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 일제강점기와 1960-70년대 한국 농촌사회와 농민생활

 1  [한국사] 일제강점기와 1960-70년대 한국 농촌사회와 농민생활-1
 2  [한국사] 일제강점기와 1960-70년대 한국 농촌사회와 농민생활-2
 3  [한국사] 일제강점기와 1960-70년대 한국 농촌사회와 농민생활-3
 4  [한국사] 일제강점기와 1960-70년대 한국 농촌사회와 농민생활-4
 5  [한국사] 일제강점기와 1960-70년대 한국 농촌사회와 농민생활-5
 6  [한국사] 일제강점기와 1960-70년대 한국 농촌사회와 농민생활-6
 7  [한국사] 일제강점기와 1960-70년대 한국 농촌사회와 농민생활-7
 8  [한국사] 일제강점기와 1960-70년대 한국 농촌사회와 농민생활-8
 9  [한국사] 일제강점기와 1960-70년대 한국 농촌사회와 농민생활-9
 10  [한국사] 일제강점기와 1960-70년대 한국 농촌사회와 농민생활-10
 11  [한국사] 일제강점기와 1960-70년대 한국 농촌사회와 농민생활-11
 12  [한국사] 일제강점기와 1960-70년대 한국 농촌사회와 농민생활-12
 13  [한국사] 일제강점기와 1960-70년대 한국 농촌사회와 농민생활-13
 14  [한국사] 일제강점기와 1960-70년대 한국 농촌사회와 농민생활-14
 15  [한국사] 일제강점기와 1960-70년대 한국 농촌사회와 농민생활-15
 16  [한국사] 일제강점기와 1960-70년대 한국 농촌사회와 농민생활-16
 17  [한국사] 일제강점기와 1960-70년대 한국 농촌사회와 농민생활-17
 18  [한국사] 일제강점기와 1960-70년대 한국 농촌사회와 농민생활-18
 19  [한국사] 일제강점기와 1960-70년대 한국 농촌사회와 농민생활-19
 20  [한국사] 일제강점기와 1960-70년대 한국 농촌사회와 농민생활-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한국사] 일제강점기와 1960-70년대 한국 농촌사회와 농민생활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목차

I. 서론

II. 본론

A. 일제강점기
1. 정책으로 보는 일제강점기 농촌
a. 1910년대의 농업정책
1) 토지조사사업
2) 농업정책

b. 1920년대의 농업정책
1) 산미증식계획
a) 1차 산미증식 계획(1920~1925)의
실시 배경과 목적
b) 1차 산미증식계획의 내용과 실적
c) 2차 산미증식계획(1926~1934)의
내용과 실적
2) 산미증식계획과 식민지 지주제
a) 미곡단작농업의 형성
b) 수리조합의 폐해
c) 식민지 지주제의 형성
3) 농가경제의 피폐
a) 농가수지 적자와 부채
b) 양곡소비의 감소
c) 전업(轉業)과 해외이주의 증가

c. 전시체제기 농촌정책
1) 전쟁 발발과 일본의 미곡수급 사정
2) 총동원체제로의 전환
3) 전시기 농촌 정책
4) 전시 농촌 주민의 실태

2. 일제강점기 농촌의 모습
a. 당시 문학작품에서 표현된 농촌의 모습
1) 근대화 과정 속 생활양식의 변화
2) 농민들의 고된 삶의 모습

b. 농민운동의 전개
1) 1910년대의 농민운동
2) 1920년대의 농민운동
3) 1930년대 이후의 농민운동






B. 1960-70년대
1. 1960년대 농촌사회
a. 1960년대 농촌변화의 환경
1) 공업화
2) 잉여농산물 도입
3) 농업발전정책
a) 고리채정리
b) 소농구조개선과 협업화정책
c) 농산물가격정책
4) 농업협동조합
5) 농촌지도 및 개발기구의 정비

b. 1960년대 농촌의 발전
1) 이농과 농촌과잉인구 감소
2) 농가경영과 지주소작
3) 기계화
4) 공동노동과 전통적 고용노동의 감소

2. 1970년대 농촌사회
a. 1970년대의 새마을운동
1) 새마을운동의 배경과 목적
2) 새마을운동의 전개양상과 성과
3) 새마을운동의 영향과 평가
a) 농민생활에 대한 긍정적 영향 및 평가
b) 농민생활에 대한 부정적 영향 및 평가

b. 1970년대의 농촌사회와 농민생활의 모습
1) 농민의 의생활
2) 1970년대 소설에 나타난 농촌사회와 농민생활
a) 최손덕의 수필, 「다시 싸는 도시락」
b) 이문구의 소설, 『관촌수필』의
「일락서산(1977)」
c) 황석영의 소설 『삼포 가는 길(1973)』

