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비문학] 속담, 그리고 수수께끼

 1  [구비문학] 속담, 그리고 수수께끼-1
 2  [구비문학] 속담, 그리고 수수께끼-2
 3  [구비문학] 속담, 그리고 수수께끼-3
 4  [구비문학] 속담, 그리고 수수께끼-4
 5  [구비문학] 속담, 그리고 수수께끼-5
 6  [구비문학] 속담, 그리고 수수께끼-6
 7  [구비문학] 속담, 그리고 수수께끼-7
 8  [구비문학] 속담, 그리고 수수께끼-8
 9  [구비문학] 속담, 그리고 수수께끼-9
 10  [구비문학] 속담, 그리고 수수께끼-10
 11  [구비문학] 속담, 그리고 수수께끼-11
 12  [구비문학] 속담, 그리고 수수께끼-12
 13  [구비문학] 속담, 그리고 수수께끼-13
 14  [구비문학] 속담, 그리고 수수께끼-14
 15  [구비문학] 속담, 그리고 수수께끼-15
 16  [구비문학] 속담, 그리고 수수께끼-16
 17  [구비문학] 속담, 그리고 수수께끼-17
 18  [구비문학] 속담, 그리고 수수께끼-18
 19  [구비문학] 속담, 그리고 수수께끼-19
 20  [구비문학] 속담, 그리고 수수께끼-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구비문학] 속담, 그리고 수수께끼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들어가는 말

Ⅱ.속담

1. 속담의 성격
가. 속담의 용어와 개념
나. 속담의 특징 및 격언류와의 차이

2. 속담의 기원과 생성. 정착
가. 속담의 기원
나. 속담의 생성. 정착

3. 속담의 현상 및 의미 구성
가. 표현구조
나. 의미구조

4. 속담의 내용
가. 처세· 교도적인 속담
나. 조롱·비판적인 속담
다. 보편적인 이치(진리)를 언술한 속담
라. 주관적인 판단을 언술한 속담

5. 속담의 연구 성과 검토

6. 속담의 자료 개관

Ⅲ. 수수께끼

1. 수수께끼의 개념과 명칭

2. 수수께끼의 분류

3. 수수께끼의 틀과 배경지식

4. 수수께끼의 은폐 책략과 의미 탐색 과정
가. 외형의 유사성을 이용한 은폐 진술
나. 의미의 유사성을 이용한 은폐 진술
다. 음성의 유사성을 이용한 은폐 진술
라. 자형의 유사성을 이용한 은폐 진술
마. 순서·연관의 인접성을 이용한 은폐 진술

5. 수수께끼와 문화 언어예술 양식과의 관계
가. 제의, 신화, 종교 철학의 수수께끼적 물음
나. 수수께끼담에 채용된 수수께끼
다. 시에 채용된 수수께끼
라. 민요, 잡가에 채용된 수수께끼
마. 소설, 가면극에 채용된 수수께끼

6. 수수께끼의 기능

7. 수수께끼 자료와 연구사
가. 수수께끼 자료집
나. 수수께끼 연구사

Ⅳ. 맺는말
본문내용
② 표면적 의미와 기본적 의미 사이에 간극이 없는 경우

(a) 무자식이 상팔자
(b) 계집자랑 반 미치기, 자식자랑 온 미치기
(c) 옷은 새 옷이 좋고, 사람은 헌 사람이 좋다.

기본적 의미가 언술의 표면에 그대로 드러나고 있는 속담이다. 이 사례는 아래와 같은 뜻으로 의미지향을 언술 그 자체에서 쉽게 읽어낼 수 있다.

(a') 자식이 없는 것이 도리어 마음이 편하다
(b') 아내나 자식자랑은 하지 말아라
(c') 사람은 오래 사귈수록 정의가 투터워진다

그러나 b는 어느 한절만 독립시키거나, 순서를 바꾸어 언술하여도 속담적 기능을 가지나, c는 재료재와 의미재가 결합된 형태로서, 전절은 c'와 무관한 의미이고, 후절을 강조하기 위하여 삽입된 재료재에 불과하다. 그렇다고 하여 후절만 독립하였을 떄는 속담적 기능이 떨어진 일상적인 진술에 불과하기 때문에 전절이 전제됨으로써 속담의 자격을 가지면서 효과적인 의미전달도 가능하다.

4. 속담의 내용

속담은 민중의 일상적인 경험이나 사고의 반영이자 그 표현이다. 그런데 속담은 일상적인 경험이나 사상을 포괄한 것이 아니라 개별적이고 특정한 경험이나 사고를 단적으로 표현한다. 그래서 ‘부부싸움은 칼로 물베기 ’와 ‘부부는 돌아누우면 남남’이란 속담처럼 동일한 대상을 두고 서로 상반되는 의미지향을 나타내는 속담이 많이 존재하는 것이며 때문에 속담의 특성으로 수의성이나 편의성, 일면성 등을 꼽는 것이다. 지금부터는 속담을 어떤 의도나 목적에서 사용되었는가에 주목하여 알아보도록 하겠다.

가. 처세· 교도적인 속담

참고문헌

* 참고문헌

김태곤 외 6인, 『한국구비문학개론』, 서울, 민속원, 2003.
문정애, 『속담의 유형연구』 , 한국어문교육 1 ,대구, 대구교대, 1973
이재선, 『수수께끼와 그 시학적 성격』, 창작과 비평, 서울, 1973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