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중문화의 현주소와 개선 방향

 1  한국 대중문화의 현주소와 개선 방향-1
 2  한국 대중문화의 현주소와 개선 방향-2
 3  한국 대중문화의 현주소와 개선 방향-3
 4  한국 대중문화의 현주소와 개선 방향-4
 5  한국 대중문화의 현주소와 개선 방향-5
 6  한국 대중문화의 현주소와 개선 방향-6
 7  한국 대중문화의 현주소와 개선 방향-7
 8  한국 대중문화의 현주소와 개선 방향-8
 9  한국 대중문화의 현주소와 개선 방향-9
 10  한국 대중문화의 현주소와 개선 방향-10
 11  한국 대중문화의 현주소와 개선 방향-11
 12  한국 대중문화의 현주소와 개선 방향-12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한국 대중문화의 현주소와 개선 방향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머리말
2. 한국 대중문화의 역사와 현황
2.1. 한국 대중문화의 역사
2.2. 한국 대중문화의 현황
3. 한국 대중문화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3.1. 선정성
3.2. 폭력성
3.3. 획일성
3.4. 일방성
4. 맺음말
□ 참고 문헌
본문내용

2. 한국 대중문화의 역사와 현황

이 장에서는 먼저 한국 대중문화의 역사를 소개한 뒤에 현황에 대해 살펴볼 것이다.

2.1. 한국 대중문화의 역사 강현두, 「현대 한국사회와 대중문화」, 『현대 한국사회와 대중문화』, 나남출판, 1998을 참고함.


한국 대중문화의 역사의 시작을 대중적 미디어의 탄생 시기와 함께 놓고 본다면, 시작은 1960년대라고 할 수 있다. 매스미디어 문화로서 대중문화를 이루는 두 주종인 주요 주간지와 상업 라디오․텔레비전 방송국들은 거의 1960년대에 탄생했다. 1964년부터 1960년대 후반까지 《주간한국》, 《주간중앙》, 《주간조선》 등의 한국의 대표적 주간지들이 차례로 탄생했다. 전파미디어의 경우, 1961년 서울의 문화방송 라디오가 개국하기 이전까지는 국영방송인 KBS 라디오의 독점시대였다고 할 수 있다. 한국 사회에서 방송은 1960년대에 들어서기 전까지 국영 KBS에 의한 정부 공보와 계도성의 방송이었다. 한국의 모든 상업 라디오 중앙국들과 텔레비전 중앙국들은 모두 1960년대에 개국했다. 앞서 말했듯이 서울의 문화 라디오 방송이 1961년에 개국했고, 1963년에는 동아 라디오방송, 1964년에는 동양라디오방송이 각각 개국했다. 텔레비전의 경우, 1961년 국영 KBS가 텔레비전을 시작하여 1963년에 상업 활동을 시작하였고, 1964년에는 동양 라디오의 상업 텔레비전이 시작되었다. 1969년에는 문화 라디오의 상업 텔레비전이 시작되면서 1960년대에 서울의 상업 라디오 3국과 텔레비전 3국이 모두 개국하여 본격적인 전파미디어에 의한 대중문화의 시대에 들어갈 수 있었다.
1969년까지 전국의 텔레비전 수상기 보급대수는 약 25만 대에 불과했으나. 1975년에는 텔레비전 수상기의 보급이 100만대를 돌파했다. 뿐만 아니라, 1970년대 중반에 이르러 지방의 수상기 보급률이 서울을 앞지르게 되면서 텔레비전 문화는 지방에 깊숙이 파고들었다. 1970년대가 끝나기 전에 텔레비전 수상기 보급은 600만 대에 이르게 되었고 서울 중심의 방송사였던 동양 라디오와 동아 라디오는 점차 라디오 텔레비전의 지방망을 확대해나갔다. 1970년대에 텔레비전 미디어는 모든 대중문화 미디어들 중에서도 가장 대중적이고 강력한 미디어로 자리하게 되었다. 이것은 현대 한국의 대중문화가 전파 문화, 즉 텔레비전 문화를 의미하게 되는 데에 영향을 끼쳤다.
1980년대에는 민중문화론이 대두되면서 그간 전통문화를 등한시한 대중문화 풍조를 비판하게 된다. 우리의 대중문화 대신에 외래의 대중문화가 수용되었고 서구 사회와는 다르게 이전의 양반들이 향유하던 고급문화가 대중문화로 치환된 것이 아니라 아예 소실되어버린 것에 대하여 민중문화론은 강하게 비판했다. 1980년대의 어두웠던 시대적 상황과 함께 민중문화론은 사회민주화운동의 문화 운동적 성격으로 진화해갔다. 그러나 민중문화론의 등장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일반 대중들은 충실하게 점차 산업화되어가는 대중문화의 충실한 소비자로 남게 된다.
1990년대에 이르러서 대중문화의 인식은 또 한 번 전환점을 맞게 된다. 1
참고문헌
강상현․채백 엮음, 『대중 매체의 이해와 활용(제3판)』, 한나래, 2002.
강현두, 「현대 한국사회와 대중문화」, 『현대 한국사회와 대중문화』, 나남출판, 1998
기호학연대, 『대중문화 낯설게 읽기』, 문학과 경계사, 2003.
김광현, 『대중문화의 이해』, 대구대학교출판부, 2005.
김헌식, 『대중문화 심리 읽기』, 울력, 2007.
문화체육관광부, 『2008기준 2009문화산업통계』, 2010
이승우, 「'아이들'의 노출 어떻게 할 것인가」, [Chosun.com 리포트], 조선일보, 2009.03.2
장선화, 「유해정보 차단… 막말방송 중점 심의」, 서울경제, 2010.02.10
조의현, 「문민, 국민, 참여정부의 정부방송광고에 나타난 메시지 환상주제분석 : 공보처․국정홍보처 주체 정부방송광고를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대학원, 2008.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