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직 의사소통의 장애

 1  조직 의사소통의 장애-1
 2  조직 의사소통의 장애-2
 3  조직 의사소통의 장애-3
 4  조직 의사소통의 장애-4
 5  조직 의사소통의 장애-5
 6  조직 의사소통의 장애-6
 7  조직 의사소통의 장애-7
 8  조직 의사소통의 장애-8
 9  조직 의사소통의 장애-9
 10  조직 의사소통의 장애-10
 11  조직 의사소통의 장애-11
 12  조직 의사소통의 장애-12
 13  조직 의사소통의 장애-13
 14  조직 의사소통의 장애-14
 15  조직 의사소통의 장애-15
 16  조직 의사소통의 장애-16
 17  조직 의사소통의 장애-17
 18  조직 의사소통의 장애-18
 19  조직 의사소통의 장애-19
 20  조직 의사소통의 장애-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조직 의사소통의 장애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개 요
Ⅰ. 서론
(1) 조직 의사소통의 개념
(2) 조직 의사소통의 영역
1. 업무적 커뮤니케이션 또는 공식적 커뮤니케이션
2. 비업무적 커뮤니케이션 또는 비공식적 커뮤니케이션
(3) 조직 커뮤니케이션의 중요성과 필요성
1. 중요성
2. 필요성

Ⅱ. 조직 커뮤니케이션의 유형과 그에 따른 장애
(1) 공식적 커뮤니케이션
1. 하향적 의사소통 (down-ward communication)
2. 상향적 의사소통 (up-ward communication)
3. 수평적 의사소통 (horizontal communication)
4. 대각적 의사소통 (diagonal communication)
(2) 비공식적 커뮤니케이션
1. 그레이프바인 (grapevine)
2. 배회관리 (MBWN: management by walking around)
3. 루머 (Rumor)
4. 동호회
5. 사보

Ⅲ. 조직 의사소통 장애의 원인
(1) 전달자 관련 요인
1. 커뮤니케이션 목적의 결여
2. 권위적인 태도
3. 커뮤니케이션의 기술 부족
(2) 수신자 관련 요인
1. 송신자에 대한 신뢰도 결핍
2. 선택적 지각과 선택적 기억
3. 준거체계의 차이
4. 선입관
5. 평가적 경향
6. 커뮤니케이션 수용태세 미비
7. 역할 갈등
(3) 메시지 및 정보 관련 요인
1. 정보의 과다
2. 언어 해석의 다의성에 의한 장애
(4) 조직특성 요인
1. 조직에서 신분상의 차이
2. 접촉 기회의 부족
3. 조직분위기 차이
4. 최고 경영자의 의지결여
5. 구조적 애매모호함

Ⅳ. 조직의사소통 장애의 개선 방안
(1) 송신자·전달자 관련 요인
1. 사후검토
2. 감정이입
3. 효과적인 태도
(2) 수신자 관련 요인
1. 친밀함
(3)메시지 및 정보 관련 요인
1. 그룹의 목표
2. 정보흐름의 조정
3. 언어의 단순화
(4) 조직 특성 요인
1. 상호신뢰 풍토 조성
2. 유연작업조직 형성을 위한 몰입전략
2.1. 관리
2.2. 완벽한 집중
2.3. 동등한 참여
2.4. 친밀함
2.5. 피드백 및 배회관리 증대
2.6. 실패 가능성 수용
(5) 한국 문화 관련 요인
1. 체면
2. 우리성
3. 정

