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학] 성적소구 광고의 효과와 문제점 및 개선방안

 1  [광고학] 성적소구 광고의 효과와 문제점 및 개선방안-1
 2  [광고학] 성적소구 광고의 효과와 문제점 및 개선방안-2
 3  [광고학] 성적소구 광고의 효과와 문제점 및 개선방안-3
 4  [광고학] 성적소구 광고의 효과와 문제점 및 개선방안-4
 5  [광고학] 성적소구 광고의 효과와 문제점 및 개선방안-5
 6  [광고학] 성적소구 광고의 효과와 문제점 및 개선방안-6
 7  [광고학] 성적소구 광고의 효과와 문제점 및 개선방안-7
 8  [광고학] 성적소구 광고의 효과와 문제점 및 개선방안-8
 9  [광고학] 성적소구 광고의 효과와 문제점 및 개선방안-9
 10  [광고학] 성적소구 광고의 효과와 문제점 및 개선방안-1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광고학] 성적소구 광고의 효과와 문제점 및 개선방안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목 차]

Ⅰ.서론

1. 연구 목적

2. 연구 범위 및 방법

Ⅱ.본론

본론1.성적소구광고
1. 성적소구광고의 개념

2. 효과
(1) 긍정적 효과에 대한가설
(2) 부정적 효과에 대한 가설

3.문제 제기

본론2. 개선방안
1.제품과 관련된 광고제작

2. 법적규제

Ⅲ.결론
1.요약

2. 연구 의의 및 한계


본문내용

그 결과 전원풍경만을 배경으로 한 광고가 다른 4개의 수준보다 월등히 상표명에 대한 기억률이 높았다.
따라서 성적인 광고는 모델의 기억률에 영향을 줄 순 있지만, 이와 동시에 상품명에 대한 집중도를 분산시키게 된다. 따라서 상품명에 대한 기억은 월등히 높지 않게 나타나며, 때문에 결과적으로 성적광고가 매출과 직접적으로 연관이 있다고 할 수 없다.
또한 미국의 LaTou와 Henthorne의 조사한 자료에 의하면 1주일 동안 쇼핑몰에 나온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조사를 위해 상품의 선정성 정도를 다르게 제작한 광고물을 소비자들이반응을 살펴본 결과 소비자들은 선정성의 정도가 심한 광고가 선정성의 정도가 약한 광고보다 광고에 대한 태도와 상표에 대한 태도가 덜 호의적으로 나타났으며, 상품에 대한 구매의사도 부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제품에 대한 특성과 전혀 상관없이 선정적 광고는 소비자에게 상표나 제품에 대한 부정적 인식은 더 강했으며, 상품정보에 대한 관심도 적고 나아가 광고에 대한 신뢰도도 떨어졌다.
또한 한국광고자율심의기구가 조사한 바에 의하면 선정성 광고를 통한 상품 구매충동여부에 관해서도 86.4%의 응답자가 '사고 싶지 않다'('별로' 50.3%, '전혀' 36.1%)고 대답하였다. 이러한 조사결과가 의미하는 바와 같이 선정성 광고가 소비자의 상품구매에는 별 다른 영향을 미치지 못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소비자의 상품에 대한 인식이 부정적이든 긍정적이든 이러한 인식이 한번 형성되고 나면 이를 변화시키기 어렵다는 점에서 부적절한 성적 소구광고는 소비자들의 상품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을 갖게 해 재품의 직접적인 판매증대효과를 가져오지 못한다.


(2) 가설2. 부적절한 성적소구광고는 여성에 대한 성적억압을 심화시킨다.

한 연구기관이 총 270명(남성 159명과 여성 111명)을 대상으로 TV광고에 나타난 여성의 성적표현에 대한 남녀의 성삼품화 인식정도를 알아보기 위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여기에 질문에는 여성의 성 상품화가 가장 많이 나타나고 있는 곳은? 성적인 광고나 상품을 보면 어떤 느낌이 드는가? 에 대한 질문이 포함되어 있었는데, 이 질문에 대한 남녀의 반응은 모두 TV, 잡지의 CF광고에 많다고 대답하였고 성적인 광고나 상품을 보면 어떤 느낌이 드는가에 대한 설문에서는 여성은 압도적으로 기분이 나쁘다고 대답했으며 그에 비해 남성은 기분이 나쁘다고 대답한 사람은 1.8%에 불과하고 나머지는 흥분이나 그저 그렇다는 긍정적이나 무관심으로 나타났다. http://cafe.naver.com/adga3/53

여기서 충격적인 것은 여성은 부정적인 반응에도 불구하고 남성들의 반응은 여성과 달리 흥분된다는 대답도 있으며 일반적으로 무덤덤한 반응이라는 것이다. 이는 남성들이 여성이 단지 광고의 장식적 도구로 사용되는 것을 아무렇지도 않게 받아들이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1977년 Britt는 성적소구를 노골적으로 혹은 직접적으로 사용할 경우, 자칫 잘못하면 상품대신 성을 광고하는 격이 될 수 있다는 점을 지적하였다. 즉 상품과 관계없이 여성의 성적이미지만을 노출시키는 광고가 많아지면 많아질수록 여성은 점점 더 도구화되고 결국 상품화되는 것이다.
또한 광고 속에 나오는 여성들은 일반적으로 이상적으로 여겨지는 여성의 모습이다. 이는 부적절한 성적소구광고뿐만 아니라 대부분의 성소구광고에서 나타나는 일반적인 현상이며, 특히 부적절한 성적소구광고의 여성들은 성적이미지를 환기시키는 수단으로 존재하기 때문
참고문헌

[참고문헌}

1.김용대(1995), 성적소구광고의 효과에 관한 연구, 한국마케팅관리협회

2.장호현 외, Kalvin klein과 Duex광고의 에로티시즘에 관한 고찰, 한국디지털디자 인학회

3. 김염제(1985) ,광고에 있어서 성의 역할, 오리콤 사보

4, 최창희(1982), “섹스어필 광고, 효과적인가 [광고정보]

[참고기사, 사이트]

1, “광고에 나타난 성의 상품화"(1991), 경상대 신문

2. 그랑코 블로그 http://cafe.naver.com/granco.cafe

3. 네이버 카페 http://cafe.naver.com/adga3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