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화에 따른 농촌지역의 변화

 1  산업화에 따른 농촌지역의 변화-1
 2  산업화에 따른 농촌지역의 변화-2
 3  산업화에 따른 농촌지역의 변화-3
 4  산업화에 따른 농촌지역의 변화-4
 5  산업화에 따른 농촌지역의 변화-5
 6  산업화에 따른 농촌지역의 변화-6
 7  산업화에 따른 농촌지역의 변화-7
 8  산업화에 따른 농촌지역의 변화-8
 9  산업화에 따른 농촌지역의 변화-9
 10  산업화에 따른 농촌지역의 변화-10
 11  산업화에 따른 농촌지역의 변화-11
 12  산업화에 따른 농촌지역의 변화-12
 13  산업화에 따른 농촌지역의 변화-13
 14  산업화에 따른 농촌지역의 변화-14
 15  산업화에 따른 농촌지역의 변화-15
 16  산업화에 따른 농촌지역의 변화-16
 17  산업화에 따른 농촌지역의 변화-17
 18  산업화에 따른 농촌지역의 변화-18
 19  산업화에 따른 농촌지역의 변화-19
 20  산업화에 따른 농촌지역의 변화-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산업화에 따른 농촌지역의 변화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머리말
2. 본론
가. 연구지역 선정과 지역개관
1) 연구지역 선정 사유 및 연구 지역 개관
2) 행정구역상의 변화
나. 인구의 변화
1) 연령 구조상의 특징
2) 성비 구조상의 특징
3) 연령 구조가 사회에 미친 영향
4) 성비 구조가 사회에 미친 영향
다. 경제 변화
1) 농업부분의 변화
2) 비농업 부분의 변화
라. 지역사회변화
1) 지역공동체의 변화
2) 교육적 측면 변화
3) 외지인의 비율 변화
마. 심화연구- 함안군의 외국인 이주자 증가에 따른 사회변화 연구.
1) 함안군 외국인 이주자(이하 ‘외국인 이주자’)의 증가 배경
2) 외국인 이주자의 특성
3) 농촌에 미친 영향
3. 결론 및 제언
4. 참고문헌

본문내용
1.1.1.1. 결혼 이민자
함안면에 거주하고 있는 결혼 이민자는 이주 노동자에 비해 그 수는 적으나, 농촌 사회에 미치는 영향력은 훨씬 강력하였다. 이들은 농촌에서 가정을 꾸리고 지역사회에 적응하고 융화되고자 하는 의지가 강하기 때문에 젊은 인구가 빠져나가고 고령화 된 농촌 사회에 활력소의 역할을 하고 있었다. 아직 우리사회에서 이주여성에 대한 편견과 차별, 무관심이 여전해 이들의 정착을 어렵게 하고 있고, 일부는 사건ㆍ사고의 희생자가 되기도 하는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정부와 지방자치단체, 시민단체들이 이주여성들의 조기 정착을 위한 각종 방안을 내놓고 있고 이민자들의 숫자가 점차 늘어나면서 성공적인 정착 단계를 지나 농촌사회를 주도하는 여성도 나타나고 있다.
우리 조의 조시지역이었던 함안군 함안면의 금천마을에서 이장직을 맡고 계신 박복순(50)씨(그림39)를 만나 인터뷰할 수 있었다. 박복순 이장님은 성공적으로 한국에 정착하여 농촌사회를 주도하고 있는 여성의 대표적 예에 해당한다. 박복순 이장님은 우리나라 최초의 외국인 이주민 출신 마을 이장이다. 중국의 흑룡강성에서 한국에 이주해 온 것이 올해로 10년이 됐는데, 3년 전부터 마을 이장직을 맡고 있다고 하셨다. 마을에 젊은 사람이 많지 않기 때문에 무슨 일이든 열심히 하는 젊은 자신이 이장으로 선출되었다고 말씀해주셨다. 마을 사람들의 기대에 부흥하여 열심히 활동하고 있기 때문에 3년째 계속 이장으로 활동하고 있는 것이라고도 하셨다. 현재는 마을 수로 정비 사업을 추진하고 계셨는데, 자신의 임기 안에 끝마칠 것이라는 강한 의지를 보여 주셨다. 박복순 이장님은 노령화된 농촌마을의 지역 일꾼으로 최선을 다하며 지역의 구성원으로서 제 몫을 하고 계셨다. 김복순 이장님의 경우는 결혼 이주자가 한국 사회에 성공적으로 정착하여 지역사회의 구성
그림 TRIAL 마트에서 물건을 고르는 외국인들

원으로서 자리잡은 예에 해당한다고 볼 수 있다.



그림 함안면 대산리의 결혼 이주자 출신 이장님인 박복순 씨


참고문헌
1. 참고문헌

《저 서》

1. 《舊韓末 韓半島 地形圖: 1:50000》 1권ㆍ4권, 남영우 편저(1997)
2. 《외국인 고용허가제 도입 과정》《한국정책학회보》제13권제5호, 고혜원, 한국정책학회, (2005)


《자 료》

3. 《咸安의 地名由來》, 함안군(1990)
4. 《2009년도 지방행정구역요람》, 행정안전부
5. 인구주택총조사 보고서, 통계청 ,(1980~2005)
6. 한국의 사회지표, 통계청, (2009)
7. 함안군 농가인구, 통계청 , (1980~2005)
8. 경상남도내 외국계주민시군별현황, 행정안전부 (2010)
9. 함안군 폐교 현황, 함안교육지원청 (1988~2007)
10. 함안군 외국인 등록 인구, 법무부 출입국외국인정책본부 정보팀 (1992~2009)
11. 혼인통계, 통계청, (2007)
12. 《농촌 다문화 후계세대 방안 연구》 보고서, 농림수산식품부
13. 《지속성장과 기업을 위한 외국인고용허가제》노동부, (2004. 11.)
14. 《한국 국적 취득 현황》, 농림수산식품부
15. 《이민여성농업인, 핵심인력으로 키운다》, 농림수산식품부 농촌정책과, (2010.2.2)
16. 사진과 그림으로 이해하는 지리학습, 김상태,서정훈 홈페이지
17. 남동연안공업지대 [南東沿岸工業地帶 ], 네이버 백과사전
18. 정부의 외국 노동력 유치 제도, 중소기업 중앙회. 외국인 인력정보망 (http://www.kbiz.or.kr)
19. 마산시시청 (http://pen.masan.go.kr/open_content/government/plan_cityhall/sub04_01.jsp)


《논 문》
20. 농촌 공업화가 지역경제에 미친 영향 : 함안군 농공지역 사례 연구/조재훈(1997) 석사학위논문
20. 농촌 이주여성들의 생활실태에 대한 연구:전남함평군을 중심으로, 정영성 (2008)
21. 한국의 이농현상과 농촌사회구조의 변모, 하광훈, 고려대학교, (1993)
22. 농촌 다문화가족의 현황과 적응문제, 이순형, 서울대학교, (2007)


《기 사》

23. 경남도민일보, 함안군 ‘농촌체험-관광’연계 명소 부상, 조현열, (2010, 7, 9)
24. 경남도민일보, 경남지역 외국계 주민 꾸준히 증가, 조재영, (2010. 6.15)
25. 세계일보, [다문화 한가족 시대 3부 지구촌 가족] (26) 경남도 '행복나눔 프로젝트', (2009.5.1)
26. 연합뉴스, 이주여성이 농촌 책임진다 , (2010. 8. 15)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