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준어(표준말)개념,기능, 표준어(표준말)음성모음화,표준어정책, 표준어(표준말)문제점, 표준어(표준말)오용사례, 표준어(표준말)개선방안

 1  표준어(표준말)개념,기능, 표준어(표준말)음성모음화,표준어정책, 표준어(표준말)문제점, 표준어(표준말)오용사례, 표준어(표준말)개선방안-1
 2  표준어(표준말)개념,기능, 표준어(표준말)음성모음화,표준어정책, 표준어(표준말)문제점, 표준어(표준말)오용사례, 표준어(표준말)개선방안-2
 3  표준어(표준말)개념,기능, 표준어(표준말)음성모음화,표준어정책, 표준어(표준말)문제점, 표준어(표준말)오용사례, 표준어(표준말)개선방안-3
 4  표준어(표준말)개념,기능, 표준어(표준말)음성모음화,표준어정책, 표준어(표준말)문제점, 표준어(표준말)오용사례, 표준어(표준말)개선방안-4
 5  표준어(표준말)개념,기능, 표준어(표준말)음성모음화,표준어정책, 표준어(표준말)문제점, 표준어(표준말)오용사례, 표준어(표준말)개선방안-5
 6  표준어(표준말)개념,기능, 표준어(표준말)음성모음화,표준어정책, 표준어(표준말)문제점, 표준어(표준말)오용사례, 표준어(표준말)개선방안-6
 7  표준어(표준말)개념,기능, 표준어(표준말)음성모음화,표준어정책, 표준어(표준말)문제점, 표준어(표준말)오용사례, 표준어(표준말)개선방안-7
 8  표준어(표준말)개념,기능, 표준어(표준말)음성모음화,표준어정책, 표준어(표준말)문제점, 표준어(표준말)오용사례, 표준어(표준말)개선방안-8
 9  표준어(표준말)개념,기능, 표준어(표준말)음성모음화,표준어정책, 표준어(표준말)문제점, 표준어(표준말)오용사례, 표준어(표준말)개선방안-9
 10  표준어(표준말)개념,기능, 표준어(표준말)음성모음화,표준어정책, 표준어(표준말)문제점, 표준어(표준말)오용사례, 표준어(표준말)개선방안-10
 11  표준어(표준말)개념,기능, 표준어(표준말)음성모음화,표준어정책, 표준어(표준말)문제점, 표준어(표준말)오용사례, 표준어(표준말)개선방안-11
 12  표준어(표준말)개념,기능, 표준어(표준말)음성모음화,표준어정책, 표준어(표준말)문제점, 표준어(표준말)오용사례, 표준어(표준말)개선방안-12
 13  표준어(표준말)개념,기능, 표준어(표준말)음성모음화,표준어정책, 표준어(표준말)문제점, 표준어(표준말)오용사례, 표준어(표준말)개선방안-13
 14  표준어(표준말)개념,기능, 표준어(표준말)음성모음화,표준어정책, 표준어(표준말)문제점, 표준어(표준말)오용사례, 표준어(표준말)개선방안-14
 15  표준어(표준말)개념,기능, 표준어(표준말)음성모음화,표준어정책, 표준어(표준말)문제점, 표준어(표준말)오용사례, 표준어(표준말)개선방안-15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표준어(표준말)개념,기능, 표준어(표준말)음성모음화,표준어정책, 표준어(표준말)문제점, 표준어(표준말)오용사례, 표준어(표준말)개선방안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개요

Ⅱ. 표준어(표준말)의 개념

Ⅲ. 표준어(표준말)의 기능

Ⅳ. 표준어(표준말)의 음성모음화

Ⅴ. 표준어(표준말)와 표준어정책
1. 표준어 정책의 개황
2. 총독부의 표준어 정책
3. 조선어학회(한글학회)의 표준어 정책
4. 교육부의 표준어 정책
5. 문화부의 표준어 정책

