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학] 국사 교과, 근현대사 교과 분석

 1  [교육학] 국사 교과, 근현대사 교과 분석-1
 2  [교육학] 국사 교과, 근현대사 교과 분석-2
 3  [교육학] 국사 교과, 근현대사 교과 분석-3
 4  [교육학] 국사 교과, 근현대사 교과 분석-4
 5  [교육학] 국사 교과, 근현대사 교과 분석-5
 6  [교육학] 국사 교과, 근현대사 교과 분석-6
 7  [교육학] 국사 교과, 근현대사 교과 분석-7
 8  [교육학] 국사 교과, 근현대사 교과 분석-8
 9  [교육학] 국사 교과, 근현대사 교과 분석-9
 10  [교육학] 국사 교과, 근현대사 교과 분석-10
 11  [교육학] 국사 교과, 근현대사 교과 분석-11
 12  [교육학] 국사 교과, 근현대사 교과 분석-12
 13  [교육학] 국사 교과, 근현대사 교과 분석-13
 14  [교육학] 국사 교과, 근현대사 교과 분석-14
 15  [교육학] 국사 교과, 근현대사 교과 분석-15
 16  [교육학] 국사 교과, 근현대사 교과 분석-16
 17  [교육학] 국사 교과, 근현대사 교과 분석-17
 18  [교육학] 국사 교과, 근현대사 교과 분석-18
 19  [교육학] 국사 교과, 근현대사 교과 분석-19
 20  [교육학] 국사 교과, 근현대사 교과 분석-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교육학] 국사 교과, 근현대사 교과 분석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목 차

Ⅰ.국사의 성격과 교육 목표 및 6차 교과서와의 차별성
1. 국사의 성격
2. 교육목표
3. 6차 교과서와의 차별성

Ⅱ. 교과서 분석
1. 중학교 국사
1) 교과서 선정 이유
2) 형식
3) 내용 분석
① 교과목표가 잘 구현되었나?
②목차와의 연관성이 잘 되어있나?
③학생들의 수준 잘 고려되었나?
④ 학생들의 능력을 함양할 수 있는 내용, 형식인가? (지식, 기능, 가치·태도)
⑤ 사진이나 그림이 적절하게 첨부되었는가?
⑥ 내용이 특정이론에 편중되지 않고 학계의 의견 잘 반영하고 있나?
⑦ 내용에 현 사회의 주요쟁점이 포함되어 있는가?
2. 고등학교 국사
3. 근현대사 (금성 출판사)

Ⅲ. 각 교과·교과서별 연계성
1. 중-고등학교 교과서간의 연계성과 차별성
1) 중고등학교 목차비교
2) 중학교 국사, 고등학교 국사, 그리고 근현대사의 서술 비교

