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호학] MI 심근경색 응급간호

 1  [간호학] MI 심근경색 응급간호-1
 2  [간호학] MI 심근경색 응급간호-2
 3  [간호학] MI 심근경색 응급간호-3
 4  [간호학] MI 심근경색 응급간호-4
 5  [간호학] MI 심근경색 응급간호-5
 6  [간호학] MI 심근경색 응급간호-6
 7  [간호학] MI 심근경색 응급간호-7
 8  [간호학] MI 심근경색 응급간호-8
 9  [간호학] MI 심근경색 응급간호-9
 10  [간호학] MI 심근경색 응급간호-10
 11  [간호학] MI 심근경색 응급간호-11
 12  [간호학] MI 심근경색 응급간호-12
 13  [간호학] MI 심근경색 응급간호-13
 14  [간호학] MI 심근경색 응급간호-14
 15  [간호학] MI 심근경색 응급간호-15
 16  [간호학] MI 심근경색 응급간호-16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간호학] MI 심근경색 응급간호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목 차
Ⅰ. 서론

Ⅱ. 본론

[1] 심실성 부정맥 EKG

1. 심실 조기수축 (Premature Ventricular Conbtractions, PVC)


2. 심실빈맥(Ventricular Tachycardia, V Tach)
1) EKG 특징

3. 다원성 심실빈맥(Torsades de Pointes)

4. 심실세동(Ventricular fibrillation)

5. 심정지(Cardiac arrest)
1) EKG 특징

[2] ACLS
1. 심폐소생술

2. 심폐소생술의 분류

3. 심폐소생술의 3단계 과정

4. 2010 미국심장학회 지침(2010 AHA Guidelines)
1. 모든 구조자에 영향을 미치는 지침

2. 일반 구조자에 의한 성인 심폐소생술

[3] DC

1.제세동기(Defibrillator)의 종류

2.제세동시 성인과 소아의 차이점
3. 제세동 사용방법
4. 심폐소생술 및 심혈관 응급처치에 관한 2010년(신판) AHA의 지침
[4] 응급약물 , Emergency cart(E-cart)

1. E-cart의 구성
2. 부정맥 약물
3. 소아 약물 투여
[5] 소생술 후 간호
1. 소생 후 치료 및 목적

2. 심박동 회복 직후에 필요한 치료

3. 심박동 회복 직후의 약물 투여

4. 특이사항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1.제세동기(Defibrillator)의 종류
1) 전류를 인체에 전달하는 방법에 따라 인체의 외부에서 심장으로 전달하는 체표용 제세동기와 심장에 직접 전류를 전달하는 체내용 제세동기로 분류된다.
2) 부정맥을 자동으로 판독하는 장치가 설치되어 있는지에 따라서 자동제세동기 (AED : 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와 반자동 제세동기(semi-automated defibrillator), 수동제세동기로 구분된다.
구분
종류
사진
특징
체표용
자동제세동기(AED)

-제세동기 내부에 부정맥을 판독할 수 있는 장치가 내장되어 있다.
-부정맥 분석하여 제세동 시행 여부를 알려주고, 제세동 에너지를 자동적으로 충전시켜 준다.
병원 내 비의료인, 일반인
반자동제세동기

-자동제세동기와 수동 제세동기의 기능이 모두 내장되어 있다.
-시술자가 무엇을 이용할 것인지 선택하여 제세동을 시행하게 된다.
-성인: 200J, 50ohm load
수동제세동기

-제세동을 시행하는 의료인이 부정맥을 직접 판독하여 제세동 여부와 제세동 에너지를 결정한다.
-제세동에 필요한 에너지는 최초 200J이 권장된다. 첫 번째 제세동에 반응 없을시 200~300J, 두 번째 제세동에 반응 없을 시 세 번째 제세동 부터는 360J이 권장된다.
체내용
이식형 제세동기
(ICD : implantable cardioverter defibrillator)

