캄보디아 소규모 상수시설 및 개인 하수처리시설 확충 프로젝트 개발 연구

 1  캄보디아 소규모 상수시설 및 개인 하수처리시설 확충 프로젝트 개발 연구-1
 2  캄보디아 소규모 상수시설 및 개인 하수처리시설 확충 프로젝트 개발 연구-2
 3  캄보디아 소규모 상수시설 및 개인 하수처리시설 확충 프로젝트 개발 연구-3
 4  캄보디아 소규모 상수시설 및 개인 하수처리시설 확충 프로젝트 개발 연구-4
 5  캄보디아 소규모 상수시설 및 개인 하수처리시설 확충 프로젝트 개발 연구-5
 6  캄보디아 소규모 상수시설 및 개인 하수처리시설 확충 프로젝트 개발 연구-6
 7  캄보디아 소규모 상수시설 및 개인 하수처리시설 확충 프로젝트 개발 연구-7
 8  캄보디아 소규모 상수시설 및 개인 하수처리시설 확충 프로젝트 개발 연구-8
 9  캄보디아 소규모 상수시설 및 개인 하수처리시설 확충 프로젝트 개발 연구-9
 10  캄보디아 소규모 상수시설 및 개인 하수처리시설 확충 프로젝트 개발 연구-10
 11  캄보디아 소규모 상수시설 및 개인 하수처리시설 확충 프로젝트 개발 연구-11
 12  캄보디아 소규모 상수시설 및 개인 하수처리시설 확충 프로젝트 개발 연구-12
 13  캄보디아 소규모 상수시설 및 개인 하수처리시설 확충 프로젝트 개발 연구-13
 14  캄보디아 소규모 상수시설 및 개인 하수처리시설 확충 프로젝트 개발 연구-14
 15  캄보디아 소규모 상수시설 및 개인 하수처리시설 확충 프로젝트 개발 연구-15
 16  캄보디아 소규모 상수시설 및 개인 하수처리시설 확충 프로젝트 개발 연구-16
 17  캄보디아 소규모 상수시설 및 개인 하수처리시설 확충 프로젝트 개발 연구-17
 18  캄보디아 소규모 상수시설 및 개인 하수처리시설 확충 프로젝트 개발 연구-18
 19  캄보디아 소규모 상수시설 및 개인 하수처리시설 확충 프로젝트 개발 연구-19
 20  캄보디아 소규모 상수시설 및 개인 하수처리시설 확충 프로젝트 개발 연구-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캄보디아 소규모 상수시설 및 개인 하수처리시설 확충 프로젝트 개발 연구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목 차

1. 연구의 필요성
2. 국제개발협력의 현황
2.1. 환경 ODA에 대한 관심과 중요성 확대
2.2. DAC 주요규범 및 최근 동향
2.3. 최근 DAC 동료평가
2.4. 캄보디아 수자원 현황
3. 프로젝트 사례 연구
3.1. 타목저수지 복구지원 프로젝트
3.2. 톤레삽 농촌 물 공급 위생 분야 프로젝트
4. 프로젝트 개발 연구
4.1. 프로젝트 개요
4.2. 프로젝트 내용
4.3. 프로젝트 예상 성과
4.4. 프로젝트 예상 문제 및 개선안

