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정치와 사회] 북한음악을 통해 알아본 주체사상 확립

 1  [북한 정치와 사회] 북한음악을 통해 알아본 주체사상 확립-1
 2  [북한 정치와 사회] 북한음악을 통해 알아본 주체사상 확립-2
 3  [북한 정치와 사회] 북한음악을 통해 알아본 주체사상 확립-3
 4  [북한 정치와 사회] 북한음악을 통해 알아본 주체사상 확립-4
 5  [북한 정치와 사회] 북한음악을 통해 알아본 주체사상 확립-5
 6  [북한 정치와 사회] 북한음악을 통해 알아본 주체사상 확립-6
 7  [북한 정치와 사회] 북한음악을 통해 알아본 주체사상 확립-7
 8  [북한 정치와 사회] 북한음악을 통해 알아본 주체사상 확립-8
 9  [북한 정치와 사회] 북한음악을 통해 알아본 주체사상 확립-9
 10  [북한 정치와 사회] 북한음악을 통해 알아본 주체사상 확립-10
 11  [북한 정치와 사회] 북한음악을 통해 알아본 주체사상 확립-11
 12  [북한 정치와 사회] 북한음악을 통해 알아본 주체사상 확립-12
 13  [북한 정치와 사회] 북한음악을 통해 알아본 주체사상 확립-13
 14  [북한 정치와 사회] 북한음악을 통해 알아본 주체사상 확립-14
 15  [북한 정치와 사회] 북한음악을 통해 알아본 주체사상 확립-15
 16  [북한 정치와 사회] 북한음악을 통해 알아본 주체사상 확립-16
 17  [북한 정치와 사회] 북한음악을 통해 알아본 주체사상 확립-17
 18  [북한 정치와 사회] 북한음악을 통해 알아본 주체사상 확립-18
 19  [북한 정치와 사회] 북한음악을 통해 알아본 주체사상 확립-19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북한 정치와 사회] 북한음악을 통해 알아본 주체사상 확립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 론
Ⅱ. 본 론
1. 북한음악과 주체사상의 관계
2. 시대별 북한음악과 주체사상의 전개과정
1) 제 1기(1926년 ~ 1945 해방) : 항일투쟁시기
2) 제 2기(1945년 8월 ~ 1950년 6월) : 해방 후 평화적 민주건설시기
3) 제 3기(1950년 6월 ~ 1953년 8월) : 조국해방전쟁시기
4) 제 4기(1953년 8월 ~ 1961년 9월) : 사회주의 기초건설시기
5) 제 5기(1961년 9월 ~ 1966년 10월) : 사회주의 건설시기
6) 제 6기(1966년 10월 ~ 1970년 11월) : 당 유일사상 체제 확립 시기
7) 제 7기(1970년 11월 ~ 1980년대 초) : 문화예술의 대전성기
8) 1980년대 ~ 1990년대 북한음악과 주체사상
9) 2000년대 북한음악과 주체사상
3. 현재 일상에서의 북한음악과 주체사상
1) 교육헌장에서의 북한음악
2) 일상에서의 북한 생활가요
Ⅲ. 결 론
● 참 고 문 헌

본문내용

5) 제 5기(1961년 9월~1966년 10월): 사회주의 건설시기
- 청산리정신의 구현과 음악의 혁명화를 통한 주체사상 확립

이 시기에 주목되는 점은 김일성의 청산리정신의 대두이다. 북한이 말하는 청산리 정신은 도산 안창호의 고향인 평안남도 강서군 청산리에서 생긴 것이다. 즉 “농민들에 대한 물질적 자극보다 정치사상적 교양을 통해 생산을 증대시키자.”가 그 주된 내용이었다. 따라서 이 시기의 음악은 청산리정신을 통해 주체철학을 확립시키기 위한 도구였다.

