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평가] 교원능력개발평가제

 1  [교육평가] 교원능력개발평가제-1
 2  [교육평가] 교원능력개발평가제-2
 3  [교육평가] 교원능력개발평가제-3
 4  [교육평가] 교원능력개발평가제-4
 5  [교육평가] 교원능력개발평가제-5
 6  [교육평가] 교원능력개발평가제-6
 7  [교육평가] 교원능력개발평가제-7
 8  [교육평가] 교원능력개발평가제-8
 9  [교육평가] 교원능력개발평가제-9
 10  [교육평가] 교원능력개발평가제-10
 11  [교육평가] 교원능력개발평가제-11
 12  [교육평가] 교원능력개발평가제-12
 13  [교육평가] 교원능력개발평가제-13
 14  [교육평가] 교원능력개발평가제-14
 15  [교육평가] 교원능력개발평가제-15
 16  [교육평가] 교원능력개발평가제-16
 17  [교육평가] 교원능력개발평가제-17
 18  [교육평가] 교원능력개발평가제-18
 19  [교육평가] 교원능력개발평가제-19
 20  [교육평가] 교원능력개발평가제-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교육평가] 교원능력개발평가제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목 차
I. 서 론

1. 연구 목적

2. 연구내용 및 방법

가. 연구내용

나. 연구방법


II. 이론적 배경

1. 교원평가의 개념과 목적
가. 교원평가의 개념
나. 교원평가의 기본방향

다. 교원평가제의 시행배경

라. 교원평가제의 시행 방향
마. 평가 주체 및 평가 참여자
(3) 평가 참여

바 . 평가내용

사. 평가 개요
Ⅲ. 외국의 교원 평가제

1. 외국의 교원평가 제도 비교 (6개국)
2. 시사점

Ⅳ. 교원평가에 대한 인식 조사
1. 찬성하는 입장

2. 반대하는 입장

3. 인터뷰(내용은 부록 참조)

4. 설문조사 계획 및 시행

Ⅴ. 교원평가 문제점 및 개선방안

1. 교원평가 성과 및 운영
(1) 모형 변화 과정의 검토
(2) 연도별 시범운영 결과 평가

(3) 교원`학생`학부모의 제도 관련 성과 인식 변화 교원능력개발평가 선도학교 운영 결과 분석 연구-2009년 12월 김이경 중 설문조사 결과만을 활용 분석함


