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자유주의 세계질서에서의 도시의 양적 팽창과 질적 수축-슬럼의 세계화

 1  신자유주의 세계질서에서의 도시의 양적 팽창과 질적 수축-슬럼의 세계화-1
 2  신자유주의 세계질서에서의 도시의 양적 팽창과 질적 수축-슬럼의 세계화-2
 3  신자유주의 세계질서에서의 도시의 양적 팽창과 질적 수축-슬럼의 세계화-3
 4  신자유주의 세계질서에서의 도시의 양적 팽창과 질적 수축-슬럼의 세계화-4
 5  신자유주의 세계질서에서의 도시의 양적 팽창과 질적 수축-슬럼의 세계화-5
 6  신자유주의 세계질서에서의 도시의 양적 팽창과 질적 수축-슬럼의 세계화-6
 7  신자유주의 세계질서에서의 도시의 양적 팽창과 질적 수축-슬럼의 세계화-7
 8  신자유주의 세계질서에서의 도시의 양적 팽창과 질적 수축-슬럼의 세계화-8
 9  신자유주의 세계질서에서의 도시의 양적 팽창과 질적 수축-슬럼의 세계화-9
 10  신자유주의 세계질서에서의 도시의 양적 팽창과 질적 수축-슬럼의 세계화-10
 11  신자유주의 세계질서에서의 도시의 양적 팽창과 질적 수축-슬럼의 세계화-11
 12  신자유주의 세계질서에서의 도시의 양적 팽창과 질적 수축-슬럼의 세계화-12
 13  신자유주의 세계질서에서의 도시의 양적 팽창과 질적 수축-슬럼의 세계화-13
 14  신자유주의 세계질서에서의 도시의 양적 팽창과 질적 수축-슬럼의 세계화-14
 15  신자유주의 세계질서에서의 도시의 양적 팽창과 질적 수축-슬럼의 세계화-15
 16  신자유주의 세계질서에서의 도시의 양적 팽창과 질적 수축-슬럼의 세계화-16
 17  신자유주의 세계질서에서의 도시의 양적 팽창과 질적 수축-슬럼의 세계화-17
 18  신자유주의 세계질서에서의 도시의 양적 팽창과 질적 수축-슬럼의 세계화-18
 19  신자유주의 세계질서에서의 도시의 양적 팽창과 질적 수축-슬럼의 세계화-19
 20  신자유주의 세계질서에서의 도시의 양적 팽창과 질적 수축-슬럼의 세계화-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신자유주의 세계질서에서의 도시의 양적 팽창과 질적 수축-슬럼의 세계화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목 차
Ⅰ. 서론
Ⅱ. 슬럼의 세계적 현상과 실태

1. 슬럼의 정의와 형성역사

2. 슬럼의 실태

(1) 도시의 양적 팽창

(2) 도시의 질적 수축

3. 슬럼의 형태(종류) : 슬럼은 어떻게 분류할 수 있을까?

Ⅲ. 신자유주의와 슬럼

1. 슬럼과 신자유주의

(1) 신자유주의의 등장
(2) 신자유주의의 확장 : 부채를 통한 강요된 구조조정

2. 국가의 배신 : 배제와 박탈의 공간으로서 슬럼

(1) 불법의 비공식화

(2) 국가가 제공하는 서비스로부터의 배제

(3) 인권과 치안의 사각지대

Ⅳ. 한국에서 슬럼의 가능성: 신자유주의와 연관하여.

1. 한국에서의 슬럼과 도시빈민
2. 한국 도시빈민의 역사

3. 한국 도시빈민의 실태

① 지하셋방

② 비닐하우스촌

③ 쪽방

4. 외국인노동자 밀집지역의 슬럼화 가능성

Ⅴ. 결론
* 참고문헌 *

본문내용

(2) 도시의 질적 수축
슬럼이 심각성은 단순히 양적 팽창에 있지 않다. 그보다 슬럼 그 자체가 지닌 생태적인 위험성이 더 주목할 만하다. 마이크 데이비스(2006: 162)는 극빈층 주민이 재난과 동거하는 것은 선택이 아니라 필연이라고 말한다.
슬럼은 우선 토질이 나쁘다. 요하네스버그의 경우 외곽의 판자촌은 여러 세대에 걸쳐 오염된 백운석 지대에 세워졌는데, 유색인 주민의 절반 이상이 독성폐기물 매립지나 만성적인 지반 붕괴 지역에 살고 있다.(Malconlm Lupton and Tony Wofson. :115, 120) 브라질의 벨루오리존치나 상파울루 파벨라는 산사태로 인한 대형참사의 위험성이나 침식의 위험이 있는 강변에 위치한다. 리우데자네이루의 파벨라는 실제로 대형참사가 빈번하게 발생한다. 1966~1967년 산사태로 2,000명, 1988년에 200명, 2001년에 70명이 사망했다.(Richard Pike etc. 2003: 199) 이밖에도 많은 지역이 심각한 재난의 위험요소 속에 방치되어 있다. 모순적인 것은 실상 이런 지역이기 때문에 슬럼의 주민들이 거주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들은 근본적으로 위험을 떠안고 살아갈 수밖에 없다. 홍수, 지진, 산사태 등 자연재해가 빈번하고 피할 수 없는 곳은 주거비용이 저렴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도시
피해 가옥
피해 인구
2004



