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문소설(전기소설과 한문애정소설)

 1  한문소설(전기소설과 한문애정소설)-1
 2  한문소설(전기소설과 한문애정소설)-2
 3  한문소설(전기소설과 한문애정소설)-3
 4  한문소설(전기소설과 한문애정소설)-4
 5  한문소설(전기소설과 한문애정소설)-5
 6  한문소설(전기소설과 한문애정소설)-6
 7  한문소설(전기소설과 한문애정소설)-7
 8  한문소설(전기소설과 한문애정소설)-8
 9  한문소설(전기소설과 한문애정소설)-9
 10  한문소설(전기소설과 한문애정소설)-10
 11  한문소설(전기소설과 한문애정소설)-11
 12  한문소설(전기소설과 한문애정소설)-12
 13  한문소설(전기소설과 한문애정소설)-13
 14  한문소설(전기소설과 한문애정소설)-14
 15  한문소설(전기소설과 한문애정소설)-15
 16  한문소설(전기소설과 한문애정소설)-16
 17  한문소설(전기소설과 한문애정소설)-17
 18  한문소설(전기소설과 한문애정소설)-18
 19  한문소설(전기소설과 한문애정소설)-19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한문소설(전기소설과 한문애정소설)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한문소설

1) 한문소설의 개념과 발생

2) 한문소설의 특징

3) 한문소설의 전개 양상

2. 전기소설(傳奇小說)

1) 전기소설의 개념과 장르적 성격

2) 나말여초의 전기소설

3) 김시습의 『금오신화』

4) 신광한의 『기재기이』

3. 한문애정소설

1) 한문애정소설의 변화

2) 「주생전」

3) 「운영전」

4) 「영영전」

5) 「최척전」



본문내용
3) 김시습의 『금오신화』

김시습(1435~1493)은 서울 성균관 부근에서 태어났는데, 생지지질(生知之質)이
있었다고 할 만큼 천품이 영민하였다. 5세에 이미 그가 신동이라는 소문이 당시
의 국왕인 세종에게까지 알려져 장래에 크게 쓰겠노라는 전지까지 받았다 한다.
삼각산 중흥사에서 공부하던 그는 21세 때 수양대군의 왕위찬탈 소식을 듣고 보
던 책들을 모두 모아 불사른 뒤 스스로 머리를 깎고 승려가 되어 전국 각지를
유랑하였다. 그 후 불경언해에 참가하였다가 31세 때인 1465년 봄에 경주로 내려가 금오산에 금오산실을 짓고 칩거하였다. 그러나 그해 다시 효령대군의 추천으로 원각사의 낙성회에서 찬시를 바쳤다. 그가 머물렀던 금오산실은 당호가 ‘매월당’이며 이곳에서 그는 31세 때부터 37세에 이르는 황금기를 보내면서 『금오신화』를 비롯한 수많은 시편들을 남겼다. 1481년 돌연 머리를 기르고 안씨를 아내로 맞아 환속하는 듯 했으나 이듬해 폐비 윤씨 사건이 일어나자 다시 방랑의 길에 나서서 관동지방을 여행하며 100여 편의 시를 지었다. 그 후 59세에 충청도 부여 외산 무량사에서 병사하였다. 그는 유교와 불교에 관한 논문을 남기고 15권이 넘는 2200여 수 분량의 한시도 지었다.


『금오신화』에는 「만복사저포기」, 「이생규장전」, 「취유부벽정기」,
「남염부주지」, 「용궁부연록」이 열거한 순서대로 실려 있다. 원래의 작
품 수는 더 많았을 가능성이 크다. 책 제목 중의 ‘금오’는 김시습이 경
주 금오산에 있을 때 지었다 하여 따온 것이고, ‘신화’는 김시습이 읽
은 중국의 『전등신화』에서 따온 것이다. ‘설화→전기’로 이어지는 우
리 서사문학의 내재적 전통과 『전등신화』의 외래적 자극과 탁월한 문
장력과 문제의식을 지닌 채 세상의 질서에 반발하며 살아간 김시습이
란 개인의 작가적 조건 등이 결합되었다.
참고문헌


단행본

강혜선 외(2006), 『한국의 고전을 읽는다 2』, 휴머니스트.
김광순 (1995), 『韓國古小說史와 論』, 제2판, 새문사.
김일렬(2001), 『古典小說新論』, 새문사.
김종철 외(2001), 『한국의 고전을 읽는다 3』, 휴머니스트.
김흥국(1997), 『한국고소설해제집 上, 下』, 도서출판 보고사.
박기석 외(1996), 『한국고전문학입문』, 집문당.
설성경‧박태상(1996), 『고소설의 구조와 의미』, 새문사.
송현호(2002), 『한국고전문학의 해설』, 관동출판사.
윤광봉‧유영대, 『고전소설의 이해』, 문학과비평사.
윤채한(1993), 『고전문학의 이해』, 우리문학사.
이상구(1999) 역, 『17세기 애정전기소설』, 수정판, 월인.
이상택 외(2005), 『한국 고전소설의 세계』, 돌베개.
조동일(2005), 『한국문학통사 2,3』, 제4판, 지식산업사.
조동일 외(1994), 『한국문학강의』, 길벗.
차용주(2003), 『韓國漢文小說史』, 아세아문화사.
최래옥(2009), 『韓國古典文學論』, 제이앤씨.
한국문학개론편찬위원회 편(1991), 『韓國文學槪論』, 혜진서관.

논문
김종철(1995), 「傳奇小說의 전개 양상과 그 특성」, 『民族文化硏究』,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 구소.
신혜진(2005), 「상사동기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이상구(2006), 「17~19세기 한문소설의 전개양상」, 『古小說 硏究』21호, 한국고소설학회.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