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사방법론] 아웃사이더 현상에 대한 고찰-대학신입생을 중심으로

 1  [조사방법론] 아웃사이더 현상에 대한 고찰-대학신입생을 중심으로-1
 2  [조사방법론] 아웃사이더 현상에 대한 고찰-대학신입생을 중심으로-2
 3  [조사방법론] 아웃사이더 현상에 대한 고찰-대학신입생을 중심으로-3
 4  [조사방법론] 아웃사이더 현상에 대한 고찰-대학신입생을 중심으로-4
 5  [조사방법론] 아웃사이더 현상에 대한 고찰-대학신입생을 중심으로-5
 6  [조사방법론] 아웃사이더 현상에 대한 고찰-대학신입생을 중심으로-6
 7  [조사방법론] 아웃사이더 현상에 대한 고찰-대학신입생을 중심으로-7
 8  [조사방법론] 아웃사이더 현상에 대한 고찰-대학신입생을 중심으로-8
 9  [조사방법론] 아웃사이더 현상에 대한 고찰-대학신입생을 중심으로-9
 10  [조사방법론] 아웃사이더 현상에 대한 고찰-대학신입생을 중심으로-10
 11  [조사방법론] 아웃사이더 현상에 대한 고찰-대학신입생을 중심으로-11
 12  [조사방법론] 아웃사이더 현상에 대한 고찰-대학신입생을 중심으로-12
 13  [조사방법론] 아웃사이더 현상에 대한 고찰-대학신입생을 중심으로-13
 14  [조사방법론] 아웃사이더 현상에 대한 고찰-대학신입생을 중심으로-14
 15  [조사방법론] 아웃사이더 현상에 대한 고찰-대학신입생을 중심으로-15
 16  [조사방법론] 아웃사이더 현상에 대한 고찰-대학신입생을 중심으로-16
 17  [조사방법론] 아웃사이더 현상에 대한 고찰-대학신입생을 중심으로-17
 18  [조사방법론] 아웃사이더 현상에 대한 고찰-대학신입생을 중심으로-18
 19  [조사방법론] 아웃사이더 현상에 대한 고찰-대학신입생을 중심으로-19
 20  [조사방법론] 아웃사이더 현상에 대한 고찰-대학신입생을 중심으로-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조사방법론] 아웃사이더 현상에 대한 고찰-대학신입생을 중심으로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목 차

1. 들어가며
1.1. 연구의 동기
1.2. 연구의 목적
1.3. 연구의 방법
1.4. 아웃사이더의 정의

2. 아웃사이더의 현황
2.1. 각 질문 차원의 개별적인 분석
2.1.1. 1번 질문의 결과와 그 분석
2.1.2. 5번 질문의 결과와 그 분석
2.1.3. 28번 질문의 결과와 그 분석
2.2. 변환점수 차원의 전체적인 분석

3. 아웃사이더 현상의 원인
3.1. 개인주의와 경쟁적 사회구도의 영향
3.1.1. 개인주의의 영향
3.1.2. 경쟁적 사회구도의 영향
3.2. 기술의 발달
3.3. 시대적․ 세대적 접근 - 세대적 공감대의 부재와 ‘자기계발의 세대’

4. 아웃사이더 현상의 문제점
4.1. 개인적 차원
4.1.1. 심리적 고통과 그 악순환
4.1.2. 사회성 저하와 심성 미발달
4.1.3. 인터넷 중독과 테크놀로지에의 함몰
4.2. 사회적 차원
4.2.1. 공공보건의 측면
4.2.2. 집단에 대한 참여의 측면
4.2.2.1. 선거 참여의 측면
4.2.2.2. 선거 외의 참여의 측면