문학예술이 인민의 심장을 울리며 인민에게서 사랑을 받기 위하여서는 사회주의적 내용과 슬기롭고 다양한 민족적 형식이 옳게 결합 되어야 합니다. 찬란한 우리 민족예술의 유산을 계승 발전시켜 선조들이 남겨놓은 아름답고 진보적인 모든 것이 우리 시대에 활짝 꽃 피게 하여야 하겠습니다. 김일성, 『사회주의 문학예술론』,(평양:예술교육출판사, 1981), p.225


오직 당의 로선과 정책에 철저하게 의거한 혁명적 문화예술만이 진정으로 인민대중의 사랑을 받을 수 있으며 근로대중을 공산주의적 혁명정신으로 교양하는 당의 힘있는 무기로 될 수 있습니다. 김일성, 『김일성 저작선집』 제 2권, (평양:조선로동당출판사, 1961), p.579

이는 주체철학사상을 담은 예술을 널리 알리라는 의미였다. 게다가 북한음악은 반드시 사회주의를 건설하고 있는 북한 근로자들의 정서에 맞게 발전시켜야 한다고 했다. 그리고 북한음악이 서민들의 음악이었던 민요를 중심으로 작용해야 하며, 인민들에게 적극 수용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강조한 것이다. 이 시기에 당의 사상적 목표는 청산리정신의 구현이며, 음악의 혁명화를 통한 주체사상 확립이었다.
주체사상의 강조와 함께 이 시기에 주목할 점은 송가의 발전이다. 송가의 창작은 지속적으로 활발하여 2000년대에는 창작곡의 거의 80%가 송가라고 한다. 2000년 통일부 통계자료.
그리고 이 시기부터 본격적으로 영화가 만들어지면서 영화음악들이 등장하기 시작했다.

6) 제 6기(1966년 10월~1970년 11월): 당의 유일사상 체제 확립 시기
- 당정책풀이가요의 등장과 유일사상체계 확립

이 시기는 사회주의국가들의 내부 갈등이 일어나고, 공산주의 운동이 시련을 겪었던 시기이다. 김정일에게 권력세습이 본격적으로 추진되기 시작했다. “1966년 10월 ‘조선노동
참고문헌
● 참 고 문 헌

단행본
○ 고방자, 『북한음악의 이모저모』, (민속원, 2001)
○ 김일성, 『사회주의 문학예술론』,(평양:예술교육출판사, 1981)
○ 민경환 ‘『남북한음악교류의 현황과 미래』(한국전통음악학회, 韓國傳統音樂學 창간호, 2000)
○ 서우석 외, 『1945년 이후 북한의 음악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1990)
○ 서울대학교 사회주의 연구팀, 『사회주의 개혁과 북한』(서울:형상사, 1991)
○ 오금덕, 『북한의 주체음악 개황』, (경산:韓國音樂史學會, 1997)
○ 이현주, 『북한음악과 주체철학』, (민속원, 2006)
○ 韓國敎育開發院, 『北韓과 中國의 敎育制度 比較硏究』, (서울, 韓國敎育開發院, 1988)

논문
○ 김동철, “신세대논단:공산주의적 새인간 창조의 북한교육, (‘北韓’ 1989년 12월호, 1989)
○ 노동은, “북한의 음악문화”, (실천문학, 1989년 여름호, 1989)
○ 민경찬, “피바다식 혁명가극의 음악적 특징에 관한 연구”, (韓國音樂史學報 제28집, 2002)
○ 서현지, "북한바로보기", (평화문제연구소:통일한국 2001년 7월호, 2001)
○ 이현주, “주체철학이 음악을 통해 북한 주민에 전달”, (‘北韓’, 2008년 11월호, 2008)
○ 이성천, “북한의 음악교육”, (한국국악교육학회, 국악교육 제 11집, 1993)
○ 이현주, “북한 피바다식 혁명가극에 관한 소고”, (韓國傳統音樂 제 3호, 2002)
○ 장기범, “북한음악과 음악교육에 대한 이해”, (한국음악교육공학 제 2권 제 2호, 2003)
○ 장기범, “북한의 음악 : 철학, 형식, 종류에 대한 고찰” , (韓國音樂敎育學會, 2000)
○ 장용석, “고난의 행군 이후의 북한가요”, (실천문학 2003년 겨울호, 2003)
○ 장용석, “90년대 이후 북한 문예정책의 변화 양상 연구” ,(중앙대 예술대학원, 2009)
○ 전영선 “우리식 전자음악과 생활가요”, (웹진 민족화해, 2007/11/12월호 통권29호, 2007)

그 외
○ 2000년 통일부 통계자료
○ 오마이뉴스, ‘북한의 가요가 부드러워졌다 - 장용석씨 최근논문서 분석’, 2003. 8. 13자 기사
http://www1.ohmynews.com/articleview/article_view.asp?at_code=138663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