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사조직] 그룹 내 남녀 성비에 따라 근로자 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1  [인사조직] 그룹 내 남녀 성비에 따라 근로자 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1
 2  [인사조직] 그룹 내 남녀 성비에 따라 근로자 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2
 3  [인사조직] 그룹 내 남녀 성비에 따라 근로자 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3
 4  [인사조직] 그룹 내 남녀 성비에 따라 근로자 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4
 5  [인사조직] 그룹 내 남녀 성비에 따라 근로자 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5
 6  [인사조직] 그룹 내 남녀 성비에 따라 근로자 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6
 7  [인사조직] 그룹 내 남녀 성비에 따라 근로자 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7
 8  [인사조직] 그룹 내 남녀 성비에 따라 근로자 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8
 9  [인사조직] 그룹 내 남녀 성비에 따라 근로자 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9
 10  [인사조직] 그룹 내 남녀 성비에 따라 근로자 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1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인사조직] 그룹 내 남녀 성비에 따라 근로자 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I.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및 가설

2. 1 조직시민행동 및 타부서 이직의도

2. 2 갈등의 매개효과

III. 연구의 방법

1. 연구의 표본

2. 변수 및 연구의 모형

참고문헌


본문내용
Ⅱ. 이론적 배경 및 가설

Gender의 다양성이 조직성과 및 근로자에 태도에 미치는 영향은 많은 연구에서 유의미한 결과를 밝혀내지 못하거나 상반된 결과를 도출하고 있다. 특히 많은 선행연구에서는 조직 내 여성 차별, 남성과 여성의 생태학적 차이, 가치관 차이, 모성모호 등 조직 내 남성과 여성의 차이나 차별에 중점을 두었다.

젠더의 다양성에 대한 긍정적인 관점인 Maznevski(1994)연구에서 믹스된 젠더그룹은 의사결정과정에서 다양성을 도출하여 긍정적인 영향을 밝혔으며, 또 다른 연구에서는 젠더의 다양성이 정보교환을 활성화하고(Van Hiel and Schittekatte, 1998), 많은 정보량이 필요한 복잡한 경영상황에서는 조직효과성을 높이며(Graham & Derrick, 2001), 여성은 상호의존적이고 인간중심적이며 협력적이여서 남성의 경쟁중심이고 일방적 의사결정 방식의 문제점을 상호보완 한다는 연구(Smith and Stander, 1981; Fenwick & Neal, 2001), 시대적 흐름이 남성중심에서 여성중심으로 조직문화가 바뀌고 있으므로 조직 내 Gender의 다양성은 필요하다는 연구(Alvesson & Billing, 2002) 등이 있다. 그러나 Gender에 대한 연구는 부정적인 결과가 다수를 이루고 있는데 이는 Byrne(1971)이 제시한 Similarity-Attraction-Paradigm의 근거로 설명할 수 있다. 개인은 자신과 동일한 인구생태학적 특성(인종, 학력, 성별, 나이)을 가진 사람을 선호하고 함께 있기를 원한다. 그 결과 남성은 남성과 함께 여성은 여성과 함께 근무하기를 희망하며(Preffer, 1983; Tsui & O'Reilly, 1989), 젠더의 다양성은 그룹 및 조직 내 상호간 갈등 증대 및 협력 감소를 통해 근로자 태도 및 조직 성과에 부정적인 영향을 준다. 조직 내 다양성에 대한 또 다른 접근인 Social Categoriation-Pagadigm에서도 조직 내 개인은 내부그룹와 외부그룹으로 구분하는 특성이 있기 때문에 자신의 그룹에서 타 그룹에 대한 편견과 인식적 오류로 인해 타 갈등과 커뮤니케이션 단절이 발생하고 그 결과 조직몰입이나 부정적인 조직에 대한 인식이 발생한다고 밝히고 있다(Williams & O'Reilly, 1998).

젠더에 관한 다양한 연구도 Similarity-Attraction-Paradigm 및 Social Categoriation -Pagadigm의 이론과 같이 Gender의 다양성은 내부구성원간 동질성 저해(Byrne,
참고문헌
참고문헌

김옥선, 김효선(2010), 다중역할의 상호향상 효과 : 일-가정 영역 간 자원의 긍정적 전이에 관한 분석, 경영학연구, 29(2), 375-407.
김종철(2009), 공무원의 노조몰입 결정요인과 노조몰입이 노조참여 및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 단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전무경, 김정환, 한권희, 남궁일성(2006), 조직 내 갈등이 조직구성원의 직무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대한경영학연구, 19(1), 159-180.
오민정, 정진철(2009), 기업의 위미니지먼트스타일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비지니스리뷰, 2(3), 101-123.
Kolb, Fletcher, Meyerson, Merrill-Sands & Ely (2003). Making Change: A framework for promoting gender equity in organizations.
Williams, K. and O’Reilly, C. 1998. “Demography and Diversity in Organizations: A Review of 40 Years of Research.” in B. Staw and L. Cummings (Eds.), Research in Organizational Behavior, 20, pp. 77-140.
Allmendinger, J. and Hackman, J. R. 1995. “The More the Better? A Four-Nation Study of the Inclusion of Women in Symphony Orchestras.” Social Forces, 74, pp. 423-460.
Baron, J., Hannan, M., Hsu, G., and Kocak, O. 2002. “Gender and the Organization-Building Process in Young High-Tech Firms,” Chapter 10 in M. F.Guillén, R. Collins, P. England, and M. Meyer (eds.), The New Economic Sociology: Developments in an Emerging Field. New York: Russell Sage Foundation, pp. 245-273. Adding a historical view to the question of proportions of men and women in firms.
Alvesson, M. and Due Billing, Y. 2002. “Beyond Body Counting: A discussion of the social construction of gender at work.” In I. Aaltio and A. J. Mills (Eds.), Gender, Identity and the Culture of Organizations. NY:Routledge, pp. 72-91.
Jennifer A Chatman & Charles A. O'Reilly(2004), Asymmetric reactions to work group sex diversity among men and women,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47(2), 193-208.
Eden B. King, Michelle R. Hebl & Daniel J. Beal(2009), Conflict and cooperation in diverse Workgroups, Journal of Social Issues, 65(2), 261-285.
Lisa Hope Pelled(1996), Demographic diversity, conflict, and work group outcomes: An intervening process theory, Organization Science, 7(6), 615-631.
Thomas Kochan, Katerina Bezrukova, Robin Ely, Susan Jackson(2003), The effects of diversity on business performance: Report of the diversity research network, Human Resource Management, 42(1), 3-21.
Graham D. Fenwick & Derrick J. Neal(2001), Effect of gender composition on group performance, Gender, work and Organization, 8(2), 205-2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