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핵문제와 북미관계 속 한국의 전략적 선택과 한계 -제 2차 북핵 위기와 북미관계(부시행정부 8년을 중심으로)

 1  북핵문제와 북미관계 속 한국의 전략적 선택과 한계 -제 2차 북핵 위기와 북미관계(부시행정부 8년을 중심으로)-1
 2  북핵문제와 북미관계 속 한국의 전략적 선택과 한계 -제 2차 북핵 위기와 북미관계(부시행정부 8년을 중심으로)-2
 3  북핵문제와 북미관계 속 한국의 전략적 선택과 한계 -제 2차 북핵 위기와 북미관계(부시행정부 8년을 중심으로)-3
 4  북핵문제와 북미관계 속 한국의 전략적 선택과 한계 -제 2차 북핵 위기와 북미관계(부시행정부 8년을 중심으로)-4
 5  북핵문제와 북미관계 속 한국의 전략적 선택과 한계 -제 2차 북핵 위기와 북미관계(부시행정부 8년을 중심으로)-5
 6  북핵문제와 북미관계 속 한국의 전략적 선택과 한계 -제 2차 북핵 위기와 북미관계(부시행정부 8년을 중심으로)-6
 7  북핵문제와 북미관계 속 한국의 전략적 선택과 한계 -제 2차 북핵 위기와 북미관계(부시행정부 8년을 중심으로)-7
 8  북핵문제와 북미관계 속 한국의 전략적 선택과 한계 -제 2차 북핵 위기와 북미관계(부시행정부 8년을 중심으로)-8
 9  북핵문제와 북미관계 속 한국의 전략적 선택과 한계 -제 2차 북핵 위기와 북미관계(부시행정부 8년을 중심으로)-9
 10  북핵문제와 북미관계 속 한국의 전략적 선택과 한계 -제 2차 북핵 위기와 북미관계(부시행정부 8년을 중심으로)-10
 11  북핵문제와 북미관계 속 한국의 전략적 선택과 한계 -제 2차 북핵 위기와 북미관계(부시행정부 8년을 중심으로)-11
 12  북핵문제와 북미관계 속 한국의 전략적 선택과 한계 -제 2차 북핵 위기와 북미관계(부시행정부 8년을 중심으로)-12
 13  북핵문제와 북미관계 속 한국의 전략적 선택과 한계 -제 2차 북핵 위기와 북미관계(부시행정부 8년을 중심으로)-13
 14  북핵문제와 북미관계 속 한국의 전략적 선택과 한계 -제 2차 북핵 위기와 북미관계(부시행정부 8년을 중심으로)-14
 15  북핵문제와 북미관계 속 한국의 전략적 선택과 한계 -제 2차 북핵 위기와 북미관계(부시행정부 8년을 중심으로)-15
 16  북핵문제와 북미관계 속 한국의 전략적 선택과 한계 -제 2차 북핵 위기와 북미관계(부시행정부 8년을 중심으로)-16
 17  북핵문제와 북미관계 속 한국의 전략적 선택과 한계 -제 2차 북핵 위기와 북미관계(부시행정부 8년을 중심으로)-17
 18  북핵문제와 북미관계 속 한국의 전략적 선택과 한계 -제 2차 북핵 위기와 북미관계(부시행정부 8년을 중심으로)-18
 19  북핵문제와 북미관계 속 한국의 전략적 선택과 한계 -제 2차 북핵 위기와 북미관계(부시행정부 8년을 중심으로)-19
 20  북핵문제와 북미관계 속 한국의 전략적 선택과 한계 -제 2차 북핵 위기와 북미관계(부시행정부 8년을 중심으로)-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북핵문제와 북미관계 속 한국의 전략적 선택과 한계 -제 2차 북핵 위기와 북미관계(부시행정부 8년을 중심으로)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Table of Contents
Ⅰ) 서 론
Ⅱ) 제 2차 북핵 위기
Ⅲ) 북핵 위기에 따른 북-미관계 및 한국의 외교 방향
Ⅳ) 한국의 전략적 선택과 딜레마
Ⅴ) 결 론


주제어 : 제 2차 북핵 위기, 북-미관계, 전략적 선택, 딜레마


본문내용
미국 또한 상대적으로 아주 큰 손실은 입고 있다. 클린턴 정부 동안 미ㆍ북간 접근이 있었으나 북한은 우라늄 농축을 위해 파키스탄과의 비밀거래를 했다. 부시 대통령이 북한을 ‘악의 축’으로 비난하던 기간 동안 북한은 NPT를 탈퇴하고 추가적인 플루토늄 및 핵무기 생산에 들어갔다. 즉, 대화의 시도는 기만을 당했고, 대화의 단절은 북한에게 더 많은 핵무기를 만들 시간을 허용했다. 초강대국의 체면이 말이 아니게 된 것이다. 북한은 부시 대통령이 대북화해를 시도할 가능성이 없다는 점과 미국이 이라크와 아프간에 발목에 잡힌 상태에서 대북 무력행사가 불가능함을 알고 핵실험을 감행했다. 더 이상 잃어버릴 것이 없으므로 부시 대통령 재임 중 핵보유국의 지위를 점하는 것이 최상이라고 판단한 것이다.