1월
마닐라(톤도)
2,500
22,000
2월
나이로비

30,000
3월
라고스

5,000
4월
방콕
5,000
30,000
11월
다카
150





2005



1월
쿨나

7,000

나이로비
414
1,500
2월
델리

3,000

하이데라바드
4,000
30,000

자연적인 요소가 전부는 아니다. 둘째로, 새로운 인공적 위험요소가 만들어지기도 한다. 왜냐하면 빈곤이 유해 산업, 무법적 교통 상황, 인프라의 붕괴 등과 상호작용하기 때문이다.(마이크 데이비스. 2006: 170) 남반구의 가난한 도시들은 부도, 화학 공장, 고속도로 사이에 존재하며 유해 산업장에서 나온 유해물질로 인해 피해가 속출한다. 송유관 폭발이나 화학물질 유출 등의 인재 역시 이들이 직면하는 재난 중 하나이다. 뿐만 아니라 슬럼 지역은 화재 위험 역시 크다. 세계에서 가장 화재가 많이 발생하는 지역을 뽑으라면 공식적으로 여러 곳을 꼽을 수
참고문헌
* 참고문헌 *


- Anquing Shi, 2000, 「How Access to Urban Potable Water and Sewerage Connections Affects Child Mortality」 Finance, Development Research Group, working paper, World Bank, January, p. 14.
- UN-HABITAT, 2004 「Slums of the World: The Face of Urban Poverty in the New Millenium?」 working paper, Nairobi, annex 3.
- Christiaan Grootaert and Jeanine Braithwaite, 「The Determinants of Poverty in Eastern Europe and the Former Soviet Union」 in Jeanine Braithwaithe, Christiaan Grootaert, and Branko Milanovic (eds), Poverty and Social Assistance in Transition Countries, New York 2000, p.49; UNCHS Global Indicators Database 1993.
- Office of the Mayor, Ulaanbaatar City, 「Urban Poverty Profile」 World Bank.
- Simon, 2002, 「」"Urbanization, Globalization, and Economic Crsis in Africa", p. 103; Jean-Luc Piermay, "Kinshasa: A Reprieved Mega-City?" in Rakodi, p. 236; Carmen Ledo Garcia, Urbanization and Poverty in the Cities of the National Economic Corridor in Bolivia, Delft p. 175.
- 마이크 데이비스, 2006, 「슬럼, 지구를 뒤덮다 : 신자유주의 이후 세계도시의 빈곤화」 돌베개.
- John Turner, 「Housing Priorities, Settlement Patterns and Urban Development in Modernizing Countries」 Journal of the American Institute of Planners 34 (1968), pp. 354~363
- Malconlm Lupton and Tony Wofson, 「Low-Income Housing, the Environment and Mining on the Witwatersrand」 in Main and Williams, Environment and Housing in Third World Eities, pp. 115, 120
- Richard Pike, David Howell, and Russell Graymer, 2003, 「Landslides and Cities: An Unwanted Partnership」in Grant Heiken, Robert Fakundiny, and John Sutter(eds), Earth Science in the Cities: A Reader, Washington, D.C., p. 199
- Vincent Ifeanyi Ogu, 「Private Sector Participation and Municipal Waste Management in Benin City」 Environment and Urbanization 12:2(October2000), pp. 103, 105.
- Jacquemin, 「Urban Development and New Towns in the Third World」 p. 89
- Alan Smart, 1992 「Making Room: Squatter Clearance in Hong Kong」 Hong Kong p.63.
- Soliman, 「A Possible Way Out」
- 장하준, 2006, 「국가의 역할」 부키.
- Hughes, A. and Singh, A. 1991 「The World Economic Slowdown and the Asian and Latin American Economies: A Comparative Analysis of Economic Structure, Policy and Performance」 in T. Banuri(ed.), Economic Liberalisation: No Panacea. Oxford: Clarendon Press.
- Oberai, 「Population Growth, Employment and Poverty in Third-World Mega-Eities」 p. 169.
- Pamela Yatsko, 2003, 「New Shanghai: The Rocky Rebirth of China's Legendary City」 Singapore, p. 113.
- 장 지글러 2005. 「탐욕의 시대 : 누가 세계를 더 가난하게 만드는가?」 갈라파고스,
- 장세훈. 1999. 「현대 한국사회에서 도시빈곤의 추이와 특성」 참여연대사회복지위원회. 월간 복지동향. 제15호. pp. 76~79
- 박세훈. 2010a. 「한국의 외국인 밀집지역: 역사적 형성과정과 사회공간적 변화」 한국도시행정학회. 도시행정학보. 제23집 제1호. pp. 69~100
- 박세훈. 2010b. 「외국인의 공간분포 특성과 국토·도시정책 과제」 국토연구원. 국토. 통권342호. pp. 20~30
- 조옥라. 1988. 「도시빈민의 사회경제적 특징과 지역운동」 한국인문사회과학회. 현상과 인식. 제12권 1호. pp. 42~59
- 남원석. 2004. 「도시빈민 주거지의 공간적 재편과 함의」 문화과학사. 문화과학 39호. pp. 85~101
- 미류. 2008. 「‘개발’이 아니라 ‘인권’을 기다려야 한다.」 한국도시연구소. 도시와 빈곤. 통권88호. pp. 5~18
- 마이크 데이비스. 2004. 「슬럼투성이 지구 : 도시의 슬럼화와 비공식부문 프롤레타리아」창작과 비평 제32권 제3호. pp. 70~102.
- 앰네스티 인터내셔널. 2010.「Amnesty Magazine」통권 제36호.
- COHRE. 2006. 「가난한 사람들의 목소리가 들리는가? : 케냐 나이로비의 주택문제」Cohre Mission Report.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