III. 결론

본문내용
3) 농가경제의 피폐

a) 농가수지 적자와 부채

1920년대 식민지 조선의 농가경제 상태에 대해서는 1925년 9월 내무국 사회과에서 발표한 「농가경제에 관한 조사」를 통해 알 수 있다. 이 자료에 따르면 지주를 포함한 전체 농가 호수의 46.6%에 해당하는 1,271,236호가 수지 적자였으며 지주와 자작농은 토지소유 규모에 관계없이 모두 흑자를 나타낸 반면 소작농은 3정보 이상 경작해야 흑자를 얻을 수 있었는데 그 비율은 소작농 호수의 9%에 지나지 않았다.
농가의 수지적자는 부채를 유발할 수밖에 없었다. 1930년에 조선 총독부의 조사에 따르면소작농과 자소낙농을 합한 2,247,194호 중 77.2%에 해당하는 1,733,797호의 농가가 호당 평균 58원의 부채를 안고 있었다. 벼 1석 부피의 단위. 곡식, 가루, 액체 따위의 부피를 잴 때 쓴다. 한 섬은 한 말의 열 배로 약 180리터에 해당한다.
당 가격 11원을 기준으로 하면 농가의 부채는 호당 벼 5석 정도였던 셈이다. 다른 자료로 1933년의 ‘농가갱생5개년계획’에 의해 갱생지도농가로 지정된 51,705호의 농가 중 3,587호(자소낙농 1,859호, 소작농 1,728호)를 대상으로 1933년과 1938년에 농가경제조사를 실시하였다. 이 자료에 따르면 조사 농가 주 부채농가 호수의 비율은 자소작농 85.6%, 소작농 88.7%로 나타났다. 그리고 농가부채의 원인으로서 자소낙농은 생산적 부채가 비생산적 부채보다 많은 데 반해 소작농은 비생산적 부채가 많았다. 특히 식량 부족이 농가부채의 첫째 원인으로서, 부채액의 39.3%, 부채농가의 45.9%를 차지하였다.(농사 짓기 위해 빌린 돈보다 먹고 살기 위해 빌린 돈이 많다는 의미)
농가부채의 이율 또한 상당히 높은 편이었다. 농가부채의 이율은 월 1%미만부터 4% 이상까지 다양하였는데, 월 2% 미만의 부채가 부채총액의 57%를 차지하였지만 월 3% 이상 고리의 부채도 부채총액의 24%에 달하였다. 계층별로는 월 3% 이상 고리채의 비중이 소작농 30.8%, 자소낙농 16.8%로 소작농의 고리채 이용률이 높았으며, 특히 남부지방 소작농의 고리채 비중은 46%에 달하였다. 또한 대부자별로는 부채총액의 56%, 부채농가 호수의 61%를 차지하였던 개인 대부의 이율은 평균 35.2% 이었으며, 부채총액의 19.2%와 부채농가 호수의 23%를 차지하였던 계의 대부이율은 평균 17.8%였다.

참고문헌
참고문헌

농촌진흥청「편」, 「농촌경제사회 발전사」, 농촌진흥청, 2008.
농촌진흥청「편」, 「농촌생활문화 발전사」, 농촌진흥청, 2008.
민상기, 「농민의 새마을운동 참여와 마을 공동체 의식」, 1980.
박섭 외, 「근현대 한국의 국가와 농민: 새마을운동의 정치사회적 조건」, 한국정치학회,
한국정치학회보, 1997.
박진환, 『경제발전과 농촌경제』, 박영사, 1987.
소순열,『식민지 조선에서의 지주·소작관계의 구조와 전개』, 한국농업사학회.
서중석, 「사진과 그림으로 보는 한국 현대사」, 웅진 지식하우스, 2005.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일제의 식민지배와 일상생활」, 혜안출판사, 2001.
원용찬,「일제하 전북의 농업수탈사」, 신아출판사, 2004.
이광규, 「농촌 발전과 지도자의 역할」,『문화인류학』5집, 한국문화인류학회, 1972.
조성운, 「일제하 농촌사회의와 농민운동」, 혜안출판사, 2002.
조승연, 「한국근현대 농민사회연구」, 서경문화사, 2004.
최재석, 『한국 농촌사회 연구』, 일지사, 1975.
한국농촌경제연구원,「한국 농업·농촌 100년사」, 농림부, 2003.
한도현, 「1960년대 농촌사회의 구조와 변화」, 『1960년대 사회변화연구: 1963~1970』, 국정신문화연구원 연구처 엮음, 백산서당, 1999.
한국정신문화연구원「편」, 『1970년대 전반기의 정치사회변동』, 백산서당, 1999.

새마을운동 관련 동영상
http://qtv.freechal.com/Viewer/QTVOutViewer.asp?docid=2082165&srchcp=N&playtimePos=&q=새마을운동#container
전국 새마을 대회 지도자대회 대한뉴스 1112회
http://videosearch.naver.com/search.naver?where=vsdetail&query=%EC%83%88%EB%A7%88%EC%9D%84%EC%9A%B4%EB%8F%99&sort=&vid=2000104200&parent_vid=2833646&qt=query&charge=&definition=&from=tab&rev=11
대한뉴스 1017회
http://videosearch.naver.com/search.naver?where=vdetail&query=%EC%83%88%EB%A7%88%EC%9D%84%EC%9A%B4%EB%8F%99&detail_type=1&vid=2833559&qt=vid&rev=11
‘새마을 노래 2절’로 자취 감춘 초가집
http://video.joinsmsn.com/channel/tv_player.asp?mov_id=2009_0326_173135&categoryID=101001001&cloc=naver
추억의 한국만화
http://blog.naver.com/cyongjoon?Redirect=Log&logNo=100051543358
모내기 시연 동영상
http://www.ytn.co.kr/_comm/pop_mov.php?s_mcd=0103&s_hcd=&key=200806040709492296

※ 이상 기록한 참고문헌 안에서 인용된 문헌은 별도로 적지 않고 본문에 각주로만 밝혔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