5. 아웃사이더 현상에 대한 대응책
5.1. 현재의 대응책과 그 한계
5.1.1. 현재의 대응책
5.1.2. 그 한계
5.2. 앞으로의 대응책

6. 나가며
6.1. 논의의 한계
6.2. 맺는 글
본문내용
2.1.2. 5번 질문의 결과와 그 분석

5번 질문의 내용은 다음과 같았다.
5. 남에게 무슨 일이 일어나든 상관하지 않는다.
설문조사 결과 부정의 대답, 즉 그렇지 않다는 대답이 74%로 다수를 차지했다. 이를 해석하는 방향은 두 가지가 있을 수 있겠다. 첫째는 ‘74%나 되는 다수’가 타인간의 관계를 중요시 여긴다는 측면일 것이고, 두 번째로는 그와 반대적 해석으로, 다른 사람에게 신경을 쓸그림 4 5번 질문에 대한 설문조사 결과
필요를 느끼지 못하는 사람이 ‘26%나’ 존재한다는 것이다.
우리가 이 논문에서 다루고자 하는 아웃사이더의 개념은 자의적 아웃사이더, 즉 타인간의 관계에서 자연적으로 도태되는 케이스보다도 자신이 별로 단체 참여 자체에 열의를 보이려 하지 않는 경우이다. 이런 경우의 특징은 다른 사람이 자신을 어떻게 보는지에 비교적 적은 관심을 쏟고, 자신의 노선을 가장 중요시 여기는 타입이라고 하겠다. 5번 질문을 통해서는 그런 사람의 존재를 알 수 있었다고 하겠다. 이와 비슷한 맥락에서‘ 때로 다른 사람들과 있는 것이 시간낭비라는 생각이 든다’라는 내용의 16번 질문 등을 동일선상에서 고려해 볼 수 있겠다. 그림 5에서 볼 수 있듯이, 다른 사람과의 시간이 때로는 아깝다는 생각이 드는 사람이 분명 설문조사 상으로는 21%정도 존재한다. 설문조사 반응을 살펴보아도, 완벽히 대응되지는 않아 일반화하기에는 문제점이 있지만, 두 질문 사이에는 어느 간의 상관관계가그림 5 16번 질문에 대한 설문조사 결과
존재한다는 것이 논의 중에 나왔었다. 즉, 이번 설문조사의 결과는 단순히 압도적인 세력이 어느 쪽인지의 문제가 아니라는 의미이다. 한 집단에서 어느 성향이 major이건 minor이건 간에, 중요한 것은 그런 사람들이 분명 존재한다는, ‘현상적인 측면’이라는 것이다.

참고문헌
참고 문헌
권석만, 《젊은이를 위한 인간관계의 심리학》, 학지사, 2006.
권석만, 《현대이상심리학》, 학지사, 2007.
김병문 외, 《사회․문화》, 대한교과서, 2003.
김석회․홍찬표, 《인간관계개발》, 무역경영사, 2007.
박승위, 《현대사회와 인간소외》, 영남대학교 출판부, 1996.
서동진,《자유의 의지 자기계발의 의지(신자유주의 한국 사회에서 자기 계발하는 주체의 탄생)》, 돌베개, 2009.
송운석, 《인간관계론》, 학현사, 1994.
우석훈·박권일, 《88만원 세대》, 레디앙미디어, 2007.
이진우, 《프라이버시의 철학》, 돌베개, 2009.
한상철 외, 《청소년심리학》, 양서원, 2001.
Colin Wilson, 《아웃사이더》, 이성규 역, 범우사, 2004.
Walter Michel 외, 《통합을 향하여-성격심리학》, 손정락 역, 시그마프레스, 2007.

강이영, , 서강대학교 생명문화 연구소, 《생명문화와 대학가의 자살》, 2008.
신수경․지성애, ,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유아교육학논집, 2008.
안주희, , 《사회연구》, 18호, 2009.
오찬호, 제 20권 제 2호, 한국청소년연구, 2009.
이연숙 외, ,《청소년학연구》3권 1호, 한국청소년학회, 1996.
정유선․ 김재영, , 《사회과학연구》 19권, 충남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08.
한컴 사전, ver. 2002

, 《고함》20, 2009. 8. 31.
http://goham20.com/64
, 《노컷뉴스》, 2008. 4. 2.
http://www.cbs.co.kr/Nocut/Show.asp?IDX=791119
, 《두산백과사전》, 2010. 5. 22. 검색.
http://100.naver.com/100.nhn?docid=10540
, 《바이트》, 2008. 12. 5.
http://www.i-bait.com/read.php?cataId=NLC00800 1&num=2405
, 《연합뉴스》, 2006. 5. 26.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POD&mid=tvh&oid=130&aid=0000007272
, 《위키백과》, 2010. 5. 17. 검색.
http://ko.wikipedia.org/wiki/%EA%B0%9C%EC%9D%B8%EC%A3%BC%EC%9D%98
, 《한국경제》, 2000. 7. 7.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15&aid=0000253213

〈'기획-대학생 나홀로족' 나홀로족이 편해요〉, 《헤럴드경제》, 2007. 8. 21.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112&aid=0000073952

그림 7 출처: , 한국인터넷진흥청, 2008.
그림 8 출처: , 《데일리안》, 2007. 5. 22.
http://www.dailian.co.kr/news/news_view.htm?id=65924&page=35&code=&gubun=sh&search=인터넷
그림 11 출처 : , 《매일경제》, 2008. 4. 10.
http://news.mk.co.kr/outside/view.php?year=2008&no=207586
그림 12 출처 : , 《중앙선거관리위원회》, 2008.
그림 13 출처 : Ibid.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