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독립 운동사 -무장 독립 투쟁 운동을 중심으로

 1  한국 독립 운동사 -무장 독립 투쟁 운동을 중심으로-1
 2  한국 독립 운동사 -무장 독립 투쟁 운동을 중심으로-2
 3  한국 독립 운동사 -무장 독립 투쟁 운동을 중심으로-3
 4  한국 독립 운동사 -무장 독립 투쟁 운동을 중심으로-4
 5  한국 독립 운동사 -무장 독립 투쟁 운동을 중심으로-5
 6  한국 독립 운동사 -무장 독립 투쟁 운동을 중심으로-6
 7  한국 독립 운동사 -무장 독립 투쟁 운동을 중심으로-7
 8  한국 독립 운동사 -무장 독립 투쟁 운동을 중심으로-8
 9  한국 독립 운동사 -무장 독립 투쟁 운동을 중심으로-9
 10  한국 독립 운동사 -무장 독립 투쟁 운동을 중심으로-10
 11  한국 독립 운동사 -무장 독립 투쟁 운동을 중심으로-11
 12  한국 독립 운동사 -무장 독립 투쟁 운동을 중심으로-12
 13  한국 독립 운동사 -무장 독립 투쟁 운동을 중심으로-13
 14  한국 독립 운동사 -무장 독립 투쟁 운동을 중심으로-14
 15  한국 독립 운동사 -무장 독립 투쟁 운동을 중심으로-15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한국 독립 운동사 -무장 독립 투쟁 운동을 중심으로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차례]

1. 머리말
2. 국권 상실 이전의 항일투쟁
2.1. 을미의병
2.2. 을사의병
2.3. 정미의병
2.4. 의사와 열사의 항일투쟁
3. 1910년대 독립운동
3.1. 대한 독립 의군부의 활동
3.2. 대한 광복회의 활동
4. 1920년대 독립운동
5. 1930년대 독립운동
5.1. 국내 상황
5.2. 국외 상황
5.2.1. 이봉창 의사의 의거
5.2.2. 윤봉길 의사의 의거
6. 1940년대 독립운동
6.1. 1940년대 광복 전 독립운동
6.2. 1940년대 광복 후 독립운동
7. 맺음말
☐ 참고문헌

본문내용
2.4. 의사와 열사의 항일투쟁

일본에 저항한 것은 의병뿐만이 아니다. 친일 관리나 친일파 처단을 위해 자신의 목숨을 바친 의사와 열사의 투쟁이 있었다.
통감부 외무고문이었던 스티븐스는 미국으로 돌아간 후 기자회견에서 “한국인은 일본의 보호정치를 은혜롭게 여기고 있다.”는 발언을 한다. 이에 분노한 장인환과 전명운은 스티븐스를 사살하기로 결심하게 된다. 얼마 후 스티븐스가 캘리포니아 오클랜드 역에서 내리는 순간 전명운이 먼저 저격하였으나 불발이 되었고, 기회를 엿보던 장인환이 다시 한 번 저격함으로서 스티븐스는 총상을 입고 이틀 후 죽게 된다.
을사늑약의 체결과 고종 강제 퇴위의 원흉인 이토 히로부미가 하얼빈에서 회견을 위해 만주에 온다는 것을 알게 된 안중근은 우덕순, 조도선, 유동하와 같이 이토 암살계획을 세운다. 1909년 10월 26일 일본인으로 가장한 안중근은 이토를 태운 특별열차가 하얼빈에 도착 한 후 환영군중 쪽으로 이동할 때 뛰어나와 권총을 발사한다. 안중근은 이토에게 3발을 명중시키고, 하얼빈 총영사 가와카미 도시히코, 궁내대신 비서관 모리 타이지로, 만철 이사 다나카 세이타로 등에게도 중상을 입히고 현장에서 러시아 경찰에게 체포된다.
비록 실패하였지만 나라를 판 을사오적을 단죄하기 위한 움직임도 있었다. 먼저 독립 운동가 이재명은 이토 암살 계획을 세우나, 이토가 안중근에 의해 사살되었음을 알게 된 후 을사오적 암살을 계획한다. 그러던 중 종현천주교회당에서 벨기에 황제 레오폴트 2세의 추도식에 이완용이 참석한다는 소리를 듣게 된다. 이재명은 추도식 당일 날 군밤장수로 변장하여 인력거를 타고 지나가던 이완용에게 중상을 입힌 뒤 체포되어 사형 당한다. 대종교의 교조인 나철은 을사늑약이 체결된 이후
참고문헌
□ 참고문헌

김춘남, 『우리 歷史와 文化』, 三光出版社, 2000.
류영박, 『한국사의 탐구』, 동방도서, 2000.
박문영·김경찬, 『한국사 이야기』, 동해, 2001.
서중석, 『신흥무관학교와 망명자들』, 역사비평사, 2001. 윤진헌, 『한국독립운동사』, 세종출판사, 2005.
이연복. 『한민족독립운동사연구』, 국학자료원, 2004.
정해영, 『흐름으로 읽는 근현대사』, 문예마당, 2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