Ⅴ. 참고문헌


본문내용

1. 하향적 의사소통 (down-ward communication)
하향적 의사소통은 조직의 윗부분에서 아랫부분을 향하여 이루어진다. 주로 조직 안에서 높은 지위에 있는 사람이 낮은 지위에 있는 사람들에게 조직이나 직무와 관련된 정보를 전달해 주기 위해 이루어지는 의사소통이다. 업무와 관련된 상급자의 지시는 대표적인 하향적 의사소통이다. 부하 종업원들이 맡아 처리해야 할 업무의 구체적 내용에 관해 상급자가 지시를 내리는 경우이다. 이와 같은 의사소통은 조직 안에 갖추어져 있는 지휘․명령체계에 따라 이루어진다. 업무와 관련된 지시와 함께 하향적 의사소통 네트워크를 통해 주로 전달되는 정보는 조직 전체 또는 소속 부서나 작업 집단의 목표와 전략적 계획 등에 관한 것이다.
하향적 의사소통을 통해 이런 정보들이 조직이나 집단의 구성원들에게 체계적으로 전달되면 구성원들이 자신의 업무처리 결과나 성과에 관한 정보를 구성원들에게 전달해 주는 것도 하향적 의사소통에 의해 이루어진다. 조직의 규모가 크고 의사전달자와 수신자 사이에 지위의 차이가 클수록 하향적 의사소통의 정확성은 낮아진다. 예를 들어 최고경영자의 의사가 일선 종업원들에게 하향적 의사소통 네트워크를 통해 전달되는 경우, 조직 안의 내용이 조금씩 왜곡될 가능성이 있다. 실제 한 연구에 의하면 최고 경영자 층에서 의사가 조직의 여러 계층을 거쳐 일선 종업원들에게 전달되는 과정에서 대부분 내용이 바뀌거나 왜곡되어지고 20% 정도만이 일선 종업원들에게 정확히 전달되었다고 한다. 그러므로 경영자들은 하향적 의사소통이 보다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다양한 방법과 경로를 활용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하향적 의사소통은 명확성․적합성․일관성 및 적시성이 요구되며, 그 경로 내지 수단으로는 ① 명령계통을 통해 구두나 서면으로 전달, ② 포스터나 게시판, ③ 사내보, ④ 종업원과의 서신, ⑤ 종업원 편람 내지 팜플렛, ⑥ 사내방송, ⑦ 노동조합 등이 있다.

2. 상향적 의사소통 (up-ward communication)
상향적 의사소통은 조직의 하부에서 상부를 향하여 이루어진다. 조직 안에서 낮은 지위에 있는 사람이 높은 지위에 있는 사람에게 도움을 청하거나 자신의 업무처리에 대해 보고하기 위해 이루어지는 의사소통이다. 종업원들이나 부서의 업무처리 결과와 업적을 정기적으로 상급자에게 보고하는 것이 대표적인 상향적 의사소통이라고 할 수 있다. 이와 함께 종업원들이 일상적인 업무와는 다른 문제에 부딪친 경우 상급자의 경험이나 지식을 이용하기 위해 도움을 청하는 경우도 있다. 제안제도나 고충처리제도와 같이 종업원들이 갖고 있는 새로운 아이디어나 어려움을 알릴 수 있는 것도 상향적 의사소통 네트워크를 통하여 가능하다.
상향적 의사소통은 하향적 의사소통보다 정확성에 더 많은 문제를 갖게 되는데 낮은 지위에 있는 사람들은 자신의 불리한 정보를 빠뜨리거나 축소시키고 반대로 자신에게 유리한 정보는 과장하는 경향을 갖기 쉽다. 따라서 상향적 의사소통의 정확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수신자, 즉 높은 지위에 있는 사람은 낮은 지위에 있는 의사전달자가 신뢰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그리고 종업원들의 생각을 이끌어내고 어려운 점이나 문제점을 솔직히 표현할 수 있게 하기 위해서는 종업원들의 의견을 존중하는 분위기를 만들어야 한다.
상향적 의사소통 수단으로서 ① 명령계통에 대응하는 보고계통, 즉 관리적 보고, ② 불만처리절차, ③ 제안제도, ④ 인사상담제도, ⑤ 근로의욕 내지 사기조사, ⑥ 노동조합 등이 필요하다.

3. 수평적 의사소통 (horizontal communication)
수평적 의사소통은 조직 안에서 동료들 간이나 부서들 사이에서 이루어진다. 조직 전체의 목표달성을 위해 종업원들이나 부서들이 업무의 중복이나 불필요한 갈등을 줄이고 서로 협조하기 위해서 필요한 정보를 교환하는 의사소통이다.
같은 부서나 집단에 소속되어 있는 종업원들이 업무를 조정하거나 공동업무를 달성하기 위해 의사소통 하는 경우도 있으며 부서나 집단들이 서로 협조하여 달성해야 할 업무를 의사소통 하는 경우도 있다. 그 밖에도 조직 안에서 이루어지는 수평적 의사소통의 상당부분은
참고문헌

Ⅴ. 참고문헌


국내 단행본
 강석구(?), 『성공혁신을 위한 의사소통 실태와 기업문화 조사』
 김재국(1997), 『한국은 없다』, 서울, 민예당
 박재린(?), 『현대 조직론의 이해』
 윤태립(1986), 『한국인』, 서울, 현암사
 이기돈(2000), 『경영학원론』, 형설출판사
 이상협(?), 『커뮤니케이션과 조직 커뮤니케이션』
 최상진(2000), 『한국인 심리학』, 서울, 중앙대학교 출판부
 황상재(2006), 『조직 커뮤니케이션의 이해』, 법문사

