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의 오용 실례

 1  국어의 오용 실례-1
 2  국어의 오용 실례-2
 3  국어의 오용 실례-3
 4  국어의 오용 실례-4
 5  국어의 오용 실례-5
 6  국어의 오용 실례-6
 7  국어의 오용 실례-7
 8  국어의 오용 실례-8
 9  국어의 오용 실례-9
 10  국어의 오용 실례-10
 11  국어의 오용 실례-11
 12  국어의 오용 실례-12
 13  국어의 오용 실례-13
 14  국어의 오용 실례-14
 15  국어의 오용 실례-15
 16  국어의 오용 실례-16
 17  국어의 오용 실례-17
 18  국어의 오용 실례-18
 19  국어의 오용 실례-19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국어의 오용 실례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목 차
1. 머리말

2. 국어 오용의 개념과 원인

2.1 오용의 정의

2.2 오용의 원인

2.3 오용이 문제가 되는 이유

3. 오용의 유형

3.1. 어휘

3.2 표기법

3.3 통사구조

3.3.1 격 표시 및 조사의 쓰임에 따른 오용

3.3.2 태(態) 표시에 관한 오용

3.3.3 시간 표시에 따른 오용

3.3.4 대우법(경어법)에 따른 오용

3.3.5 문 구성에 의한 오류

4. 실생활에서의 국어의 오용

4.1 외국어 번역투

4.1.1 일본어투

4.1.2 영어투

4.2 대중매체의 오용사례

4.2.1 비속어 사용

4.2.2 비표준어 사용

4.3 신조어와 외래어 남용

(1) 신조어의 사례

4.4 자주 틀리는 맞춤법

4.4.1 ‘안/않’ 의 구별

4.4.2 ‘돼/되’ 의 구별

4.4.3 ‘하므로/함으로'의 구별

4.4.4 ‘든/던’ 의 구별

4.4.5 '며칠'과 '몇일'

4.4.6 '왠지/웬지'의 구별

4.4.7 '-대/-데'의 구별

5. 맺음말

⏐ 참고문헌


본문내용
4.3 신조어와 외래어 남용

신조어란 새로 만들어지거나 종래부터 있던 사물, 개념에 대해 새로운 표현이나 의의를 부여해 만든 말이다. 국어 정화 운동(國語淨化運動) 국어정화운동 [國語淨化運動] : 표준말을 쓰고 외래어를 되도록 제한하여 국어의 순수성을 지키고자 하는 운동.
의 차원에서 한자어나 외래어를 대신하여 만들어진 고유 어휘, 사람들의 입에는 오르내리지만 사전에는 실려 있지 않은 말 또한 이에 속한다.
신조어는 여러 가지 원인에 의해 만들어 졌는데, 시간이 곧 통신비용인 오늘날 되도록 빨리 내용을 입력하기 위해 나타난 언어 경제현상이라는 분석은 상당한 설득력이 있다. 타자 속도가 느린 초보 통신인들이 숙련자들과 동등한 속도로 대화를 이끌어가기 위해 신조어를 만들어낸다는 것이다. 실제 발화시 음운 하나를 줄이거나 위치를 이동시킴으로써 상당한 경제적 효과를 얻듯이, 자판 입력 시에도 음운을 탈락시키거나 축약된 형태를 그대로 사용함으로써 입력의 속도를 높일 수 있고, 모음의 경우 축약이나 탈락을 시켰을 때 의미 변별기능이 사라지는 경우에는 자판의 위치를 누르기 쉬운 쪽으로 옮김으로써 입력 속도의 향상을 꾀할 수 있다.
신조어 생성의 또 다른 원인으로 감각적이고 이질성과 다양성을 중요시하는 신세대적 사고방식을 원인으로 들기도 한다. 신세대들은 정감 있고 격의 없는 통신언어를 통해 연대의식을 쌓는데, 특히 10대들은 은어를 만들어 사용하는 것으로 자신들만의 비밀스런 문화세계를 만끽하며 기성세대를 따돌리는 데 일종의 쾌감을 느낀다. 은어를 통해 현실에 대한 욕구불만을 발산하고 또래집단의 결속력을 다지기도 한다.
그러나 신조어를 살펴보면 부사어나 문장의 종결형 뒤에 다른 말이 결합되어 만들어져 우리말의 어법에 어긋나거나 부자연스러운 경우가 많다. 대표적인 예로 '나홀로 티켓(공연장에서 혼자 보는 티켓)', '좌로우로밀리주 左-右-milli酒 : 포병 부대에 근무하는 장교들이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돌아가며 마시는 폭탄주. (국립국어원 '신어'자료집에 수록된 단어입니다.)
', '묻지마 방화'/'묻지마 재수'/'묻지마 테러', '긁어주(신용카드를 한 번에 긁듯 참석자 전원이 술잔을 비우는 것)' 따위를 들 수 있다. 또한 '즐감', '디찍병 디지털 카메라로 뭐든지 찍고 싶어 하는 증상. (국립국어원 '신어'자료집에 수록된 단어입니다.)
', '딸녀 딸기를 든 여자’를 줄여 이르는 말. 인터넷상에서 크게 인기를 끈 사진 속의 여자를 가리키기 위해 생겨난 말이다.
'와 같은 준말(두문자어 낱말의 머리글자를 모아서 만든 약어
)도 보이는데 우리말 특히, 순수 고유어가 포함된 구성에서 이러한 준말이 형성되는 것은 부자연스럽게
참고문헌

⏐ 참고문헌
김윤학, 󰡔바르고 고운 말󰡕, 박이정, 1996.
나찬연, 󰡔바르고 고운 말󰡕, 월인, 2002.
이수열,「영어투 뿌리 뽑아 국어 살리자」,『말과 글』 55, 한국교열기자협회
권영민, 󰡔우리 문장 강의󰡕, 신구문화사, 19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