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관계] 중동분쟁

 1  [국제관계] 중동분쟁-1
 2  [국제관계] 중동분쟁-2
 3  [국제관계] 중동분쟁-3
 4  [국제관계] 중동분쟁-4
 5  [국제관계] 중동분쟁-5
 6  [국제관계] 중동분쟁-6
 7  [국제관계] 중동분쟁-7
 8  [국제관계] 중동분쟁-8
 9  [국제관계] 중동분쟁-9
 10  [국제관계] 중동분쟁-10
 11  [국제관계] 중동분쟁-11
 12  [국제관계] 중동분쟁-12
 13  [국제관계] 중동분쟁-13
 14  [국제관계] 중동분쟁-14
 15  [국제관계] 중동분쟁-15
 16  [국제관계] 중동분쟁-16
 17  [국제관계] 중동분쟁-17
 18  [국제관계] 중동분쟁-18
 19  [국제관계] 중동분쟁-19
 20  [국제관계] 중동분쟁-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국제관계] 중동분쟁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 목차 >

I. 중동 분쟁의 역사적 배경
1. 중동지역의 지리적 위치와 그 의미
2. 분쟁의 역사적 배경
분쟁을 야기하기 시작한 시오니즘의 태동과 전개?
위임통치와 아랍문제
2차 세계대전 종결과 유태국가 건설

Ⅱ. 중동 분쟁의 전개
1. 제1차 중동전쟁
전쟁의 발발
전쟁의 전개
전쟁의 영향
2. 제2차 중동전쟁
당시 상황
수에즈운하의 중요성
전쟁의 발발과 전개
전쟁의 결과와 영향
3. 제3차 중동전쟁
전쟁의 원인과 전개
제3차 중동전쟁의 영향
4. 제4차 중동전쟁
전쟁의 전개
제4차 중동전쟁의 영향

Ⅲ. 평화를 위한 노력
1. 이집트-이스라엘 평화 조약 (캠프 데이비드 협정)
2. 마드리드 중동 평화회담
3. 오슬로 평화원칙 선언 ( 워싱턴 평화협정 )
4. 와이리버 협정
5. 샤름 알 세이크 협정
6. 중동평화 로드맵
IV. 중동 분쟁을 둘러싼 난제들
1. 이스라엘의 입장
영토문제
안보문제
2. 팔레스타인의 입장
영토문제
종교문제
3. 공동의 이해관계
수자원 문제
예루살렘 문제

VI. 최근의 현황
1. 팔레스타인
2. 이스라엘
3. 미국
4. 유엔의 입장
5. 각종 기사 및 보도

Ⅶ. 중동평화를 위한 해법과 대안
1. 추후전망
2. 팔레스타인 정부를 강화하고....
3. 이스라엘 시민운동의 활성화한다면...

* 참고문헌


본문내용
전쟁의 결과와 영향
제2차 중동전쟁은 군사적인 측면에서 영-프-이의 수에즈운하 점령과 시나이 반도 진주는 점령군의 일방적인 승리였으나, 이들 3국은 국제 정치적으로는 패배했다고 볼 수 있다. 즉, 나세르는 수에즈운하의 국유화를 국제적으로 공인 받은 결과가 되어 이집트의 국익을 확보하게 되었다.
나세르는 미국, 소련 양국의 입장 표명으로 인하여 정치적인 우위를 점하게 된다. 이러한 사실은 아랍민족주의에 박차를 가하였으며 보수적인 아랍국가의 왕들에게 경종이 되었다. 즉 친영적인 이락 왕국의 파이살 2세는 아랍민족주의의 고조화로 인한 1958년 7월 14일 까심장군의 쿠데타로 쫓겨나고, 이락 왕국은 붕괴되고 공화국이 된다.
나세르 대통령은 정치적 승리를 바탕으로 아랍민족주의의 고조화와 그 승화를 바탕으로 1958년 이집트-시리아와의 국가통합을 이룬다. 그러나 이는 3년 뒤인 1961년 붕괴하게 되는데 이는 아랍민족주의의 본질적 한계를 의미하게 된다. 또한 나세르는 통합 실패 후 제1차 중동전쟁 때 이스라엘 점령지에서 추방되어 요르단강 서안, 가자지구, 요르단, 레바논 등지에 흩어져 있던 약 90만의 팔레스타인 난민들을 민족단위로 취급함으로써 팔레스타인 민족주의를 각성시키고 이스라엘을 타도하여 팔레스타인 독립국가를 수립해야 한다고 역설하였다. 이러한 선동에 자극되어 한때는 약 30개의 팔레스타인 해방조직이 난무하기도 하였다.
나세르는 수에즈운하 국유화 이후 아랍 민족주의의 구심화로 팔레스타인 민족주의의 눈을 뜨게 되고 팔레스타인 민족주의의 후견인이 되고자 하였다. 나세르의 주선에 의해 1964년 1월 제1차 아랍정상회의에서 팔레스타인 해방기구가 결성된 것과 이 조직이 상당한 기간 나세르에 충성하고 추종하는 기관으로 발전한 것은 이와 같은 나세르의 정책에 의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제2차 중동전은 미국과 소련에 있어 대중동진출의 경쟁에 새로운 전환점을 마련해 주었다. 영국과 프랑스가 철수함에 따라 새로운 힘의 공백상태가 초래되었으며, 미국과 소련의 진출이 치열해진다. 미국은 이스라엘과 왕정을 유지하고 있는 아랍의 보수세력, 그리고 산유국과의 접근을 통해 중동지역에 진출하고자 했으며, 소련은 주로 공화국인 아랍의 혁신세력에 손을 뻗치게 된다. 미국의 현대무기가 서독을 통해 이스라엘에 공급되었으며, 소련의 대규모 군사, 경제적 원조가 이집트, 시리아, 이락 등에 제공되었다.


