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문학사] 1910년대의 시와 소설

 1  [현대문학사] 1910년대의 시와 소설-1
 2  [현대문학사] 1910년대의 시와 소설-2
 3  [현대문학사] 1910년대의 시와 소설-3
 4  [현대문학사] 1910년대의 시와 소설-4
 5  [현대문학사] 1910년대의 시와 소설-5
 6  [현대문학사] 1910년대의 시와 소설-6
 7  [현대문학사] 1910년대의 시와 소설-7
 8  [현대문학사] 1910년대의 시와 소설-8
 9  [현대문학사] 1910년대의 시와 소설-9
 10  [현대문학사] 1910년대의 시와 소설-10
 11  [현대문학사] 1910년대의 시와 소설-11
 12  [현대문학사] 1910년대의 시와 소설-12
 13  [현대문학사] 1910년대의 시와 소설-13
 14  [현대문학사] 1910년대의 시와 소설-14
 15  [현대문학사] 1910년대의 시와 소설-15
 16  [현대문학사] 1910년대의 시와 소설-16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현대문학사] 1910년대의 시와 소설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목 차


Ⅰ. 시대개관

Ⅱ. 1910년대의 시

1. 1910년대 시문학의 양상

2. 신체시의 과도기적 성격

1) 최남선과 신체시의 의의와 한계

2) 춘원과 그 밖의 시인들

(1) 춘원(春園) 이광수

(2) 소성(小星) 현상윤

(3)소월(素月) 최승구

(4)유암(流暗) 김여제

3) 김억과 『태서문예신보』의 시인들


Ⅲ. 1910년대의 소설

1. 소설의 전대(前代)문학과의 관계

2. 1910년대 소설의 양상

1) 부르주아 계몽주의자의 허위의식과 이광수의 소설

(1) 이광수 소설에 대한 이해

(2)「무정」을 통해 보는 이광수 소설의 한계점

2) 부르주아 계몽주의자의 자기인식과 비관주의적 단편소설

3) 국외의 항일투쟁과 신채호의 소설

4) 창조파 등장과 순수문예 선언

◎ 생각해볼 문제


본문내용

2. 신체시의 과도기적 성격

1) 최남선과 신체시의 의의와 한계

신체시가 첫 선을 보인 것은 『소년』지 창간호(1908.11)를 통해서였다. 최남선은 자신이 발행한 우리나라 최초의 잡지인 『소년』지 첫머리에 『海에게서 少年에게』를 발표한다.
이 시에서 작자는 ‘계몽적 화자’를 내세워서 소년의 무한한 힘과 진취적 기상을 바다의 거센 파도에 비유하여 활달하게 형상화하고 있다. “태산같이 높은 뫼”로 표상되는 어떠한 물리적 힘이나, 진시황이나 나폴레옹으로 상징되는 인간의 어떠한 권세도 소년의 힘과 기상 앞에서는 한갓 무력한 대상일 뿐이라는 것을 거듭 강조함으로써 역사를 혁신할 주역으로서의 소년에 대한 기대와 열린 세계를 지향하는 자세를 활달하게 펴 보였다.
그러므로 이 시의 새로움은 소년이라는 새로운 세대에 의해 새 시 대가 희망차게 열릴 수 있다는 낙관적 전망을 거침없이 제시하고 있다는 것인데, 형식과 표현에 있어서도 그것에 걸맞게 전혀 거침없이 활달하다.
각 연의 허두와 끝자리에 의성어가 사용되고 있고, 그 의성어는 단순한 음상징의 효과만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다분히 시대를 의식한 제작자의 철학이 내재되어 있다. 또 이 시에는 개항 이후 우리 주변에서 본격적으로 쓰이기 시작한 구어체 종결어미인 ‘-다’가 한 행에 연거푸 세 개나 쓰고 있기도 하다. 이는 작품이 지니는 의미의 매듭을 선명하게 전달하며 그 호흡을 경쾌하게 만든다. 그리하여 그 운율을 박력 있게 하는 데 기여하고 있는 것이다.
이 시는 형식에 있어서도 그 이전의 시들과 확연히 구별되는 매우 새로운 것이었다.
우선 첫째로 이 시는 얼핏 봐서도 매우 자유스러운 형식으로 보인다. 새로운 시대의 새로운 사상은 전통적으로 계승해 온 시조의 정형률에 의거하여 표현할 수 없었으므로 불가피하게 새 사상이 요청하는 새 형식을 창안하지 않을 수 없었던 것으로 생각되며 그 결과 최남선은 새 시대가 요청하는 내용과 어울리는 대담한 변조로써 1연 7행의 새로운 형태를 만들어 낸 것이다.
그런데 이 시는 한 연만 보면 자유시이지만, 각 연에 대응되는 행들끼리는 모두 일정한 자수율을 지키는 정형성을 유지하고 있다. 그래서 일찍이 조연현 교수는 정형성을 깨뜨렸다는 점에서 ‘한국 詩歌史上 혁명적인 의의’를 지닌 것으로 보면서도 각 연 대응 행끼리의 정형적 자수율 때문에 ‘반율문적(半律文的)’(즉 반정형적)인 것으로 보아 ‘형태상의 불안정성’을 말하고 있다. 또 김춘수 교수도 이러한 현상에 대해 ‘기형적인 자유시 내지 준자유시’로 보면서, “심리적으로는 퍽 불안항 형태라 할 수 있겠고, 역사적으로는 진보적인 형태”라고 하여 과도기 시 형식으로서의 약점과 역사적인 진보성을 동시에 언급하고 있다. 이 경우 역사적으로 진보적인 형태란 신체시 형식의 근대로의 근접성을 의미한다고 할 수 있다.
둘째로 「해에게서 소년에게」의 새로운 면모로 구어체와 의성어의 사용을 들 수 있겠다. 앞에서도 언급했지만 이 시는 그 이전의 개화가사나 창가보다 구어체 어휘를 많이 사용하고 있다. 그리고 속도감을 수반한 문체 역시 간과될 일이 아니다. 또 하나 신체시에는 행과 연에 대한 인식의 자취와 함께 구두점의 사용이 매우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본래 구두점의 사용은 작품의 형태, 특히 운율과 밀접한 상관관계를 지닌다. 구두점은 시작에 사용될 때 의미의 단락과 단락 사이에 쓰이면서 그 한계를 명시하는 역할을 한다. 아울러 다음 단란과 연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