국내 논문
 이동명(2004. 2), 「경영자의 몰입전략과 유연 작업조직설계」, 인사·조직 연구 제12권 제1호
 이용규·정석환(2006), 「한국적 토착 심리가 조직 구성원의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행정학 연구, 15(1)
 이을터·이진규(2006), 「한국적 지식경영 츠랙티스: 문화심리 접근」, 인사관리연구, 제30집 1권
 임태섭(1994), 「체면의 구조와 체면욕구의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언론학회, 30
 조용현·이경근(2007), 「한국인의 문화심리특성이 지식경영활동에 미치는 영향: 체면민감도와 우리성 지각을 중심으로」, 산업경제연구 제20권 제4호 2007년 8월, 한국산업경제학회
 최상진(1997), 「당사자 심리학과 제3자 심리학: 인간관계 조망의 두 가지 틀」, 한국심리학회 추계심포지움,
 최상진·김기범(1998), 「체면의 내적 구조」, 한국심리학회 연차대회 발표논문
 최상진·유승업(1992), 「한국인의 체면에 대한 사회심리학적 분석」,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6(2)
 최인재·최상진(2002), 「한국인의 문화 심리적 특성이 문제 대응방식, 스트레스,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정(情), 우리성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4, pp. 55~71
 한두안(1999. 12), 「도서관 조직의 의사소통 개선에 관한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한국비블리아 제10집

해외 단행본
 Fax., W. G. Buchwald, E. & Wetzler, R.(1991), 『Skill managemenst』, Wesbaden: Cabler
 J. W. Getzels and M. Csikzentmihalyi(1976), 『The Creative Vision(창조적 비전)』, New York: Wiley
 Keith Sawyer(키스 소여), 이호준 역(2007)『그룹 지니어스Group Genius : The Creatiive Power of Collaboration』, 북섬
 Mayer & Allen(1994), 『Commitment to in the workplace: Theory, research, and application』, Thousand Oaks, CA: Sage

해외 논문
 Bond. M. H.(1991), 『Beyond the Chinses face: Insights from psychology』, Oxford, U.K: Oxford University Press.
 Daft. R. L.(2001), 『Organization theory and design.』 Cincinnati: South-Western Publishing
 D. Leonard and S. Sensiper(1998), 「The Role of Tacit Knowledge in Group Innovation」, California Management Review 40, no. 3
 G. Edmondson,(2006) 「BMW's Dream Factory」, Business Week, October 16, 2006
 Hayes, R. H., Wheelsright. S. C. & Clark. K. B.(1988), 『Dynamic manufacturing: Creating the learning organzation』, New York: Free Press.
 H. I. Thamhan and D. L. Wilemon(1987), 「Building High Performance Engineering Project Teams」, IEEE Tansactions on Engineering Management 34, no. 3
 K. E. Weick and K. H. Roberts(1993), 「Collective Mind in Organizations: Heedful Interrelating on Flight Decks」, Administrative Science Quarterly 38, pp.357~381
 Kim. J. Y. & S. H. Nam(1998), 「The concept and dynamics of face: Implications for organizational behavior in Asia」 Organization Science, 9
 M, Jabri(1985), 「Job-Team: Its Dimensionality and Importance in the Management of R&D Teams」, PhD diss., Manchester Business School, Manchester, England
 R. A. Guzzo and M. W. Dickson(1996), 「Teams in Organizations: Recent Research on Performance and Effectiveness」, Annual Revies of Psychology 47
 R. Cross and A. Parker(2004), 「Charged Up: Creating Energy in Organizations」, Journal of Organizational Excellence
 R. Cross, W. Baker and A. Parker(2003), 「What Creates Energy in Organizations·」, MIT Sloan Management Review 44, no.4
 R. K. Sawyer(2003), 「Group Greativity: Music, Theater, Collaboration」, Mahwah, NJ: Erlbaur
 R. W. Quinn(2005), 「Flow in Knowledge Work: Performance Experience in the Design of National Security Technology」, Administrative Science Quarterly 50'
 R. W. Quinn and J. E. Dutton(2005), 「Coordination as Energy-in-Conversation」,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30, no.1
 Schnake. M. E.(1990), 「Effects of Differences in Superior and Sucordinate Perceptions of Superior's Communication Practices」, Journal of Business Communication 28(4)
 S. W. J. Kozlowski and B. S. Bell(2003), 「Work Groups and Teams in Organizations」, vol.12, Handbook of Psychology: Industri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ed. W. C. Borman, D. R. Ilgen, and R. J. Klimaoski, New York: Wiley
 T. Amabile, C. N. Hadley, and S. J. Kramer(2002), 「Creativity Under the Gun」, Havard Business Review 80, no.8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