V.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부록
본문내용
① NDP와의 연계성 검토
캄보디아의 국가개발계획(National Development Plan)과 연계성이 확보되는가를 알기 위해 참조한 2006-2010 Cambodia NSDP(국가개발계획전략)에 수록된 4. Alignment of Aid에 따르면, EDP로부터의 자금 유입을 사용할 때 물과 위생 secter를 위한 인프라 구축에 총 금액의 4.29%를 투자하기로 결정하였다. 이는 table1에서 볼 수 있듯이 국가 SOC 인프라 투자 항목인 교통/물과 위생/전력과 에너지/우편과 전화 중에서 2위에 해당하는 주요한 국가 인프라 구축 목표임을 확인할 수 있다.
② PRSP와의 연계성 검토
PRSP는 종합적인 경제·사회개발계획으로서 빈곤완화를 위한 제반여건 및 향후 자구책을 강구하는 국가 고유의 빈곤퇴치전략을 담고 있기 때문에, 국별 지원방침을 도출하기 위한 기초자료로서 활용성이 높다. 2002년 이후로 CAS(국별지원전략) 역시 수원국 정부가 3년 단위로 작성한 PRSP에 기초하여 작성되기 때문에 이를 살펴봄을 통해 적절한 사업을 발굴하고자 하였다. 캄보디아 정부의 IPRSP(빈곤퇴치 전략 보고서)와 SEDPⅡ(제 2차 사회,경제 개발 계획)에 따르면, 빈곤의 원인을 4가지로 나누고, 이를 극복하기 그림
그림
위한 정부의 정책 역시 4가지로 나누어 제시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표 4-4참조). 이 표에 제시된 주요 내용을 서술한 것에서 수자원과 관련된 것을 발췌하면 다음과 같은데, 우선 능력개발 프로그램에서 20002년 54%에 불과한 농촌지역의 상수도 이용율을 높여 양질의 위생환경을 제공하기 위해 상수도 시스템 개선을 추진할 것이며, 기존의 상수원 역시 엄격히 관리할 예정이다. 이는 농촌거주 빈곤층의 위생관리뿐만 아니라 관개시설 개선, 환경보전정책과 병행되어 경제성장과 농업발전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되므로 캄보디아의 상수도 개발사업 및 기존 상수원의 유지보수 및 관리사업은 아래 ④항목에서 언급할 캄보디아 환경정책과도 그 취지가 부합한다고 볼 수 있겠다.
③ 캄보디아 정부정책 및 환경정책
캄보디아의 제 4기 정부(2008-2013)의 경제발전을 위한 10대 우선산업은 1)농업분야 강화 2)인프라 확충 3) 민간분야 발전 및 고용창출 4)역량 및 인적자원 개발 의 네 가지 부문으로 나누어 질 수 있다. 이 중 2)인프라 확충의 주요 내용에는 수자원관리 개
참고문헌
※참고문헌

 에너지기후정책연구소(2010). 에너진포커스(11호) OECD-DAC 환경부문 가이드라인과 녹색 ODA.
 한국국제협력단(2010). 국제개발협력 정기 2호.
 외교안보연구원(2010). 물문제에 관한 국제적 논의 동향 및 우리의 대응.
 한국국제협력단. (2007). 캄보디아 타목저수지 복구 지원 사업 사후평가 보고서. KOICA사업-사업평가-KOICA 발간물 및 평가 보고서.
 서윤석(2005). 캄보디아 타목저수지 보강사업 준공. 한국수자원공사 보도자료 KOWACO News Release.
 김식현. (2006). 캄보디아 농민의 타는 목마름을 적시다 :캄보디아 타목저수지 복구지원사업. 한국국제협력단 지구촌가족. 통권 32.
 KOICA 멀티미디어 뱅크  http://multi.koica.go.kr/
 한국국제협력단. (2009). 1992~2008 국제협력단 프로젝트 사업현황.
 한국국제협력단. (2007). 캄보디아 타목저수지 복구 지원 사업 사후평가 보고서. KOICA사업-사업평가-KOICA 발간물 및 평가 보고서  http://www.koica.go.kr/
 Ministry of Rural Development in Cambodia.)(2009). Tonle Sap Rural Water Supply and Sanitation Sector Project (TSRWSSP) Profile.
 A. Perdiguero et al(2005). Report and Recommendation of the President to the Board of Directors on a Proposed Grant to the Kingdom of Cambodia for the Tonle Sap Rural Water Supply and Sanitation Sector Project. Asian Development Bank.
 Tonle Sap Rural Water Supply and Sanitation Sector Project-Presentation. Project Management Unit
 Ministry of Rural Development Royal Government of Cambodia.
 Ashok K. Lahiri(2009). Sector Assistance Program Evaluation For The Agriculture And Rural Development Sector In Cambodia. ADB Independent Evaluation Department.
 Andy Robinson(2010). Sanitation Finance in Rural Cambodia; Review and Recommendations. Asian Development Bank & Water and Sanitation Program.
 MOWRAM(CAMBODIA) (2002). National Water Resources Policy for Cambodia(draft).
 NIS(CAMBODIA) (2008). Projected population by provinces 1998-2020,
 김상일 외(2010). 캄보디아 환경개선 마스터플랜 수립사업. 한국환경산업기술원 외.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