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락 경혈학] 경락과 근막의 상관성에 관한 연구

 1  [경락 경혈학] 경락과 근막의 상관성에 관한 연구-1
 2  [경락 경혈학] 경락과 근막의 상관성에 관한 연구-2
 3  [경락 경혈학] 경락과 근막의 상관성에 관한 연구-3
 4  [경락 경혈학] 경락과 근막의 상관성에 관한 연구-4
 5  [경락 경혈학] 경락과 근막의 상관성에 관한 연구-5
 6  [경락 경혈학] 경락과 근막의 상관성에 관한 연구-6
 7  [경락 경혈학] 경락과 근막의 상관성에 관한 연구-7
 8  [경락 경혈학] 경락과 근막의 상관성에 관한 연구-8
 9  [경락 경혈학] 경락과 근막의 상관성에 관한 연구-9
 10  [경락 경혈학] 경락과 근막의 상관성에 관한 연구-10
 11  [경락 경혈학] 경락과 근막의 상관성에 관한 연구-11
 12  [경락 경혈학] 경락과 근막의 상관성에 관한 연구-12
 13  [경락 경혈학] 경락과 근막의 상관성에 관한 연구-13
 14  [경락 경혈학] 경락과 근막의 상관성에 관한 연구-14
 15  [경락 경혈학] 경락과 근막의 상관성에 관한 연구-15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경락 경혈학] 경락과 근막의 상관성에 관한 연구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목 차




1.서론
1-1> 경락학설의 경근 개념
1-2> 근막의 개념


2.본론

2-1>경근 치료의 문헌적 고찰 / 근막통증 증후군과 12경근의 비교 논문 및 고찰
1) 경근 치료의 문헌적 고찰
1 경근의 병후
2 경근의 치료
2) 근막통증 증후군과 12경근의 비교

2-2> 경락과 근막의 상관성에 관한 비교연구 및 고찰
2-3> Mechanical signaling through connective tissue:
a mechanism for the therapeutic effect of acupuncture 논문 고찰
2-4>Fascia and the mechanism of acupuncture 논문고찰

2-5> Fascia, Chinese Medicine Meridians & Trigger Points 논문 고찰


3.결론


4.참고문헌

본문내용

2. 근막통증 증후군과 12경근의 비교
근막통증증후군은 근육 및 근막에서 발생하는 통증증후군으로 젊은 층에서는 활동성 발통점에 의한 통증이 주가 되는 반면 노년층에서는 기능의 약화 및 제약을 일으키는 잠재성발통점이 많이 나타난다. 근막통증증후군은 다양한 정서적, 육체적인 영양학적인 요인들에 의해 수발, 악화, 활성화되며, 근육통, 운동제한, 수축시 통증의 증가, 촉진시 탱탱한 느낌 등이 나타나는데 대부분 근육의 과도한 긴장과 수축에 따른 것이 많다.
근막통증증후군의 치료법에는 발통점 주사, 운동 요법, 온습포, 초음파, 전기자극, 허혈성압박 등이 있고, 주사요법에는 procaines injection과 dry needling이 있는데, 열에 의해 근육의 이완을 돕고 혈액 순환을 증기시킨다. 또한 근육의 운동범위를 넓혀 주는 운동을 병행한 후, 핫 팩과 같은 온열 자극을 가하면 치료효과가 향상될 수 있다.
12경근은 12경맥의 순행부위 상에 분포된 체표근육체계통의 총칭으로 기능과 통증에 근거하여 12경맥의 순행부위에 따라 체표근육을 유기적으로 연계시킨 것이며, 관절의 굴신 및 지체의 운동에 관계된다. 경근의 병증은 대개 운동과 관련되며, 중추신경계통과 주위신경계통의 질병을 포함한다. “陽急則反絶, 陰急則俛不伸”은 寒으로 인한 경우 구급, 강직, 견인, 추축 등의 증상이 발생하고, 熱로 인한 경우 대부분의 근육이 이완되고 늘어지면서 힘이 없게 된다는 것으로 결국 음약의 경근이 실조를 뜻하는 것이다.
경근과 관련된 병증의 치료에 있어서는 해당 경근의 국소병증에 대하여 일반적으로 그 발병 부위에 자극을 가하는데 ‘以痛爲腧’ 는 국소취혈의 원칙, 즉 아시혈을 적용하는 것을 의미하며, 경근은 경락과 밀접한 관계가 있으므로 유관한 경락의 혈위에도 치료를 가한다. “陽緩而陰急, 陰緩而陽急”은 사지의 내외측 근군이 구급하여 足의 내반 혹은 외반 현상이 나타나는 것으로 이를 치료하기 위해서는 평형을 잃은 경근의 완급을 조절해야 하며, 한증과 열증을 구분하여 번침법을 이용하거나 양사를 사한다. 자법에 있어서는 보사와 유침을 하지 않으며, 分刺, 恢刺, 關刺 등의 방법이 사용된다.
근막통증후군은 근육의 과도한 긴장과 수축을 유발하는 것이 주요한 발병기전이며, 주된 병소가 되는 근 및 근막과 관련된 간담은 12경맥에서 각각 족궐음간경과 족소양담경에 해당한다. 그러므로 근막통증후군을 6경 이론에 의거하여 해석하면 근육 계통에 있어서 궐음지기의 항진과 소영지기의 불급에 따른 수축과 이완 간의 불균형으로 인해 초래되는 문제이므로 족소양담경의 기능을 증강시키는 것이 치료의 원칙이 된다. 그러므로 임상침구치료에서
참고문헌


참고문헌

1. 고건일 외. 인체생리학. 서울 : 探究堂. 1995:300-301

2.. 전계식. 해부생리학. 서울. 명진당. 1994:71-75

3. 정영태. 칼라 인체생리학. 서울: 청구문화사. 1994:49-51

4. Richard S Snell. 의학도를 위한 신경해부학. 서울 : 범문사 1993 : 51-53, 475

5. Carol J Manheim. The MFR 2nd ed. Thorofare. NJ:Slack. 2000 : 3-4

6. Human Kinetics. Myofascial release in sports medicine. Champaign IL : Human Kinetics. 2000 : 4, 5, 8-14

7. 경락과 근막의 상관성에 관한 비교연구
(김성욱, 2001년 10월, 한방재활의학과학회제 제 12권 제 4호)
8. Mechanical signaling through connective tissue: a mechanism for the therapeutic effect of acupuncture
(Helene M. LANGEVIN, DAVID L. CHURCHIL, AND MARILYN J. CIPOLLA department of Neurology, University of vermont, Burlington, Vermomt 05405, USA )
9. Fascia and the mechanism of acupuncture steven finando, journal of bodywork & movement therapies (2010)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