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왕조실록 분석

 1  조선왕조실록 분석-1
 2  조선왕조실록 분석-2
 3  조선왕조실록 분석-3
 4  조선왕조실록 분석-4
 5  조선왕조실록 분석-5
 6  조선왕조실록 분석-6
 7  조선왕조실록 분석-7
 8  조선왕조실록 분석-8
 9  조선왕조실록 분석-9
 10  조선왕조실록 분석-10
 11  조선왕조실록 분석-11
 12  조선왕조실록 분석-12
 13  조선왕조실록 분석-13
 14  조선왕조실록 분석-14
 15  조선왕조실록 분석-15
 16  조선왕조실록 분석-16
 17  조선왕조실록 분석-17
 18  조선왕조실록 분석-18
 19  조선왕조실록 분석-19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조선왕조실록 분석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목 차
Ⅰ. 조선왕조실록 개관


1. 조선왕조실록

2. 실록의 재질 및 장정

3. 실록의 편찬과정

1) 자료준비

2) 실록청 설치

3) 실록편찬

4) 사본


4. 실록의 보존

1) 분산보존

2) 사고관리

3) 실록궤

Ⅱ. 조선왕조실록 분석


1. 조선왕조실록의 특수성

1) 당대사(當代史)
2) 도덕적 교훈사관에 입각한 역사서

3) 지배층 위주의 편년체 역사서

2. 조선왕조실록 속에 나타나는 역사사상

1) 유교적 역사의식 : 상고주의(尙古主義)와 춘추필법(春秋筆法)


2) 객관성을 추구하기 위한 직서주의(直書主義)

3) 후대의 평가를 위한 상세 기록

3. 실록 속에 나타나는 사대부들의 역사인식

1) 소중화인식(小中華認識)

2) 조선중화주의(朝鮮中華主義) 역사인식
. 현대의 조선왕조실록


1. 현재의 보존

2. 국역사업(國譯事業)

3. Digital 조선왕조실록

1) 개관


2) 열람방식

3) 구(舊) 자료의 보완

4) 디지털 조선왕조실록의 의의

Ⅳ. 결 론 : 조선왕조실록의 의의(意義)
※ 별 첨

※ 參 考 文 獻
본문내용
4. 실록의 보존

모든 기록이 그러하듯이 정확하고 객관적인 기록을 하는 것 자체도 물론 중요하지만 그만큼, 혹은 그보다 더 중요한 것이 그 기록의 보존과 활용이다. 아무리 좋은 기록이 있다 한들 그것이 온전히 후대로 전달되지 못한다면, 그 기록의 존재 가치는 없는 것이나 다름없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런 이유로 하여 조선 당시에도 실록의 보존은 매우 중요한 문제였다. 조선의 국가기록 중 그 중요도가 가장 높다고 할 수 있는 것이 바로 실록이었고, 만일에 실록에 해가 생기기라도 한다면 그것은 곧 국가전반에 큰 타격을 가져올 수도 있는 큰 문제였던 것이다. 지금으로 치면, 국가의 모든 기밀문서 및 중요문서가 사라지는 상황과도 비견할 수 있을 것이다.
상식적으로 생각해 볼 때 보존성이 뛰어난 한지로 제작된 실록이지만 결국 종이로 이루어져 있고, 그것은 굳이 천재지변이나, 변란만이 아니라, 습기나, 열기에 매우 약함은 물론, 물리적인 파손에도 쉽게 상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물론 시간, 즉 세월의 흐름 역시 무시할 수 없는 실록의 훼손이다. 그러한 이유들로 인하여 조선에서는 실록의 보존에도 고심한 것으로 보이며, 고심의 결과로 시행된 보존의 방법이 오늘날의 우리에게까지 실록을 온전한 모습으로 남겨주었다.


1) 분산보존

실록은 실록의 보관을 위해 특별히 세워진 사고(史庫)에서 보존되었다. 사고의 가장 중요한 임무는 실록을 안전하게 보관하는 일이었고, 조선초기의 사고운영은 고려시대의 예를 그대로 따라 내사고인 춘추관사고와 외사고인 충주사고 두 곳을 세워 운영하다가, 세종대에 이르러 실록의 복본을 원본을 포함해 4부를 만들어 전국에 설치한 각 사고에 보관을 했다. 즉 본격적인 분산보존을 시작한 것이다. 이것은 실록의 보관을 위한 대표적인 방법으로써 실록의 복본을 전국의 각지에 흩어 보존하게 함으로써 만일의 경우 한 사고의 실록이 소실되어도 다른 곳의 다른 사고들로부터 다시 내용을 복구할 수 있도록 한 장치이다.
이 당시의 사고는 중앙(창덕궁 내)의 춘추관, 충주, 전주, 성주에 있었다. 이곳들은 모두 교통이 편리한 인가근처로, 실록의 관리의 편리성을 고려한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이
참고문헌
< 참고서적 >

1. 이성무,『조선왕조실록 어떤 책인가』, 동방미디어, 2002(1판 4쇄).
2. 송기중·신병주·박지선·이인성,『조선왕조실록 보존을 위한 기초 조사연구(1)』,서울대학교 출판부, 2005.
3. 김성수,「한국의 세계기록유산 보존 현황 및 과제」,『한국기록관리학회지 제 5권 제 2 호』, 2005.
4. 박찬승,「기록이 없으면 역사도 없다」,『기록관리보존 제11호』, 한국기록관리협회, 2007. 3.
5. 지두환, 『조선시대 사상과 문화』, 도서출판 역사문화, 2003.
6. 정옥자, 『조선후기 역사의 이해』, 일지사, 2003.
7. 김경수, 『朝鮮時代의 史官硏究』, 국학자료원, 1998.
8. 문화관광부, 국어 정책 자료집, 문화관광부 : 2002.
9. 문화재청, 다시 찾은 朝鮮王朝實錄 오대산사고본, 국립고궁박물관, 2006.
10. 김문식․신병주,『조선왕실기록문화의꽃, 의궤』, 돌베개, 2005

< 참고사이트 >

1. 조선왕조실록 공식홈페이지 - http://sillok.history.go.kr/
2. 문화재청 - http://www.cha.go.kr/
3. 서울문화재-http://sca.visitseoul.net/
4. KBS역사스페셜 - http://www.yushin.or.kr/@history/dvd-kbshistory/kbs056.htm
5. 가우리 블로그
- http://cafe.naver.com/gaury.cafe?iframe_url=/ArticleRead.nhn%3Farticleid=7509
6. 뉴스검색 - http://www.hani.co.kr/arti/culture/culture_general/193451.html.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