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북3성 진흥계획, 중국 동북아개발과 북한

 1  동북3성 진흥계획, 중국 동북아개발과 북한-1
 2  동북3성 진흥계획, 중국 동북아개발과 북한-2
 3  동북3성 진흥계획, 중국 동북아개발과 북한-3
 4  동북3성 진흥계획, 중국 동북아개발과 북한-4
 5  동북3성 진흥계획, 중국 동북아개발과 북한-5
 6  동북3성 진흥계획, 중국 동북아개발과 북한-6
 7  동북3성 진흥계획, 중국 동북아개발과 북한-7
 8  동북3성 진흥계획, 중국 동북아개발과 북한-8
 9  동북3성 진흥계획, 중국 동북아개발과 북한-9
 10  동북3성 진흥계획, 중국 동북아개발과 북한-10
 11  동북3성 진흥계획, 중국 동북아개발과 북한-11
 12  동북3성 진흥계획, 중국 동북아개발과 북한-12
 13  동북3성 진흥계획, 중국 동북아개발과 북한-13
 14  동북3성 진흥계획, 중국 동북아개발과 북한-14
 15  동북3성 진흥계획, 중국 동북아개발과 북한-15
 16  동북3성 진흥계획, 중국 동북아개발과 북한-16
 17  동북3성 진흥계획, 중국 동북아개발과 북한-17
 18  동북3성 진흥계획, 중국 동북아개발과 북한-18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동북3성 진흥계획, 중국 동북아개발과 북한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목 차

Ⅰ 서론

Ⅱ 동북3성 진흥계획
1. 동북3성 현황
2. ‘동북진흥계획’ 의 추진배경
3. ‘동북진흥계획’ 의 내용

Ⅲ 동북아개발과 북한
1. 중국의 장길도 개발 개방전략
2. 북한 대외개방의 환경과 현황
3. 향후 전망과 과제

Ⅳ 결론

본문내용

④ 대외개방창구(관문도시)
길림성과 흑룡강성은 모두 항구가 없어 대외교역에 불리하다. 특히 이 지역은 북한의 개방이 지연되고 있고 북한과의 인접성탓에 국제정세에 따라 무역관계가 크게 영향을 받을 수 있다는 점에서 낮은 점수를 면하기 어렵다.

⑤ 혁신여건
동북3성의 혁신여건 즉 투자를 촉진하는 조건은 중국 내 타지역과 비교해볼 때 상대적으로 불리한 편이다. 공업분야관련 동북3성지역은 중공업분야의 대형국유기업이 큰 비중을 차지하기 때문에 기업제도면에서나 인적인 측면에서 경쟁에 익숙하지 않고 경쟁을 통한 혁신유인이 크지 않다고 볼 수 있다.

상기언급된 다섯가지 요인들을 종합해 동북3성의 발전요건을 그림으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각 지표의 평가점(5점 만점)이 클수록, 즉 오각형 도형의 면적이 커질수록 발전가능성이 양호하다. 동북지역은 문화와 배후지 요인이 특히 불리하며, 다른 요인은 중국전체의 평균수준에 머무르고 있다. 성별로 평가할 경우, 발전가능성은 요녕성-흑룡강성-길림성 순이지만 성별 가능성 격차가 매우 크다. 요녕성의 경우 발전여건은 다른 연안의 경쟁지역과 비슷한 수준이지만 문화여건이 다른 요인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게 평가된다. 길림성의 경우 모든 요인이 불리하며 관문도시와 인프라측면이 특히 불리하게 평가된다. 흑룡강성의 경우 대체적으로 불리하며 중심도시와 관문도시 요인이 상대적으로 낮게 평가된다.

참고문헌


한국전략문제연구소(KRIS),『중국의 둥베이지역 개발전략 실태와 전망』, 전략연구 통권 30호, 2004

정환우, 『동북3성지역의 발전여건과 ‘동북진흥정책’』, 중국학연구회 , 2006

원동욱, 『동북공정의 내재화, 중국 동북지역 인프라개발의 전략적 함의』, 한국국제정치학회, 2009

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 북경사무소, 『중국동북진흥전략 3년의 평가와 과제』, 2006

장봉, 『중국 동북 노공업기지 진흥이 북한경제에 미치는 영향 - 북한에 실용적 ․ 학습적 효과 줄 동북진흥계획』, 평화문제연구소 , 2005

임명, 『中國 東北3省 진흥 및 中 · 韓 經濟協力의 새로운 구상 』, 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 , 2005년 6월호

이기호, 『중국 동북3성 개발계획에 관한 연구』,조선대학교 지식경영연구원 지역개발연구 제9집 제 1호, 2004

이수행, 김인경, 좌승희 , 『중국 동북3성의 발전전략과 경기도의 대응방안 』, 경기개발연구원 기본연구 2006년 6월, 2006

유희문,『中國 東北지역 투자환경의 변화와 韓-中 경제협력 』, 한양대학교 경제연구소 경제연구 제25권 제2호 2004년 11월 , 2004

김명식, 『중국 동북진흥정책의 주요내용과 시사점』코리아연구원(KNSI), 2006

김성남, 『중국의 장길도 개발 개방전략과 북한』, 연변대학교, 2010

진병진, 『중국의 동북진흥계획 추진성과와 전망』, 한국동북아논총 제13권 제2호 통권47집 (2008년 6월) pp.5-31, 한국동북아학회, 2008

원동욱, 『동북공정의 내재화, 중국 동북지역 인프라개발의 전략적 함의』, 국제정치논총 제49집 1호 (2009년 3월) pp.231-253, 한국국제정치학회, 2009

백승희, 『중국의 『동북3성 진흥계획』과 한국의 대응방안』, 동아대학교, 2005

이기호, 『중국 동북3성 개발계획에 관한 연구』, 조선대 지역발전연구 Vol.9 No. 1(2004년) pp. 193~211, 조선대학교 대학원, 2004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