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더니즘시의 개관과 전후 모더니즘의 특성 -김춘수, 김종삼, 전봉건을 중심으로

 1  모더니즘시의 개관과 전후 모더니즘의 특성 -김춘수, 김종삼, 전봉건을 중심으로-1
 2  모더니즘시의 개관과 전후 모더니즘의 특성 -김춘수, 김종삼, 전봉건을 중심으로-2
 3  모더니즘시의 개관과 전후 모더니즘의 특성 -김춘수, 김종삼, 전봉건을 중심으로-3
 4  모더니즘시의 개관과 전후 모더니즘의 특성 -김춘수, 김종삼, 전봉건을 중심으로-4
 5  모더니즘시의 개관과 전후 모더니즘의 특성 -김춘수, 김종삼, 전봉건을 중심으로-5
 6  모더니즘시의 개관과 전후 모더니즘의 특성 -김춘수, 김종삼, 전봉건을 중심으로-6
 7  모더니즘시의 개관과 전후 모더니즘의 특성 -김춘수, 김종삼, 전봉건을 중심으로-7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모더니즘시의 개관과 전후 모더니즘의 특성 -김춘수, 김종삼, 전봉건을 중심으로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목 차

Ⅰ. 서론

Ⅱ. 전후 모더니스트
1. 김종삼

2. 김춘수

3. 전봉건

Ⅲ. 결론

* 참고자료

본문내용
Ⅱ. 전후 모더니스트
1. 김종삼
시인 김종삼(1921~1984)은 30년이 넘는 시작과정을 통해 개성적인 스타일의 시를 보여줌으로써 독특한 시 세계를 구축해 왔다. 그는 절제된 언어와 압축된 시형을 통하여 시적 공간의 확보, 시의 장면화와 이국적 정서의 제고, 일상어의 시어화 등으로 한국 현대시의 영역을 보다 넓혀준 시인이다. 이숭원, 「20세기 한국 시인론」, (김종삼 시의 환상과 현실), 국학자료원, 1997, p 325.
김종삼 초기에는 어구의 비약적 연결과 시어에 담긴 음악의 경지를 추구하는 순수시 경향이었는데 후기로 가면서 점차 현대인의 절망의식을 상징하는 정신적 방황의 세계를 추구하며 과감한 성격을 통한 여백의 미를 중시하였다. 전후의 시단이 순수시와 모더니즘으로 양분되어 창작되어지는 가운데 김종삼 또한 모더니즘 시인으로서의 면모를 보여주고 있다는 점에서 김수영과 공통점을 지니고 있다고 하겠다. 그런데 김수영의 시를 전통적인 서정주의 시에 대한 비판으로부터 도전을 한 모더니즘 시라고 한다면 김종삼은 고전주의적인 면을 풍기면서 어느 정도 서정적인 면도 지니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여기서 그의 대표작품 「북치는 소년」을 예로 들어보기로 하겠다.

내용 없는 아름다움처럼

가난한 아희에게 온
서양 나라에서 온
아름다운 크리스마스 카드처럼

어린 양들의 등성이에 반짝이는
진눈깨비처럼
-「북치는 소년」전문


김현은 이 시에 나오는 아이들이 항상 혼자서 가난하게 죽음을 예감한다는 점을 강조하면서 이 시가 시인과 세계와의 불화를 표상한다고 보았고, 김주연은 `어린이 같은 마음가짐'이라는 말로 요약할 수 있듯이 시인의 환상이 기본적으로 동화적 성격을 벗어날 수 없다고 지적하며, 이런 환상이 현실에 대한 절망을 극복하는 데 있어서 그 나름의 문화적 기능을 지닌다고 강조하였으며, 황동규는 `내용 없는 아름다움'에 주목하며, 김종삼의 시가 `여백의 시'이며 인간 부재의 미학의 한 극치라고 주장한다. 그러나 김종삼의 시가 보여주는 여백성은 현실의 덧없음을 견디는 한 가지 방식일 뿐이다.

참고문헌
* 참고자료
강영기.『한국현대시의 대비적 인식』. 푸른 사상. 2005.
김춘수.『김춘수시론전집Ⅰ』. 현대문학, 2004.
김 현.『김종삼을 찾아서』. 민음사. 1975.
문혜원.『한국 현대시와 모더니즘』. 신구문화사. 1996.
오형엽.「김춘수와 김수영 시론 비교연구」. 한국문학이론과비평. 2002
진순애, 「김종삼 시의 현대적 자아와 현대성」, 󰡔반교어문연구󰡕 10, 1999. 12.
최라영.『김춘수 무의미 시 연구』. 새미, 2004.
하재연.「순수언어의 추구와 현대시의 방향」. 고려대학교. 2003.
한명희, 「김종삼 시의 공간-집․학교․병원에 대하여」, 󰡔한국시학연구󰡕 6, 한국시학회, 2002. 5.
홍용희, 「꿈과 평화의 시학-김종삼론」, 󰡔시선󰡕 5, 2004. 봄.
황동규, 「잔상의 미학」, 󰡔김종삼 전집󰡕, 청하, 198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