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상곡 작품분석

 1  이상곡 작품분석-1
 2  이상곡 작품분석-2
 3  이상곡 작품분석-3
 4  이상곡 작품분석-4
 5  이상곡 작품분석-5
 6  이상곡 작품분석-6
 7  이상곡 작품분석-7
 8  이상곡 작품분석-8
 9  이상곡 작품분석-9
 10  이상곡 작품분석-10
 11  이상곡 작품분석-11
 12  이상곡 작품분석-12
 13  이상곡 작품분석-13
 14  이상곡 작품분석-14
 15  이상곡 작품분석-15
 16  이상곡 작품분석-16
 17  이상곡 작품분석-17
 18  이상곡 작품분석-18
 19  이상곡 작품분석-19
 20  이상곡 작품분석-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이상곡 작품분석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원문 및 어구해석
원문
어구해석
2. 제명
3. 작자 및 창작 시기
4. 작품구조 분석
5. 불교노래적 성격
Ⅲ. 결론
본문내용
(4) 잠 간 내 니믈 너겨
→ 잠을 앗아간 내 님을 생각하여

1) 잠 간 : 잠을 따간, 잠을 앗아간(양주동, 박병채), 슬그머니 잠겼다가 간(지헌영),
자고 있다 간(김사엽, 김완진). ‘잠’은 동사어간 ‘자(寢)’의 명사형이다. ‘간’은 동사의 관형사형으로 ‘(摘)’와 ‘가(去)’의 복합어간에 관형사형 어미 ‘ㄴ’이 결합되었다.
2) 녀겨 : 여기어, 생각하여 : 동사어간 ‘너기(惟)’의 부사형으로 ‘너기어>너겨’ 형이다.

(5) 깃 열명길헤 자러오리잇가
→ 그러한 열명길에 님이 자려고 오시겠는가

1) 깃 : 양주동은 ‘그’와 ‘잇단’의 합성으로 ‘그러한’의 뜻으로 보고 현대어의 ‘그따위’는 이 말이 와전된 것으로 본다. 지헌영은 ‘긴, 기다란’으로 풀이한다. 박병채의 의견을 따르면 ’그이야‘로 해석된다. 박병채는 ‘깃’을 ‘그’와 ‘잇단’이 합성되면서 ‘ㅡ’모음이 축약된 것으로 보았다. 그는 ‘잇’의 경우 주격 ‘이’와 추상명사 ‘’의 절대격형 ‘’과의 연결 사이에 사잇소리‘ㅅ’이 낀 형으로 이 경우 ‘’은 주격 아래에서 강조의 뜻을 표시한다고 했다(1973). 후에는 명사어간 ‘그’에 용언화접미사 ‘이’가 연결된 후, 어간말음 ‘ㅡ’가 축약되고 여기에 강조형 어미 ‘딴’이 연결된 형으로 보았다. 강조형 어미 ‘딴‘은 설의법이나 감탄법을 구사하는 문장에서 명사의 용언형에 부착되어 명사구를 강조하는 기능을 가지는 것이라 한다(1994).
2) 열명 : 아마 ‘십명’의 속칭. 곧 불전어 ‘십분노명왕’을 당시 ‘십명(열명)’이라 약칭한 것으로 본다. 불교대사전을 참고하면 다음과 같다.
※ 명왕 : 교령윤신을 말함. 대일각왕의 교령을 받아서 분노신으로 화현하여 모든 악마를 항복시키는 제존을 명왕이라 칭함. 명은 광명의 뜻이요, 지혜의 이름이며 지혜의 힘으로 일체의 마장을 깨뜨려 부셔버리는 위덕이 있으므로 ‘명왕’이라 부름.
※ 분노명왕 : 분노존. 즉 명왕을 말함
※ 십분노명왕 : 열 명왕을 말함.
이상의 인용으로 ‘분노명왕’=‘명왕’임을 알 수 있고 ‘십명왕’이 있음을 알 수 있다. ‘십명왕’은 앞서 인용한 것과 같이 ‘열 명왕’이니 (5)의 ‘열명길헤’란 말은 ‘열 명왕의 길에’라는 말이다. 따라서 운율을 고려하지 않았다면 ‘열명왕길헤’였을 것이고 ‘(무시무시한) 열 명왕처럼 (무서운) 길에’나 ‘(무시무시한) 열 명왕이 (다니던 무서운)길에’란 뜻으로 볼 수 있다.
3) 자라 오리잇가 : 기존의 초기 연구에서는 ‘열망길에 님이 자려고 오시겠는가’ 하여 (내가 기다리는, 사랑하는) 님이 자러오는 것으로 해석했다. 후에 이를 어색한 해석으로 파악하여 ‘잠을 뺏아간 내 님을 생각하여 그따위 무시무시한 열명길에 내가(누가) 자려고 오겠습니까’(이임수, 하희정)으로 해석하여 ‘내’가 자러오는 것으로 파악하는 경우도 있다. 특히 이임수는 ‘자야겠습
참고문헌
강명혜, 「 연구」『한양어문연구』13권, 한양대학교 한양어문연구회, 1995
강헌규, 「고려가요 「이상곡」 신고」, 『인문과학』 36권, 성균관대학교 인문과학 연구소, 2005
권순형,「고려시대 수절의식과 열녀」,『여성:역사와 현재』, 박용옥 역음, 국학자료원, 2001,
김동욱 「이조 기녀사 서설-사대부와 기녀」 『아세아여성연구』 5집, 숙명여대, 1966
김명준, 『고려속요집성』, 다운샘, 2002
김상철, 『고려시대 시가의 탐색』, 경인문화사. 2004
김용숙, 『한국여속사』, 민음사, 1989
김학성, 「속요의 장르상의 제문제」, 『천봉이능우박사칠순기념논총』,1990
박노준, 「이상곡과 윤리성의 문제」『한국학논집』14권, 1988
이성주, 『증보 고려시대의 가요』, 민속원, 1998
이임수, 「에 대한 문학적 접근」『어문학』제41호, 한국어문학회, 1981
장효현, 「‘이상곡’의 생성에 관한 고찰」,『국어국문학』92, 1984.
장효현, 「이상곡 어석의 재고」, 『어문논집』 22권, 한민족어문학회, 1988
최용수, 「이상곡 고」, 『한민족 어문학』 15권, 한민족어문학회, 1998
최철, 「고려시가의 불교적 고찰」, 『동방학지』96, 정세대학교국학연구원, 1997.
최철, 『고려국어가요의 해석』, 연세대학교 출판부, 1996
최철․박재민, 『석주 고려가요』, 이회, 2003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