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론정보학] 가족의사소통이 부모의 영화 관람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1  [언론정보학] 가족의사소통이 부모의 영화 관람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1
 2  [언론정보학] 가족의사소통이 부모의 영화 관람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2
 3  [언론정보학] 가족의사소통이 부모의 영화 관람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3
 4  [언론정보학] 가족의사소통이 부모의 영화 관람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4
 5  [언론정보학] 가족의사소통이 부모의 영화 관람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5
 6  [언론정보학] 가족의사소통이 부모의 영화 관람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6
 7  [언론정보학] 가족의사소통이 부모의 영화 관람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7
 8  [언론정보학] 가족의사소통이 부모의 영화 관람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8
 9  [언론정보학] 가족의사소통이 부모의 영화 관람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9
 10  [언론정보학] 가족의사소통이 부모의 영화 관람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10
 11  [언론정보학] 가족의사소통이 부모의 영화 관람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11
 12  [언론정보학] 가족의사소통이 부모의 영화 관람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12
 13  [언론정보학] 가족의사소통이 부모의 영화 관람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13
 14  [언론정보학] 가족의사소통이 부모의 영화 관람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14
 15  [언론정보학] 가족의사소통이 부모의 영화 관람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15
 16  [언론정보학] 가족의사소통이 부모의 영화 관람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16
 17  [언론정보학] 가족의사소통이 부모의 영화 관람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17
 18  [언론정보학] 가족의사소통이 부모의 영화 관람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18
 19  [언론정보학] 가족의사소통이 부모의 영화 관람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19
 20  [언론정보학] 가족의사소통이 부모의 영화 관람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언론정보학] 가족의사소통이 부모의 영화 관람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론
2. 기존 연구 및 문헌검색
3. 연구 문제 및 모형 설정
4. 연구 방법
5. 분석 결과
6. 연구결과 및 제언

본문내용
(2) 중장년층의 영화 관람 빈도

① 중장년층

자녀를 둔, 40-50대의 부모층을 연구 대상인 중장년층으로 설정하였다.

② 영화 관람 빈도

영화 관람은 TV, 인터넷, 극장 등 다양한 통로에서 일어날 수 있다. 그러나 이 연구에서는 영화 관람의 가족 여가 활동에서의 측면을 강조하였으므로, 직접 극장에 찾아가 관람하는 경우만을 측정하였다.

2) 표본선정 및 설문지 구성

본 연구의 연구문제를 실증적으로 조사하기 위하여 설문지법을 이용하였으며, 서울대학교 사회과학대학 재학생과 그 부모를 대상으로 하였다.
설문지는 부모와 자녀를 따로 구성하였다. 우선 자녀가 응답하는 설문지는 크게 2부분으로 구성되었는데 1부에는 가족의사소통 유형 측정 문항이 포함되었고, 2부에는 영화관람 관련 문핟이 포함되었다. 다음으로 부모가 응답하는 설문지에는 영화 관련 질문이 포함되었다. 부모에게 설문을 받는 유사한 연구들에서 부부 중 한 배우자만으로 적합한 응답을 얻어낼 수 있는지, 아니면 부부 모두를 응답자로 해야 하는지에 관한 논쟁이 있어왔다. 과거 연구에 의하면 남편과 부인에 대한 각각의 응답 결과와 부부가 함께 응답했을 때의 결과를 비교해 볼 때, 그 결과가 매우 유사하다고 밝히고 있다(Davis 1970). 그러나 위와 상반되는, 동일가족의 남편과 부인의 응답을 비교하면 상당한 불일치를 보이므로 부부의 양자에게서 응답을 얻어야 한다는 연구도 있었다(Ekstrom, Tansuhaj and Foxman 1989). 본 연구에서는 한 가정의 부모 중 가능하면 함께 응답하도록 하였다. 그러나 시간 관계상, 함께 응답할 수 없는 경우에는 한 사람이 임의로 응답하도록 하였다.
설문지는 학교에서 학생들에게 전달되어 설문지의 가족 의사소통 유형을 묻는 전반부는 학생들이 학교에서 작성하도록 하고, 나머지 부모의 영화 관람에 대한 질문들은 귀가하여 학생의 부모가 작성한 후 다음날 회수하였다. 배부된 설문지 중 총 92매가 분석대상이 되었다.

3) 측정 및 분석 방법

(1) 의사소통 형태의 측정

참고문헌
참고문헌

김광수 (2000). 영화선택 및 평가의 관한 연구: 광고, 비평, 그리고 기대개념을 중심 으로. 「광고연구」, 제 48호, 139~164.
강지연 (2002). 「영화마케팅 전략에 관한 연구」. 서강대학교 영상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문정미․김수경․임숙자 (2006). 가족의사소통과 의복관심이 청소년의 의복구매영 향력에 미치는 영향. 「대한가정학회지」,제 44권 12호, 93~103.
박승현․정완규 (2009). 한국 영화시장의 흥행결정 요인에 관한 연구: 2006-2008년 개봉작품을 중심으로. 「언론과학연구」, 제 9권 4호, 243~276.
박진영 (1997). 가족외식구매의사결정에 있어서 자녀의 역할에 관한 연구. 「관광연 구」, 제 9권. 143~161.
영화진흥위원회 (2009). 「2009 한국 영화산업 결산.」
윤혜준 (2001). 「소비자의 영화선택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동국 대학원 석사 학 위논문.
이동휘 (1998). 구매활동에 있어서 부부의 영향에 관한 실증적 연구. 「여성가족생활연구」, 제 3권, 77~106.
이학식․이희정 (1991). 가족구매의사결정에 있어서 자녀의 영향력에 관한 연구. 「소비자 학 연구」, 제 2권 1호, 1~12.
이준민․신화경 (2005). 중년층의 여가활동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 지」, 제 23권 1호, 161~172.
신봉섭․박주영 (2006). 제품유형에 따른 소비자의 구매위험지각이 정보탐색수준에 미치는 영향. 「마케팅과학연구」, 제16권 3호, 143~167.
전범수 (2003). 국내 영화관람객의 소비 행동: 영화관람 집단별 관람동기, 선택기준, 의존미 디어, 선호장르의 비교. 「한국방송학보」,
제 17권 2호, 297~326.
조재영 (2006). 영화홍보에 있어 구전 커뮤니케이션의 효과. 「한국광보홍보학보」, 제 7권 4호, 193~217.
조희라․이선재 (2000). 가족커뮤니케이션과 의복 구매유형에 따른 청소년의 마켓 가치 평가 및 구매 영향력 연구. 「한국의류학회」, 제25권 1호, 25~36.
최관호 (1999). 「영화상품의 흥행 결정요인에 대한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 문.

David H.L (1970). Dimensions of Marital Roles in Consumer Decision Making.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7 (May), 168~177.
Ekstrom, K.M, P.S. Tansuhaj and E.R. Foxman (1987). Chidren's Influence in Family Decisions and consumer Socialization.
Foxman, Ellen r. Patriya S. Tasuhaj, and Karin M. Ekstrom (1989). Family Member's 'Perceptions of Adolescents' Influence in Family Decision Making.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15(March), 482~485.
McLeod, Jack M. and Steven H. Chaffee (1972). The Construction of Social Reality in the social influence Process.
Moschis, George P.(1985) The Role of Family Communication in Consumer Socialization of Children and Adolescents,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11(March), 898~907.
Russell, J.A. (1980). A Circumplex Model of Affect.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39, 1160~117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