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후기의 예술

 1  조선 후기의 예술-1
 2  조선 후기의 예술-2
 3  조선 후기의 예술-3
 4  조선 후기의 예술-4
 5  조선 후기의 예술-5
 6  조선 후기의 예술-6
 7  조선 후기의 예술-7
 8  조선 후기의 예술-8
 9  조선 후기의 예술-9
 10  조선 후기의 예술-10
 11  조선 후기의 예술-11
 12  조선 후기의 예술-12
 13  조선 후기의 예술-13
 14  조선 후기의 예술-14
 15  조선 후기의 예술-15
 16  조선 후기의 예술-16
 17  조선 후기의 예술-17
 18  조선 후기의 예술-18
 19  조선 후기의 예술-19
 20  조선 후기의 예술-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조선 후기의 예술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목 차
조선 후기의 문학

1. 시대 개관

2. 특징

3. 소설 시대의 전개
⑴ 형성

⑵ 특징

⑶ 소설의 종류

⑷ 소설의 유통 과정

⑸ 이야기꾼

⑹ 설화집의 편찬
4. 시가 문학의 변이

⑴ 시조

⑵ 가사의 변모
5. 기록 문학의 발달

6. 한문 문학의 변모와 실학파 문학, 위항 문학

조선 후기의 건축

1. 조선전기의 건축물과 그 특징

2. 조선 후기의 건축물과 그 특징

3. 다포 기법

조선 후기의 음악

1. 시대 개관

2. 특징

3. 민속음악의 발달 모습
⑴ 형성

⑵ 민속음악의 종류
① 판소리

② 단가

③ 잡가

④ 민요

⑤ 시나위

⑥ 산조

4. 조선후기 유랑예인집단

⑴ 정의

⑵ 유래 및 흐름

5. 궁중음악의 쇠퇴

6. 조선 후기 음악사의 경향


조선 후기 미술
(약 1700년∼∼약1850년)





≪참고문헌≫


본문내용
5. 기록 문학의 발달
이 시기의 특징 중 하나가 기록 문학(수필)이 많이 등장했다는 사실이다. 이 시기의 수필들은 일기, 기행, 내간, 평론, 기타의 글들로 분류할 수 있을 정도로 다양한 성격을 지니고 있으며 운문의 투를 벗어나려고 노력한 흔적이 보인다. 초기에는 한문으로 된 수필이 많았지만 후기로 오면서 차차 한글로 된 작품이 압도적으로 많아졌으며 민간과 궁중에서 함께 쓰였다.
⑴ 전쟁 체험의 기록 이순신 [난중일기] , 유성룡 [징비록] 등
⑵ 국내외 여행의 견문 기록 홍대용 [을병연행록], [의유당 관북유람일기] 등
⑶ 궁중 기록 문학 [계축일기], 혜경궁 홍씨 [한중록], [인현왕후전] 등

6. 한문 문학의 변모와 실학파 문학, 위항 문학
조선 전기 도학 사상의 영향을 받은 한문학은 예술과 철학이 결합된 형태인 순정문학(醇正文學)이 주류를 이루었으나 이 시기에 와서는 예술과 현실이 결합한 형태인 실학문학(實學文學)이 주류를 이루게 되었다. 또 실학파의 대두와 함께 상공업이 성장하고 그로 인해 부(富)를 축적한 서울 근교의 중인들이 문학에 참여하게 되어 커다란 세력을 형성하게 되었는데 이것이 위항(委巷)[여항(閭巷)] 문학이다.

⑴ 한문학 4대가 양란 이후 조선 전기의 순정문학(醇正文學)을 이어받기 위한 사대부들의 노력이 실학의 거센 도전 속에서도 행해졌는데 그 결과로 나타난 이들이 한문학 4대가들이다. 월사 이정구, 상촌 신흠, 택당 이식, 계곡 장유가 그들이다.

⑵ 실학파 문학
① 경세치용학파 중농주의를 취한 사람들로 이익, 이용휴, 이가환, 정약용 등이 대표적이다.
② 이용후생학파 중상주의를 취한 사람들로 홍대용, 박제가, 빅지원, 유득공 등이 대표적이며 북학파로도 불린다.
- 실학 4대가 이덕무, 유득공, 박제가, 이서구

⑶ 위항 문학(閭巷文學)이라고도 하며 여항은 사대부와 서민의 중간 계층인 중인 신분 계층이 사는 곳을 말한다. 실학의 대두로 말미암아 생활에 여유가 생긴 의학 역학 산학 율학 악학 등 이른바 잡학에 종사했던 전문 지식인인 이들은 처음엔 관계 진출에 뜻을 두고 공부를 했다. 그러나 곧 신분상의 제약으로 인해 좌절을 겪게 되자, 문학으로 관심을 돌리게 된
참고문헌
≪참고문헌≫
이해산, 『조선한문학사』, 한국문화사, 1995
강명관, 『조선후기 여항문학연구』, 창작과비평사, 2007
허남욱, 『조선후기 문학사상의 흐름』, 강원대학교출판부, 2007
동국대학교 한국문학연구소, 『조선 후기 문학의 양상』, 이회문화사, 2001
『조선시대의 민속음악』, 평화문제연구소, 2007
『세계음악사, [악학궤범]같은 ‘악서’ 없다』, 한국문화콘텐츠진흥원, 2005
『판소리의 갈래와 역사적 성격』, 연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1987
윤미용, 『한국음악자료총서 권37 -조선시대음악풍속도1』(서울: 민속원), 2002.
-----, 『한국음악자료총서 권38 -조선시대음악풍속도2』(서울: 민속원), 2002.
정수진, 『조선시대 유랑예인집단에 관한 담론분석』(서강대학교 대학원), 1995.
홍선표 『한국의 전통 회화(우리 문화의 뿌리를 찾아서 27)』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이준구, 강호성 『조선의 화가(조선을 움직인 위대한 인물들』 스타북스 2007
이태호, 『조선후기회화의사실정신』 학고재 1996

≪참고자료≫
화성행궁 http://hs.suwon.ne.kr/
문화재청 http://www.cha.go.kr/korea/heritage
수원화성 http://skji.hihome.com/history_k/kh031.htm#5.%20수원%20화성%20축조
조선후기의 예술 http://desert.tistory.com/2084
요약본
http://kin.naver.com/qna/detail.nhn?d1id=11&dirId=111001&docId=57171429&qb=7KGw7ISgIO2bhOq4sCDqsbTstpXrrLw=&enc=utf8§ion=kin&rank=3&search_sort=0&spq=0&pid=gKCWpz331xhssudBQK8ssv--318742&sid=TMkmbGYSyUwAAHETE0s
다포 양식
http://enc.daum.net/dic100/search.do?nil_profile=vsearch&nil_src=enc&q=%EB%8B%A4%ED%8F%AC
교육 인적 자원부, 『고등학교 국사 교과서』, 국사 편찬위원회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