Ⅳ. 개선점과 대안책

Ⅴ. 느낀점

Ⅵ. 교과서 서술 고치기

Ⅶ. 참고문헌
본문내용
Ⅴ단원은 본문의 내용이 대체적으로 이전 시대에 비해 보다 매끄러운 서술로 이해하기 용이했다. 용어 해설도 간략하게 잘 되어 있고, 131쪽의 조선의 중앙 정치 기구를 나타내는 자료는 본문에 제시된 내용을 도표로 나타내어 학생들의 내용 이해를 돕고 있다. 또한 사진 자료가 본문의 내용과 적절히 연관성을 띠고 있는데, 이는 조선이 다른 시대에 비해 자료가 많이 남아 있는 까닭에서 연유한 것이라고 본다. 그리하여 적절하고 풍부한 자료를 바탕으로 본문 이해를 높일 수 있었다. 그러나 몇 가지 아쉬웠던 점은 135쪽 "당시 나라에서 가장 큰 관심을 보인 것은 역사책의 편찬이었다."와 같이 쉬운 문체로 적혀있는 문장이지만, 왜 국가에서 역사서 편찬에 노력을 기울였는지에 대한 숨은 의미를 제시하지 않은 채, 단편적인 사실만을 서술한 곳이 약간씩 존재했다는 것이다. 아직 텍스트 자체만의 의미만을 파악하는 능력을 지닌 중학생들로써는 텍스트의 숨은 의미까지 드러나는 글이 더 적합하다고 판단되었다.
Ⅵ단원에서는 162, 179쪽의 읽기 자료가 적재적소에 배치되어 학생들이 교과 내용을 사실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능력을 높였다. 또한 중단원1에서 새로운 용어가 다소 등장했는데, 이에 대해서도 잘 설명되었다. 그러나 붕당 정치의 설명 부분에서 붕당의 분당 부분을 중앙 정치 기구와 같이 도표로 일목요연하게 나타냈으면 학생들이 교과 내용을 이해하는 데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을 것이란 아쉬움이 남는다. 그러나 Ⅴ단원과 마찬가지로 적절한 사진, 사료가 사용된 대체적으로 학생들의 눈높이에 잘 맞추어진 단원이었다.
이어지는 Ⅶ단원부터는 학생들의 수준이 잘 고려되었는지를 살펴보기 위해 두 가지에 초점을 두어보았다. 첫째는 본문이 싣고 있는 내용이 너무 방대하고 어렵지 않은지였고 둘째는 교과서에 제시된 심화과정·탐구문제가 학생들이 배운 기본 내용을 바탕으로 한 것이었는지였다.
첫 번째로 살펴본 것은 본문의 양과 내용에 관한 것이었다. 제7차 교육과정에서 중학교 사회과의 큰 특징 중의 하나는 내용요소의 축소를 표방했듯이 본문의 길이는 6차 교과서에 비해 내용요소를 30% 줄였다. 정선영 외, 『역사교육의 이해』, 삼지원, 2001. p301.
학생들의 역사 교과에 대한 부담을 줄이기 위한 노력이 가장 표면적으로 드러나고 있었다. 또한 학생들에게 생소한 단어는 옆의 여백에서 잘 설명하고 있음을 발견할 수 있었다. 단어에 대한 설명뿐아니라 어떤 사건이 일어나게 된 원인 등도 여백을 활용해 간략히 설명하고 있다. 더불어 사료를 한글로 해석한 읽기 자료, 역사적 사건과 관련된 일화를 설명한 도움글이 많이 들어가 있어 학생들의 이해를 돕고자 하였는데 이는 학생의 눈높이에서 교과서를 만들고자 한 노력이 보인다. 다음은 그 예이다.


참고문헌
Ⅶ. 참고문헌

고등학교국사, 교육과학기술부, 2002.
중학교 국사, 교육인적자원부, 2002.
교육 인적 자원부,『고등학교 교육과정 해설 ➍사회』, 2001.
정선영 외,『역사교육의 이해』, 삼지원, 2001.
김항구, 「중학교 교육과정상의 국사내용의 변천」, 『사회과학교육연구』, 1995.
김덕진, 「중학교 국사교과서 삽화의 분석」, 『역사학연구』, 1998.
공태영, 「역사용어에 관한 이론적 검토와 학습방안」, 『역사교육논집』, 1999.
서인원, 「고등학교 국정 국사 교과서의 비교 분석」『역사와실학』제26집, 2004, pp. 183~218.
우인수, 최상훈, 「고등학교 국사교과서 내용 분석」『역사교육』제82집, 2002, pp.256~284
조정숙, 「문학작품을 활용한 중학교 국사수업의 실제」, 『역사교육논집』, 2006.
김덕진, 「중학교 국사 교과서의 분석」, 전남사학 제12집, 전남사학회, 1999.
이길영, 「중학교 국사 교과서의 역사 용어 서술과 개선 방안」, 『역사교육논집』, 2005.
최정설, 「제7차 교육과정에 의한 국사 교과서 분석-문화사 단원을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역사교육전공, 2003.
윤지양, 「제 7차 교육과정 중학교 국사 심화과정의 개발과 적용」, 『역사교육논집』, 2006.
유득순, 「중학교 국사교육에서 학습자 관점이 반영된 내용선정의 필요성과 방안」, 『역사교육논집』, 2009.
차미희, 「7차 교육과정 중학교 국사교육의 내용구성」, 『한국사학보』, 2005.
박태균, 「한국 근현대사 교과서의 내용에 대한 분석」, 2004.
지수걸, 「한국 근현대사 논쟁과 10학년『역사』교과서 편찬」, 2009.
「한국근현대사 교과서 편향성 문제 관련 자료」, 2004 .
역사교육연구회․ 한국사연구회․ 한국역사연구회, 「한국근현대사 교과서 편향성 시비에 대한 역사연구단체들의 의견서」, 20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