(4) 정리

2. 문제점

가. 평가의 목적

나. 평가대상의 제한성

다. 평가 사항 및 기준의 미흡성과 획일성

라. 평가방법 및 도구의 불합리성

마. 평가자의 전문성 결여 및 왜곡

바. 결과의 제한적 활용 및 비공개

3. 교원평가제도의 개선방안

가. 평가의 목적

나. 평가의 대상자

다. 평가 내용 및 기준

라. 평정방법 및 도구

마. 평가자

바. 평가결과의 활용 및 공개

Ⅵ. 결론
1. 개인별 의견
2. 조별 의견
3. 논의해볼 문제

부록 1 - 참고문헌
부록 2 - 인터뷰 내용
(1) 현직교사 인터뷰

(2) 학부모 인터뷰

(3) 관리자 인터뷰

(4) 학생 인터뷰

부록 3 - 설문지

본문내용
(4) 정리
교원능력개발평가제는 교원의 전문성 신장을 목적으로 10년의 논의, 5년의 시범운영, 3년의 법제화 노력 등을 통해 올해부터 전국 단위학교에서 실시되고 있다. 해마다 시범학교 수, 제도, 운영방식 등의 변화를 통해 제도 개선을 위한 당양한 시도를 해왔다. 교원능력개발평가제가 제대로 운영되었는지, 의도한 목적을 달성했는지를 평가하기 위해 교원능력개발 평가제의 운영 및 성과를 파악하려고 평가 기준을 교원의 전문성 신장으로 설정하였고 설정된 기준에 제도 모형 변화 과정, 시범학교 운영 결과, 교원학생학부모의 제도관련 성과 인식 변화 등이 충족 되었는지를 조사하였다.
평가대상자, 평가자, 평가주기, 평가내용, 평가결과 활용 측면을 살펴보았던 모형 변화 과정은 제도 평가 기준을 충족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다만 평가 주기가 1년으로 평가 피드백에 따라 교원들이 전문성 신장 계획을 실행에 옮기는 기간의 부족, 평가결과에 따라 무능력한 교사로 낙인찍히는 상황 등에 대한 개선이 반드시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연도별 교원능력개발평가 시범운영 결과를 분석하여 평가결과의 지속적 상승, 학생 만족도 유지 경향, 학부모 만족도 상승 등의 경향성을 파악하였다. 이러한 경향성은 교원의 전문성 신장인 제도평가기준을 충족하는 것으로, 비록 시범학교 교원들의 의견이기는 하나 교원들의 지속적 노력과 학생 및 학부모들의 학교 교육에 대한 협조의 결과라 할 수 있다.
교원 학생 학부모의 교원능력개발평가제 관련성과 인식의 변화 분석 결과에서도 제도 평가 기준을 충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제도의 지속적 참여 경험은 교원 학생 학부모의 제도 관련 인식을 긍정적으로 변화 또는 유지시켰음을 알 수 있었다.즉 지속적으로 제도에 참여한 교원의 전문성 개발 및 노력이 증대되었고, 교원은 자신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이를 개선하여 자신의 수업을 더욱 충실히 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2. 문제점
우리나라의 교원평가제도는 교원정책의 중요 영역임에도 불구하고 경력평정, 연수성정평정과 함께 승진후보자 순위명부작성의 한 영역으로 교육공무원승진규정에 포함되어 있어 현자 교원들뿐만 아니라 교육 전문가들로부터 많은 비판을 받아왔다. 무엇보다도 교원평가가 궁극적으로는 교원의 전문성 신장과 학교 교육력을 제고하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함에도 불구하고 그 목적조차 제대로 인식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교원평가에 대해 제기되고 있는 문제점들을 여섯 가지 항목으로 나누어 구체적으로 살펴보겠다.

가. 평가의 목적
현행 교원 근무성적평가의 목적과 기능은 교육공무원승진규정에서 ‘인사행정의 공정을 기할 목적’으로, ‘평정의 결과를 전보 · 포사 등 인사관리에 반영’하기 위한 데에 한정되어 있다. 교사 개인의 전문성 개발과 학교의 교육력 제고의 측면을 고려한 명확한 규정이 없다. 승진과 전보 · 포상 등 인사관리를 위한 자료수집도 평가의 한 목표이고 기능이지만, 현재의 교원평가제도는 교사의 자질 향상과 수업개선 및 전문적 능력 신장을 위한 자료수집 기능은 거의 하지 못한다. 따라서 승진 연령이 안 된 젊은 교사들과 사립학교 교사들에게는 관심의 대상이 되지 못하고, 교사평가는 이러한 경우 유명무실하게 된다. 강인수, 한국에서의 교사평가제도의 문제점과 발전방향, 교육행정학 연구, 제21권 4호. 한국교육행정학회. 2003. p.11.

교원능력개발평가의 목적으로 교사의 전문성 신장을 내세우고 있는데, 현재 마련된 평가의 방법과 결과활용 등이 과연 초기의 목적 달성에 적합한가하는 문제가 나타난다. 우리나라의 교원능력개발평가제는 한 가지 수단으로 두 가지 목적을 이루려고 한다는 점에서 근본적인 모순을 내포하고 있다. 즉, 교원평가를 통해 교원의 전문성과 책무성을 신장시키려고 하면서 동시에 인사행정을 위한 자료로 삼으려고 하기 때문에 여러 가지 문제가 발생하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