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igh Volume Air Sampler를 이용한 대기 중 부유분진 농도 측정

 1  High Volume Air Sampler를 이용한 대기 중 부유분진 농도 측정-1
 2  High Volume Air Sampler를 이용한 대기 중 부유분진 농도 측정-2
 3  High Volume Air Sampler를 이용한 대기 중 부유분진 농도 측정-3
 4  High Volume Air Sampler를 이용한 대기 중 부유분진 농도 측정-4
 5  High Volume Air Sampler를 이용한 대기 중 부유분진 농도 측정-5
 6  High Volume Air Sampler를 이용한 대기 중 부유분진 농도 측정-6
 7  High Volume Air Sampler를 이용한 대기 중 부유분진 농도 측정-7
 8  High Volume Air Sampler를 이용한 대기 중 부유분진 농도 측정-8
 9  High Volume Air Sampler를 이용한 대기 중 부유분진 농도 측정-9
 10  High Volume Air Sampler를 이용한 대기 중 부유분진 농도 측정-10
 11  High Volume Air Sampler를 이용한 대기 중 부유분진 농도 측정-11
 12  High Volume Air Sampler를 이용한 대기 중 부유분진 농도 측정-12
 13  High Volume Air Sampler를 이용한 대기 중 부유분진 농도 측정-13
 14  High Volume Air Sampler를 이용한 대기 중 부유분진 농도 측정-14
 15  High Volume Air Sampler를 이용한 대기 중 부유분진 농도 측정-15
 16  High Volume Air Sampler를 이용한 대기 중 부유분진 농도 측정-16
 17  High Volume Air Sampler를 이용한 대기 중 부유분진 농도 측정-17
 18  High Volume Air Sampler를 이용한 대기 중 부유분진 농도 측정-18
 19  High Volume Air Sampler를 이용한 대기 중 부유분진 농도 측정-19
 20  High Volume Air Sampler를 이용한 대기 중 부유분진 농도 측정-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High Volume Air Sampler를 이용한 대기 중 부유분진 농도 측정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서론
1) 요약(목적과 의의)
2. 본론
1) 원리
(1) 먼지(TSP, PM10, PM2.5)
(2) TSP의 영향
(3) 여과지
2) 실험방법
3) 결과
3. 결론
1)결과분석
2)오차원인
3)오차보정
4)가시거리 예측
본문내용
▶효율적인 오염저감대책을 강구하기 위해서는 대기 중에서의 철저한 오염상태 파악이 필요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대기오염상태를 수량적으로 표시할 수 있는 척도가 필요하므로, 대기오염도를 잴 수 있는 측정기기들을 과학적이고 계획적으로 설치하여 대기오염의 정도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저희는 하이볼륨에어샘플러법을 이용하여 대기중 총 부유분진을 포집한 후 분진농도를 계산하고, 결과값에 대한 고찰을 통해
실제 실험 장소의 대기중 부유분진의 오염정도를 파악할 수 있었습니다.
▶그렇다면 우선 먼지에 관해 간단히 알아보겠습니다.
먼지란 대기 중에 떠다니는 입자상 물질로 보통 0.1∼500㎛의 크기를 가지며, 무거워서 침강하기 쉬운 것을 강하분진, 입자가 가벼워서 장기간 대기 중에 떠다니는 것을 부유분진으로 분류 합니다.
또 먼지의 직경에 따라 분류하기도 하는데요, PM-10은 입자의 크기가 10㎛ 이하인 먼지, PM-2.5은 입자의 크기가 2.5㎛ 이하인 먼지를 말합니다. TSP는 총부유분진이라고 하며, 입경에 관계없이 부유하는 모든 먼지를 말한다.
입자의 크기가 10㎛이상인 경우에는 인체의 건강에 영향이 적어 2001년부터 대기환경기준항목에서 TSP를 삭제하고 PM-10으로 환경기준을 변경하였습니다.
▶보시는 표는 대기환경오염 먼지농도 기준입니다.
우리나라는 TSP에 관한 환경기준을 사용하다가 TSP보다는 PM10이 생물권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고 판단하고 94년부터 PM10에 대한 기준을 마련하고 2001년부터는 TSP농도기준은 삭제하였습니다.
입자의 크기가 작을수록 건강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는 결과에 따라 선진국에서는 90년대 후반부터 미세입자에 대한 환경기준을 도입하기 시작했습니다. 실예로 미국은, 87년에 PM10에 관한 기준을, 97년에 PM2.5에 관한 기준을 마련했다고 합니다. 이런 추세로 볼때 우리나라도 곧 PM2.5가 먼지농도 기준이 되지않을까 생각합니다.
참고문헌
「최신대기오염개론」박태술, 2007, 21세기사, p62-69
「대기환경학」김용표 외 9명, 2006, 향문사, p153-157
「환경화학」이덕수 외 4명, 2005, 신광출판사, p141-160
「대기환경관리」조병환, 1999, 향문사, p60-66, 250, 286
「환경공학개론(지구환경과학)」이병학 외, 2008, 동화기술, p210
「 대기오염학 」김기현 외, 2000, 향문사, p155
「 최신산업위생관리」한돈희 외, 2007, 동화기술, p332-337
「환경오염공학실험」백웅완 외, 2000, 신광출판사, p39-43
「대기오염방지기술」강공언 외, 2005, 신광문화사, p158-159

http://www.kma.go.kr – 기온, 습도, 부유분진농도의 측정자료

http://www.konetic.or.kr/?CTYPE=3&p_name=dbsv&query=view&sort=F&sort2=F4&sub_page=env_lib&unique_num=49302 - 미세먼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