또한, 이춘근,(자유기업원 부원장) “핵보유국 북한, 그 문제점과 해설”
http://blog.naver.com/cfeorg?Redirect=Log&logNo=140029892853(검색일: 2008년 12월 5일)
미국은 안보위협을 느낄 소지를 안고 있다. 핵무기가 제3의 세력에 이전된다면 곧바로 대미 테러에 사용될 수 있기 때문이다. 9.11 이전 미국은 북한 핵을 "동결(freeze)" 시킴으로써 북한 문제를 “해결” 했다고 생각했다. 당시 문제는 “핵확산” 이었기 때문이다. 지금 미국이 번민하는 문제는 “핵 테러리즘”이다. 그래서 미국은 북한이 단 한발의 핵도 가지고 있으면 안 된다고 생각하는 것이다. 그렇다면 북핵문제에 대한 해결을 위해서는 실질적인 키를 지니고 있는 미국이 어떤 외교적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며, 역할을 견지해야 할 것인지에 대해서 한번 심도있게 논의해봐야 할 것이다.


Ⅲ) 북핵 위기에 따른 북-미관계 및 한국의 외교 방향

1.북한의 대미외교

북한과 미국과의 관계는 양 국가가 추구하는 국가 이익과 목표, 이를 달성하는 능력과 자원, 전략 그리고 정책과 리더십의 교체에 따라 변화하는 요소와 환경들로 지난 60여 년간 나름의 '지속성'과 '변화'를 보였다. 세종연구소 북한연구센터 『북한의 대외관계』(서울: 한울, 2007), pp. 23.

북-미 관계는 미-소 양국의 한반도 분할 점령 이후 지금까지 상호 적대 관계를 지속했기 때문에 북한정부의 대미 인식은 기본적으로 부정적이고 방어적이라 할 수 있다. 미국의 역사적인 제국주의 성격으로 부정적인 이미지를 갖고 있는데 더해 6·25전쟁에서 미군의 무분별한 살생과 잔인한 만행을 강조하여 북한 내부의 반미감정은 극히 부정적 이미지를 갖게 되었다. 즉 북미관계에서 북한의 기본적 입장은 미국에 대한 부정적 시각이라 할 수 있다. 하지만 북한은 한반도의 긴장을 완화하고 통일을 이룩하기 위해서는 미국과의 대화가 필요함을 인식하여 미국과의 대화의문을 열어 놓았다. 세종연구소 북한연구센터 『북한의 대외관계』(서울: 한울, 2007), pp. 24-37.


북-미 관계에 있어 사상과 체제의 차이와 역사적 문제로 갈등은 끊임없이 존재해 왔지만 실제로 북-미 양국이 갖는 문제는 대부분 평화협정체결, 테러지원국해제, 주한미군철수, 대량살상무기 비확산, 미군유해 송환 등 대부분이 정치 군사적 문제들로 구성되어있다. 이는 냉전 해체기에 동맹외교가 무력화 됨에 따라 국가능력이 급속히 악화된 북한이 체제생존을 우선으로 독특한 외교행태와 군사적 위협에 크게 의존하면서 본격화되었다. 북한이 군사적 위협을 하나의 정책 수단으로 활용할 수 있는 것은 북한의 군사력규모와 함께 과거전쟁 및
참고문헌
[참고문헌]
김국신『부시 행정부의 대북 핵정책 추진 현황과 전망』(서울: 통일연구원, 2005)
주섭일『김정일과 부시의 대타협』(서울: 두리미디어, 2007)
정경환 『북한 핵문제의 실체적 해부』(서울: 이경, 2005)
김태환『9.11 이후 국제환경 변화와 남북한』(서울: 오름, 2004)
함규진『108가지 결정』(페이퍼로드, 2008)
임동원『피스메이커 (남북관계와 북핵문제 20년』(서울: 중앙북스, 2004),
편집부 『시대정신(2003년 겨울)』(서울: 시대정신, 2003)
세종연구소 북한연구센터 『북한의 대외관계』(서울: 한울, 2007)
서보혁 『탈냉전기 북미관계사』(서울: 신인도서출판, 2004)
안문석 『북한이 필요한 미국. 미국이 필요한 한국』(서울: 박영률출판사, 2006)
전재성 『“변화하는 국제정세와 바람직한 대북정책의 추진방향”,』사상』, 제49호,
통일연구원 [이명박 정부 대북 정책은 이렇습니다] 2007년 8월 일자.
이호성외『북한 사회의 이해』(서울: 인간사랑, 2002)
강성학 『새우와 고래싸움』(서울: 박영사, 2004)
서울평화포럼 주최. “국제정세 변화와 한반도 평화체제 구축방안”. 이재정 통일부 장관의 강연회 내용.
[미 대선 결과와 6자 회담의 미래 ] 에드와드 베이커 엔칭 동아시아문제연구소 전부사 장브루스클링크 선임연구위원 헤리티지 제단 의 특강.
통일연구원 “북한의 대미 군사 및 핵외교 전략”
이춘근,(자유기업원 부원장) “핵보유국 북한, 그 문제점과 해설”

『한국일보』 2007년 9월 7일자, 『한겨례』 2008년 2월 12일자,
- 『중앙일보』 2005년 2월 17일자.
http://blog.naver.com/cfeorg?Redirect=Log&logNo=140029892853(검색일: 2008년 12월 5일)
- SBS 인터넷 뉴스기사 “오바마 외교안보팀 발표 "북핵 확산 막아야"
http://news.sbs.co.kr/section_news/news_read.jsp?news_id=N1000509471(검색일: 2008년 12월 5일)
- 연합뉴스 최현욱 “통미봉남은 없다.”
http://www.pressian.com/article/article.asp?article_num=20081106105140&Section(검색일: 2008년 12월 5일)

Rchard Ned Lebow,(Baltimore: The Johns University Press, 1981) 『Between Peace and War』 ,p61-82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