 대한 인식, 스트레스, 삶의 질에서 좋지 않은 결과를 나타냈으며, 불면증과 우울증을 많이 호소한다고 하였다. 또한 여러 논문에서 교대근무는 수면장애를 야기한다고 보고되고 있다(설미화, 2007; 이정탁 등, 2007; 임숙빈 등, 2006; Edell-gustafsson, 2002; Labyak et al, 2002).
이상과 같이 교대근무로 인해 여러 가지 문제점들을 초래하게 된다. 이러한 다양한 신체적 변화와 정신적 문제를 유발하는 생리적 기능의 변화인 생체 일주기 리듬의 장애로 인해 단기적으로는 근로자의 각성기능 저하로 근로자 자신 및 그들과 관련되는 사람들의 안전에 영향을 미치게 되고 업무 사고나 작동 실수의 가능성이 생기게 되며 장기적으로는 교대근무에 적응하지 못하게 되어 근로자의 건강에도 악영향을 미치게 된다(김지용, 1996). 따라서 교대근무를 하는 간호사들에게 있어서 삶의 질과 건강을 증진시키기 위한 근거자료를 마련하기 위해 관련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2. 수면장애와 피로도와의 관계

교대근무 시 생체 일주기 리듬의 파괴로 인해 가장 문제가 되고 있는 수면장애는(김윤규 등, 2002; Ohayon et al, 2002) 피곤, 혼돈, 집중력 장애 등의 사회ㆍ심리적인 현상부터 현훈, 지남력 장애, 감각 장애 등의 신경ㆍ생리학적 현상까지 다양한 건강상의 문제를 초래하여 생리변화와 행동장애 뿐만 아니라 정신장애까지 발생시킬 수 있다(이선옥, 안숙희와 김미옥, 2005).
참고문헌
고영숙, 박미경 (2007). 자가 발반사마사지가 여성간호사의 피로와 수면상태 에 미치는 효과. 여성건강간호학회지, 13(1), 21-27.
고호정, 길명애, 권영숙, 김정남, 박경민, 박정숙, 박영숙, 박청자, 신영희, 이 경희, 이병숙, 이은주 (2004). 교대근무간호사의 피로경험. 한국보건간호 학회지, 18(1), 103-118.
국립국어교육원 (1999). 표준국어대사전. 서울: 두산동아
김대호, 이상설 (2000). 교대근무자의 야간근무가 수면과 사회생활에 미치는 영향분석. 인적자원개발연구, 2(2), 163-182.
김신미, 송미순, 오진주 (1998). 수면측정도구의 개발을 위한 연구. 대한간호 학회지, 28(3), 563-572.
김윤규, 윤동영, 김정일, 채창호, 홍영습, 양창국, 김정만, 정갑열, 김준연 (2002). 교대근무가 건강에 미치는 영향-일반건강, 수면, 스트레스, 삶의 질과 정신건강에 관하여-. 대한산업의학회지, 14(3), 247-256.
김지용 (1996). 교대근무형태에 따른 안전사고에 관한 조사. 대한산업의학회 지, 8(2), 330-339.
박영남, 양혜경, 김현리, 조영채 (2007). 일부 종합병원 간호사들의 교대근무 와 수면문제 및 피로자각증상과의 관련성. 한국산업간호학회지, 16(1), 37-47.
배재현, 정준환 (2003). 병원종사자에서 개인환경, 교대근무 및 직무 스트레 스가 수면 문제에 미치는 영향. 대한가정의학회지, 24(3), 232-244.
변영순 (2005). 2교대와 3교대 근무간호사의 수면과 피로도. 대한기초간호자 연과학회지, 7(2), 5-15.
보건복지가족부 (2009). OECD Health Data 2009. 서울: 보건복지가족부.
설미화 (2007). 교대 근무간호사의 피로도, 수면양상, 수면장애, 수면박탈증 상에 관한 연구. 경상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경남.
