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졸업][조직심리학] 심리적계약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1  [졸업][조직심리학] 심리적계약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1
 2  [졸업][조직심리학] 심리적계약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2
 3  [졸업][조직심리학] 심리적계약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3
 4  [졸업][조직심리학] 심리적계약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4
 5  [졸업][조직심리학] 심리적계약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5
 6  [졸업][조직심리학] 심리적계약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6
 7  [졸업][조직심리학] 심리적계약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7
 8  [졸업][조직심리학] 심리적계약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8
 9  [졸업][조직심리학] 심리적계약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9
 10  [졸업][조직심리학] 심리적계약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10
 11  [졸업][조직심리학] 심리적계약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11
 12  [졸업][조직심리학] 심리적계약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12
 13  [졸업][조직심리학] 심리적계약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13
 14  [졸업][조직심리학] 심리적계약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14
 15  [졸업][조직심리학] 심리적계약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15
 16  [졸업][조직심리학] 심리적계약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16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졸업][조직심리학] 심리적계약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제 1장 서론
제 1절 문제의 제기 및 연구의 목적

제 2장 연구에 대한 이론적 배경
제 1절 심리적 계약의 개념 정의
1. 심리적 계약의 의의
2. 심리적 계약의 특성
제 2절 심리적 계약에 대한 연구들
제 3절 조직몰입(Organizational Commitment)의 개념 정의
1. 조직 몰입의 의의
2. 조직몰입의 특성
제 4절 조직몰입에 대한 연구들
1. 조직몰입의 선행변수
2. 조직몰입의 결과변수

제 3장 연구의 설계
제 1절 가설설정
제 2절 연구방법
1. 연구대상(표본)
2. 변수의 개념적 정의 및 측정 도구
3. 자료 분석 방법
4. 변인들의 신뢰도 검증

제 4장 연구결과
제 1절 심리적 계약 유형의 분류
제 2절 가설 검증

제 5장 연구의 요약과 한계점 및 향후 연구 방향
제 1절 연구결과의 요약
제 2절 연구의 한계점과 향후 연구 방향
본문내용
제 1절 문제의 제기 및 연구의 목적

올해 취업에 성공한 대졸 신입사원 10명 중 3명은 취업난을 피하기 위해 일단 취업했으며 첫 직장에서의 평균 예상근무기간은 21.5개월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잡링크 한현숙 사장은 “심각한 취업난으로 일단 취업부터 하고보자는 구직자가 늘고 있다면서 취업을 했더라도 업무를 체계적으로 배울 수 없어 직장생활에 어려움을 겪거나 이직을 생각하는 직장인들이 적지 않다”고 말했다. 이직을 한 시기로는 직장 경력 1~3년 사이가 78.98%로 가장 높았으며, 3~5년차가 12.89%, 5년차 이상이 8.13% 가장 많이 이루어진 걸로 나타났다(잡코리아, 2001). 취업자의 한 직장 평균 근속기간은 7.08년에서 6년으로 급감했고 95∼97년 68.8%이던 직업유지율은 97∼99년에는 54.5%로 낮아졌다(한국노동연구원, 2000). 노동부가 집계한 이직률도 97년 이후 계속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한국노동연구원의 금재호 박사는 이와 같은 현상을 “상시 기업구조조정과 경력자 선호경향과 외환위기 당시 선택한 직장에 대한 불만족, 그리고 평생직장이 아닌 `평생직업' 개념의 확산 등이 주요원인”이라고 분석하고 있으며, 기업 구조조정이 상시화 돼 이직률 증가세는 앞으로도 지속될 것이라고 설명하고 있다.
현재 경영자들은 많은 신입사원이 입사한지 수년이내에 이직하고 있다는 문제에 부딪히고 있다. 높은 이직률은 회사와 개인간의 이해 불일치를 발생시키기 때문에 경쟁력 있는 조직을 만들기가 힘들다. 또한 근로자의 권한 강화에 근거한 수평적 조직구조라는 장점도 근로자의 높은 이직률과 결합될 때는 약점으로 전환될 수 있으며, 근로자들이 주어진 권한을 기업의 이해와 무관하게 자신의 이해만을 위해서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축적되는 역량이 조직으로 흡수되지 못한 채 이직과 함께 유실 될 우려가 있다. 게다가 높은 이직률은 관리자들의 명성과 수익성 그리고 효율성에 부정인적 영향을 미친다. 결론적으로 증가된 이직률은 생산성의 저하를 야기시켜 회사의 매출과 이윤 그리고 원가에 악영향을 주게 된다. 따라서 최근 여러 학자와 경영자들은 종업원이 직무에 대해 가지는 태도 못지않게, 그들이 조직에 대하여 가지는 태도에도 깊은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이는 결국 직무만족이라는 지표보다는, 종업원이 회사에 대해 얼마나 애착심을 가지고 헌신하려는 의사가 있는지를 보여주는 지표로서의 조직몰입이 직무성과와 결근률 그리고 이직률 등을 결정하는 변수로서 훨씬 의미가 있다는 관점으로 변화되고 있음을 의미한다.
참고문헌
권상순(1997), 심리적 계약의 이론적 배경에 관한 고찰, 인사관리 연구, 제 20집, 2권, pp.93~120
민혜경(1997), 심리적 계약의 내용과 위반이 조직구성원의 조직 몰입과 공정성 지각에 미치는 효과, 서울대학교 석사학문 논문
박영석, 여하나(2001), 심리적 계약의 네 가지 유형 : 거래적, 관계적, 안정적, 그리고 발전적 계약, 한국심리학회지 : 산업 및 조직, 14권 1호, pp.45~67
조경구(2000), 심리적 계약, 직무의 경력 유용성, 경력주의 지향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고려대학교 석사학문 논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