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봉건의 시론과 시세계

 1  전봉건의 시론과 시세계-1
 2  전봉건의 시론과 시세계-2
 3  전봉건의 시론과 시세계-3
 4  전봉건의 시론과 시세계-4
 5  전봉건의 시론과 시세계-5
 6  전봉건의 시론과 시세계-6
 7  전봉건의 시론과 시세계-7
 8  전봉건의 시론과 시세계-8
 9  전봉건의 시론과 시세계-9
 10  전봉건의 시론과 시세계-10
 11  전봉건의 시론과 시세계-11
 12  전봉건의 시론과 시세계-12
 13  전봉건의 시론과 시세계-13
 14  전봉건의 시론과 시세계-14
 15  전봉건의 시론과 시세계-15
 16  전봉건의 시론과 시세계-16
 17  전봉건의 시론과 시세계-17
 18  전봉건의 시론과 시세계-18
 19  전봉건의 시론과 시세계-19
 20  전봉건의 시론과 시세계-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전봉건의 시론과 시세계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목 차

들어가며

전봉건의 생애

전봉건의 1950년대 시연구-전쟁체험의 시적 개입

전봉건 시인을 통한 1950년대 시의 재인식

본론

밝은 생명과 전통 서정의 시세계
-전쟁 이전의 시

파편화된 의식과 물질화된 언어
- 6.25 전쟁과 그 직후의 초기 시 (1950~1952)

‘금 간 거울의 틈’에 나타나는 욕망
-1950년대후반~60년대후반

에로스적 상상력을 통한 내면세계의 복구와 고향탐색


통합적 세계를 지향하는 은유적 인식

-후반기 70,80년대의 시

- ‘여성’과 ‘돌’이미지가 보여주는 합일의 세계

‘피’의 이미지가 재현하는 ‘고향’

과거를 현실로 받아들여 이루어지는 과거와의 소통

결론

전봉건의 시론과 시세계


1950년대 모더니즘과 전봉건


본문내용
-돌밭에 오면 - 제 1,2연

-> 이 시의 1연은 ‘돌밭에 오면/~을 볼 수가 있읍니다’라는 구절이 반복되고 있다. 이 때 강물, 바람 물새, 구름, 햇살이 돌밭에서 볼 수 있는 대상이 등장하는데 이는 자연의 일부라는 동질성을 띤다. 2연에서는 ‘돌밭에 오면 /내가 스스로 기꺼이 내 무릎을 꿇을 수 있습니다’라는 구절이 반복되고 3연은 1연과 같은 구절이 반복되어 병렬적 구조를 보인다. ‘돌밭’에서 볼 수 있는 것은 돌뿐이지만 돌을 통하여서 바로 자연을 느낄 수 있기 때문에 돌만 있는 황무지같은 곳에서 역설적으로 아름다운 자연을 찾을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여기서는 돌의 자연이라는 유사성을 통해 은유적 수사가 작용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반복 구조를 통하여 돌을 통해 자연을 볼 수 있다는 것을 강조하고 있다.
자연을 통해서 현실을 바라보는 반복 구조를 형성하고 있는 것은 「여울물」이라는 시를 통해서도 살펴볼 수 있다.

여울물이 옷을 벗긴다
여울물이 살을 벗긴다
여울물이 피를 삭인다
여울물이 뼈를 녹인다 -「여울물」의 부분

1행부터 4행까지는 ‘여울물이~를 녹인다’의 구조가 반복되며 병렬적 구조를 취하고 있다. 옷,살 , 피, 뼈의 순서대로 ‘여울물’과 섞이고 있는 모습을 보여준다. 그러므로 ‘여울물’이라는 공간만 남게되어 주체와 주체가 만나는 합일의 공간이 된다. 옷에서 살로 살에서 피로 점점 사람의 내부로 들어가는 모습은 자연과 인간의 합일된 모습을 보여준다. 이는 자연을 통해서 전혀 다른 것 속에서 은유적인 동일성을 발견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하여 반복구조를 통해 나와 자연이 동일화되는 과정으로 드러난다 .
이처럼 전봉건의 시들에서는 다르게 보이는 세계들 속에서 유사성을 발견하고 병렬과 반복을 통하여서 의미를 공고히 한다. 이것은 각자 처해있는 위치는 다르지만 ‘과거’를 기반으로 현재를 살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그리하여 병렬과 반복을 통하여 보여주는 은유적 세계관은 이질적으로 보이는 요소들이 내재하고 있는 유사성을 통해서 통합의 가능성을 보여주는 것이다.

지금까지 시들의 특징은 병렬과 반복을 통해 ‘나’와 ‘자연’의 동일화를 추구하고 있다. 앞에서 살펴본 것처럼 전봉건의 후기 시는 유사성을 기반으로 하여 사물들 사이의 동일성을 추구하며 이상 세계를 지향하고 있었다. 이 지향점은 시적 주체와 대상 사이의 동일화를 통해 드러난다.
먼저 그의 시들 중에는 ‘여성’과 ‘돌’의 이미지를 통해서 과거를 현재 시점에서 재현하고 그로 인해 과거와 현재의 화해를 시도하며 통합하려는 주체의 시도를 읽어낼 수 있다. ‘여자’와 ‘돌’의 이미지로 나타나는 이상 세계는 ‘나’에게 집중하는 것이 아니라 대상 이미지를 중심으로 할 때 드러난다. 시적 주체는 바로 전쟁 이전의 평화로운 세계를 추구하는데 이것은 현재 갈 수 없는 ‘북의 고향’을 그리며 나타나고 그로 인해 현재와 과거의 합일을 보여준다.


- ‘여성’과 ‘돌’이미지가 보여주는 합일의 세계

하기야 그 사이/3월이라는데/온 천지를 얼구는/ 영하의 눈발이 쳤고
요즈음엔 숨 막히는/ 황사까지 덮쳤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