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문학개론] 악장

 1  [국문학개론] 악장-1
 2  [국문학개론] 악장-2
 3  [국문학개론] 악장-3
 4  [국문학개론] 악장-4
 5  [국문학개론] 악장-5
 6  [국문학개론] 악장-6
 7  [국문학개론] 악장-7
 8  [국문학개론] 악장-8
 9  [국문학개론] 악장-9
 10  [국문학개론] 악장-10
 11  [국문학개론] 악장-11
 12  [국문학개론] 악장-12
 13  [국문학개론] 악장-13
 14  [국문학개론] 악장-14
 15  [국문학개론] 악장-15
 16  [국문학개론] 악장-16
 17  [국문학개론] 악장-17
 18  [국문학개론] 악장-18
 19  [국문학개론] 악장-19
 20  [국문학개론] 악장-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국문학개론] 악장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악장의 정의
2. 명칭 논란
3. 연원 및 정착과정
4. 악장의 특성
5. 문학사적 의의
Ⅲ. 결론
본문내용
4. 악장의 특성

이 부분의 본격적인 이야기에 앞서 지금까지 살펴본 바를 짚어보면 악장은 시대와 문화의 소산으로 기존 장르들의 다양한 성격을 종합하여 지닌 결정체라고 할 수 있다. 내면적으로 서정과 서사, 교술의 다양한 성향들이 녹아들어 하나로 응집된 것이다. 관습적 차원에서 악장이 하나의 장르이면서 초장르의 추상적 범주인 이유도 바로 여기에 있다. 그래서 기존의 작품들을 분류하자면 ‘고려가요계/경기체가계/단형창작계/장형창작계/현토한시계/가곡계/가사계’ 등으로 나눌 수 있다.
다른 갈래들과는 달리 악장이라는 갈래의 성격에 대한 이야기를 하기 어려운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 그렇지만 악장을 하나의 문학 갈래로 인정한 이상 그에 대한 언급을 할 필요가 있다. 그래서 위에서 분류한 것들 중 다른 갈래와의 중복을 피하기 위해 여기서는 선초에 창작된 것으로 그 범위를 한정하여 바라보되 주요 작가들과 악장의 대표 격이라 할 수 있는 「용비어천가」와 「월인천강지곡」의 두 작품을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1) 주요 작가

조선시대의 악장은 조선왕조의 창업과 더불어 통치 질서를 구현하는 예악(禮樂)을 정비하고자 해서 새로 지은 노래이다. 건국의 위업을 찬양하면서 통치이념을 알리기 위해 정도전, 권근, 변계량, 최항 등이 지었다. 작자별로 간단히 지향점과 지은 작품들을 살펴보고자 한다.

① 정도전의 악장
정도전(?~1398)은 고려왕조를 무너뜨리고 조선왕조를 이룩하는데 주동적인 구실을 하고, 조선왕조의 이념 ․ 제도 ․ 문화를 설계하였다. 성리학의 실천적 이론가이기도 했던 그는 올바른 도리를 실현하도록 하는 재도(載道)의 사명을 문학이 수행해야 한다고 하였다. 문학을 함에 있어서는 표현을 잘하기보다 세상을 바로잡겠다는 강한 의지가 있어야 한다고 했다. 인문으로서의 시서예악은 도를 존립 근거로 해야 한다는 당위성이 다음과 같은 언급에서 잘 드러나고 있다.

일월성신은 하늘의 문이요 산천초목은 땅의 문이며 시서예악은 사람의 문이다. 그러나 하늘은 기로써 되고 땅은 형으로써 되나 사람은 도로써 되는 고로 문이란 도를 싣는 그릇이라 하는데, 이는 인문을 말하는 것이다. 그 도를 얻으면 시서예악의 가르침이 천하에 밝아서 삼광의 운행을 순조롭게 하고 만물을 올바로 다스려지게 하니 문의 융성함이 이에 이르러 지극해진다. …(중략)… 명나라가 천명을 받아 황제가 천하를 다스리자 덕이 닦이고 태평해졌으며 천하가 통일되었다. 그리하여 예를 제정하고 악을 만들어 인문을 화성하여 천지를 다스리게 되었으니 지금이 바로 그때다. 「도은문집서」,『삼봉집Ⅰ』(1985) 재인용


참고문헌
김광순 외, 『국문학개론』, 새문사 , 2003
조규익, 『선초악장문학연구』, 숭실대학교출판부, 1990
전재강, 「월인천강지곡의 서사적 구조와 주제 형성의 다층성」, 『안동어문학』제4집, 안동어문학회, 1999
김기종, 「월인천강지곡의 배경과 구성 방식 연구」, 『불교어문논집』제4집, 불교어문학회, 1999
사재동, 「월인천강지곡의 몇가지 문제」, 『어문연구』제11집, 어문연구학회, 1982
조흥욱, 『월인천강지곡의 문학적 연구』, 국민대학교 출판부, 2008
김풍기, 『조선 전기 문학론 연구』, 태학사, 1996
조규익, 「조선초기 악장의 문학사적 의미」, 『국어국문학』100권, 국어국문학회, 1988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