3. 제3차 중동전쟁(1967, '6월전쟁', '6일전쟁')

전쟁의 원인과 전개



제3차 중동전의 원초적 동기는 시리아와 이스라엘간의 빈번한 충돌에서 찾을 수 있다. 시리아의 바아스당은 가장 강력한 반유대주의 및 반서구주의적 색채를 띠고 있었는데, 바아스당의 실권을 장악한 아민 하페즈는 이스라엘에 대하여 강경정책을 취하였다.
1966년 10월 이집트와 군사동맹을 맺은 시리아는 대이스라엘 강경책을 더욱 촉진시키게 되었다. 당시 시리아-이스라엘간에는 골란고원을 둘러싸고 긴장이 고조되고 있었는데, 1967년 4월 제1차 중동전쟁의 정전협정에서 비무장지대로 설정된 골란고원 일대에 이스라엘이 농작물을 경작한다는 일방적인 조치를 발표하여 대시리아 감정을 격발시켰다. 이것이 이스라엘-시리아간의 무력충돌을 유발시킨 원인이 되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시리아와 요르단은 이집트의 개입을 요청하게 되었고 나세르는 이스라엘이 시리아를 공격한다면 이집트는 이스라엘을 공격할 것이라고 천명하게 된다. 나세르는 요르단 및 이락과 동맹관계를 맺어 대이스라엘전에 대한 준비를 서둘렀다. 이러한 사실은 이스라엘측에 미리포착되고 있었는데 이스라엘은 1967년 5월 29일에 전시체제에 돌입해 있었다.
1967년 6월 5일 새벽 이스라엘 공군은 공격 3시간만에 아랍제국의 비행기 400여대를 폭격하였다. 이중 286대가 이집트의 비행기였으니 이집트는 초기에 이미 기선을 제압 당하였던 것이다. 이 때 이스라엘의 비행기 손실은 19대 밖에 되지 않았다. 이집트는 아랍국가들의 맹주격이었기 때문에 이스라엘의 기습 공격의 주대상은 이집트가 되었다. 이스라엘은 전쟁발발과 동
참고문헌

전홍찬 (부산대 정치외교학과 교수), {팔레스타인 분쟁의 어제와 오늘} (부산대학교 출판부)
김중관, {한권으로 읽는 아랍} (평민신서)

한국중동학회, {이스라엘-팔레스타인의 분쟁이 양국 경제에 미치는 영향} (한국중동학회논총 제22호, 서울: 2003)

정상률, [팔레스타인 지역분쟁 : 우리의 대응방안] (서울: 2002, 정세와 정책)

최창모, {이스라엘사}

강권찬, [민족의 활화산 1 팔레스타인 : 민족분쟁의 최전선 팔레스타인] (서울: 2001, 한국민족 연구원)

공일주, 유공조, [팔레스타인 분쟁의 배경과 갈등구조] (서울: 1998, 한국중동학회)

박은성, [팔레스타인의 분쟁의 역사적 배경] (서울: 2002, 한국노동사회연구소) 2002.

[민족의 활화산 1 팔레스타인 : 중동분쟁 100 년] (서울: 2001, 한국민족연구원)

나오르아리예, [팔레스타인-이스라엘 분쟁에서 동기의 불합리성] (서울: 2001, 한국중동학회 )

http://www.sejong.org/Publications/정세와정책/periodical2.htm

한국국방연구원, 세계의 분쟁데이타베이스, www.kida.re.kr

ISSUE 『국제 지역 정보』제6권5호(통권 106호) 2002.5.1(http://segero.hufs.ac.kr/

http://ssrr.new21.net/geo_explore/geo_explore_4.ht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