송관규 (1997). 만성 피로 증후군. 류마티스 건강학회지, 4(2), 163-176.
오진주, 송미순, 김신미(1998), 수면측정도구의 개발을 위한 연구. 대한간호 학회지, 28(3), 563-572.
윤이중 (1996). 직장인의 생활체육 참가가 인지된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서울.
이규일, 김정란, 왕성근, 신석철 (2001). 수면 박탈이 주간 졸음 및 피로감과 집중력에 미치는 영향. 생물치료정신의학, 7(2), 244-250.
이선옥, 안숙희, 김미옥 (2005). 성인 여성의 피로와 수면장애에 관한 연구. 여성건강간호학회지, 11(2), 163-168.
이윤복 (2006). 복막 투석 환자의 우울과 수면의 질의 관계. 고신대학교 간호학 석사학위논문, 서울.
이정탁, 이경종, 박재범, 이규원, 장규엽(2007). 일개 대학병원 간호사의 교대 근무와 수면장애와의 관련성. 대한산업의학회지, 19(3), 223-230.
이태숙 (2004). 종합병원 간호사의 일주기 유형과 피로. 연세대학교 보건대 학원 석사학위논문, 서울.
임숙빈, 유선영, 서은비, 이수진, 윤보라, 서은주, 남미정, 김숙영, 김은경 (2006). 교대근무 간호사의 부적 정동과 수면장애. 정신간호학회지, 15(1), 40-47.
장세진, 고상백, 강동묵, 김성아, 정진주, 이철갑, 강명근, 현숙정, 조정진, 차 봉석, 박종구 (2005). 피로와 의료이용, 업무상 사고 및 질병결근. 대한산 업의학회지, 28(3), 187-194.
정연재, 사은주, 김미나, 이동욱, 박기흠, 성낙진 (2007). 3교대 근무 간호사 들에서 야간교대근무로 인한 심혈관계 지표들의 일중변동 양상. 가정의 학회지, 17(4), 318-332.
하미나, 노상철, 박정선 (2003). 교대근무기간과 심혈관계질환의 대사성 위험 요인. 대한산업의학회지, 15(2), 132-139.
황승식, 홍순범, 황예원, 황은주, 황재욱, 황필규, 황호영, 박진구, 주영수, 이 승준, 성주헌, 강대희, 조수헌, 윤덕로 (1998). 일부 간호사들에서 교대근 무가 수면에 미치는 영향. 대한산업의학회지, 10(1), 1-8.
Berger, A.M., & Hobbs, B.B. (2006). Impact of shift work on the health and safety of nurses and patients. Clinical Journal of Oncology Nursing , 10(4), 465–471.
Camerino, D., Conway, P.M., Sartori, S., Campanini, P., Estryn-Behar, M., van der Heijden, B.I.J.M., & Costa, G. (2008). Factors affecting work ability in day and shift-working nurses. Chronobiology Internati-
onal, 25(2&3), 425-442.
Edell-Gustafsson, U.M. (2002). Sleep quality and responses to insufficient sleep in women on different work shifts. Journal of Clinical Nursing, 11, 280-288.
Folkard, S., & Tucker, P. (2003). Shift work, safety and productivity. Occupational Medicine, 53(2), 95-101.
Harrington, J.M. (2001). Health effects of shift work and extended hours of work.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58, 68-72.
Labyak, S., Lava, S., Turek, F., & Zee, F. (2002). Effects of shiftwork on sleep and menstrual function in nurses. Health Care for Women International, 23, 703-714.
Ohayon, M.M., Lemoine, P., Arnaud-Briant, V., & Dreyfus, M. (2002). Prevalence and consequences of sleep disorders in a shift worker population. Journal of Psychosomatic Research, 53, 577-583.
Swaen, G.M.H., van Amelsvoort, L.G.P.M., Bultmann, U., & Kant, I.J. (2003). Fatigue as a risk factor for being injured in an occupational accident:results from the Maastricht Cohort Study.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60(Suppl.1), i88–i9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