Ⅵ. 표준어(표준말)의 문제점

Ⅶ. 표준어(표준말)의 오용 사례

Ⅷ. 향후 표준어(표준말)의 개선 방안
1. 공통어는 있어야
2. 표준어 사정의 방법이 달라져야
1) 언어 사용 실태 조사가 표준어 사정을 대신해야
2) 표준어 사정 원칙은 폐기되어야
3. 입말의 표준어가 마련되어야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개요
국어의 공통어는 아직 완벽하게 확립되어 있지 않다. 우선 용어를 보면 공통어라는 용어 대신에 표준어라는 용어를 사용하여 오해의 소지가 있다. 표준어가 아닌 말은 비표준어가 되어 자칫 사용하지 말아야 할 좋지 못한 말로 해석될 염려가 있기 때문이다. 지금 우리가 제정해 쓰고 있는 표준어는 여러 방언의 음운이나 어형 중에서 가장 널리 쓰인다고 판단되는 것을 골라서 그것을 공통되게 사용하자고 정한 인위적인 것일 뿐이다. 즉 표준어는 공적인 언어생활이나 교육을 위한 글말이나 언론 매체 등에서 공통되는 의사소통을 위해 사용하기 위해 약속한 언어일 뿐이다. 한국 사람들이 나날이 사용하는 대부분의 말은 어릴 때 배우거나 살고 있는 지역에서 널리 쓰고 있는 지역의 언어이다. 이 지역의 언어야말로 살아 있는 말이요, 잘 갈고 다듬어야 할 공통어의 바탕이 되는 말이다. 그러므로 이런 지역의 언어를 비표준어라 불러 바람직하지 못한 말로 오해하도록 공통어를 표준어라 지칭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못하다. 표준어라 부르는 대신에 그냥 공통어라 지칭하는 것이 타당하다.
공통어의 음운은 1988년 1월 19일 문교부에서 고시한 ‘표준어 규정’의 제2부 표준 발음법에 공통어의 음운 체계와 음운 변동에 관해 명시되어 있어, 공통어의 음운은 대체로 밝혀져 있는 셈이다.
공통어의 어휘는 ‘표준어규정’ 제1부 명시된 표준어 사정 원칙의 예로서 모두 884개(접미사 포함)의 고유어 낱말이 제시되어 있다. 그 후 문화부에서 1990년 9월 14일에 ‘표준말 모음’을 고시하였는데, 여기에는 약 1,400 개 정도의 고유어 어휘와 그 관련 단어들이 실려 있다. 그러므로 국가 기관에서 공식적으로 사정된 고유어의 공통어는 1,400개인 셈이다. 그러나 아직도 표준어 사정 작업은 완료되지 않았다. 그런데도 많은 고유어 낱말들이 공통어로 인정을 받아 사용되고 있다. 그것은 1936년에 만들어진 ‘조선어 표준말 모음’의 표준어 사정 원칙에 준거를 두고 편찬된 ‘큰사전’에 실리고, 그 이후 여러 사전들에서 이 ‘큰사전’에 실린 낱말들을 그대로 전재함에 따라 널리 공통어처럼 쓰이고 있는 고유어 낱말들이다. 이런 낱말들은 공식적으로는 공통어-표준어로서 인정받은 것은 아니지만 공통어로서 손색이 없이 사용되고 있어, 앞으로 공식적으로 인정받는 절차만 남아 있을 뿐이다. 다음으로 공통어로 사용되고 있는 낱말들은 외래어 표기법의 규정에 따라 정해진 외래어들이다. 외래어 낱말들도 지역별로, 세대별로 다양한 변이형들이 있으나, 외래어 표기법에 명시된 어형이 공통어 어형으로 인정을 받아, 공식적인 문서나, 교과서에 사용되고 있다.
참고문헌
- 국어연구소(1988), 표준어 규정 해설
- 김보경(2004), (연속기획)서울vs지방 - 표준어와 사투리, 표준어의 망상, 사투리의 망상, 당대비평 제26호
- 민현식(1999), 표준어와 언어정책론(1), 남천박갑수교수정년퇴임기념논문집, 선청어문 27, 서울대 국어교육과
- 송철의·유필재(2000), 서울방언의 국어학적 연구, 서울학연구 15, 서울시립대
- 이익섭(1983), 한국어 표준어의 제문제, 한국 어문의 제문제, 일지사
- 조규태(2003), 표준어 교육과 지역 언어 교육, 한글(한글학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