-항부정맥제에 잘 듣지 않고 인공 심박동기, 심장리듬 전환술과 제세동으로도 조절되지 않는 심실 빈맥환자에게 이식한다.
-심정지를 일으킬만한 위험이 높은 대상자에게 적용한다.
-맥박 조율기와 심근에 전기자극을 전달하는 2개의 전극이 달린 선 또는 감지체계로 구성
-초기에는 0.5J/kg로 시행하고 효과가 없으면 에너지를 증가시킨다.
*
제세동기의 파형
단형성파형(monophasic waveform)
-이제까지 주로 사용되어 왔음.
-첫제세동 에너지 200J
-한쪽 극의 전류만을 일정 시간 가함
-상대적으로 높은 impedence로 인해 높은 전류를 필요로 하며 연구들이 제세동 후 VF재발, block 소생 후 심근 기능부전, ST segment변화, 각종 혈역학적 변화, 피부화상 등에 대한 부작용이 보고 되고 있다.
이형성파형(Biphasic waveform)
-최근에 이용되고 있음.
-첫제세동 에너지 150에서 175J
-양극의 전류와 음극의 전류를 함께 사용
-단형성파형보다 더 낮은 에너지와 전압으로 제세동하면서도 에너지를 증강하지 고정된 에너지를 사용하는데 효과적 측면에서는 단형성파형과 유사하거나 높다고 보고되고 있다. 제세동 후 발생하는 각종 합병증의 발생률이 적다고 보고되고 있다.
-최근 150J이나 175J의 동일한 에너지를 연속하여 3회 연속 제세동하는 제세동기가 시중에 보급되고 있음.


성인
영아, 소아
제세동시 충분한 전류방향을 만들어 제세동을 이루는 동시에 심근에 대한 손상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적절한 에너지 용량을 결정해야하는데 이것은 경흉저항이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한다. 경흉저항(임피던스)은 제세동기로부터 나오는 전류가 심장으로 전달되면서 발생하는 저항이다.
패들의 크기
-8~13cm
-1세 이상이거나 10Kg 이상의 체중인 환자에게사용
-약 4.5cm
-보통 약 1세까지 또는 약 10kg까지의 유아에게 사용
패들의 위치
-쇄골 하방 우측 흉골선과 좌측 전액와선이나 심첨부
-1세미만의 영유아에서 성인용 패들만 이 사용 가능할 때에는 전-후방 전극위치 필요.
에너지
요구량
-100~200J(회사마다다름)→200~300J→300J
-2J/kg→심실세동이 지속되면 에너지 용량을 배가하고 반복함→반응이 없으면 4J/kg으로 제세동 실시
*초기 2~4J/kg→최소 4J/kg~10J/kg 또는 성인 최대 에너지량 (성인 최대 에너지량 초과하면 안됨)
자동
제세동기
-사용
-1세 미만의 유아에게는 자동제세동기를 사용하지 않고 1세 이상의 소아에게 사용한다. (소아용패드가 있는 자동제세동기 사용이 바람직하다.)
*AHA 2010(신판) 지침 변화 : 1세 미만의 유아에게도 자동제세동기 사용이 가능하다. (아동용 충격량 감쇄시스템이 부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나 불가능할시 감쇄시스템이 부착되지 않은 제세동기 사용한다.)
기타
-성인에게는 소아용 패드와 소아 용량의 에너지를 사용하지 않는다.
-소아용 패드가 없고 에너지 조절이 불가능한 성인용 자동제세동기만이 사용가능할 때 그대로 소아에게 사용.
2.제세동시 성인과 소아의 차이점
참고문헌
Ⅳ. 참고문헌
김세경외. (2002). TEXTBOOK OF EMERGENCY MEDICINE. 군자출판사. 93~95,175~176
이항련외. (2010). 여섯 번째 성인간호학Ⅰ. 수문사. 775~778
이옥철외. (2007). 응급 및 재해간호. 현문사. 173~185
대한응급의학회. (1995). 응급구조학. 군자출판사. 36~37
서울대학교. (2002). 심폐소생술. 서울대학교 출판부. 21~32
전시자외. (2010). 성인간호학 상권. 758~762
적십자간호대학 원격교육 건강과간호Ⅳ실습-응급 및 재해간호www.cyber.redcross.ac.kr
심폐소생술, 서울 중앙병원 교육 연구부, 군자출판사, 2001
횡성스포츠클럽/ 장애인 생활 체육 연합회, http://cafe.daum.net/IOC7
http://blog.daum.net/hyang_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