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동과정이론의 전개과정에 대한 비판적 고찰

 1  노동과정이론의 전개과정에 대한 비판적 고찰-1
 2  노동과정이론의 전개과정에 대한 비판적 고찰-2
 3  노동과정이론의 전개과정에 대한 비판적 고찰-3
 4  노동과정이론의 전개과정에 대한 비판적 고찰-4
 5  노동과정이론의 전개과정에 대한 비판적 고찰-5
 6  노동과정이론의 전개과정에 대한 비판적 고찰-6
 7  노동과정이론의 전개과정에 대한 비판적 고찰-7
 8  노동과정이론의 전개과정에 대한 비판적 고찰-8
 9  노동과정이론의 전개과정에 대한 비판적 고찰-9
 10  노동과정이론의 전개과정에 대한 비판적 고찰-10
 11  노동과정이론의 전개과정에 대한 비판적 고찰-11
 12  노동과정이론의 전개과정에 대한 비판적 고찰-12
 13  노동과정이론의 전개과정에 대한 비판적 고찰-13
 14  노동과정이론의 전개과정에 대한 비판적 고찰-14
 15  노동과정이론의 전개과정에 대한 비판적 고찰-15
 16  노동과정이론의 전개과정에 대한 비판적 고찰-16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노동과정이론의 전개과정에 대한 비판적 고찰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I. 머리말
II. 노동과정이론에 있어서 브레이버만(H. Braverman)의 역사적 의의
III. 노동과정의 상대적 자율성을 찾아서
1. 테일러리즘(Taylorism)의 성격에 관한 논쟁과 노동통제 양식에 관한 논의들
2. 탈숙련화 논쟁과 노동시장의 분절화 논의
3. '저항'과 '동의'의 변증법: 뷰러웨이(M. Burawoy) 이론의 의의
IV. 노동과정이론의 포스트모더니즘?
1. 후기 구조주의론의 대두와 주관성(subjectivity) 논쟁
2. 노동과정이론에 있어서 톰슨(P. Thompson) 연구의 의의
V. 맺음말
본문내용
노동과정이론의 전개과정에 대한 비판적 고찰




1974년 Braverman의 유일한 저서인 Labor and Monopoly Capital이 출간된 이후, 그에 의해서 촉발된 노동과정이론은 기업 조직과 노동분업 그리고 그 통제구조에 관한 새로운 비판적 해석을 제공하면서, 기존의 주류 조직이론 및 산업사회학과는 다른 패러다임을 가진 독자적 학파를 구성하면서 발전해 나갔다. 특히 1980년대 중반까지의 약 10여 년 동안 노동과정이론은 가히 이론적 황금기를 구가하였다고 볼 수 있는데, 개별 논자들이 강조했던 다양한 관점과 요인들에도 불구하고 그것은 Braverman의 일방적인 구조결정론적 해석에 대하여 노동과정의 상대적 자율성을 확인하고 이를 회복하는 방향으로 논의가 전개되었다고 평가해 볼 수가 있다.
하지만 1990년대 이후 노동과정이론은 전반적으로 쇠퇴의 길을 걸으면서, 그 이론적 성격도 과거와는 사뭇 다른 양상으로 전개되고 있다. 노동과정론에서 소위 '잃어버린 주체'를 회복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후기구조주의 혹은 푸코주의적인 접근이 지배적으로 차용되면서, 이제 노동과정과 작업조직의 논의에서 자본주의적인 고용관계의 독특한 역사성은 거의 상실되기 시작하였으며, 또한 노동과정 내에서 발현되는 권력과 갈등의 객관적 측면에 대한 조명은 배제된 채 오로지 노동과정의 주관성만을 강조하는 분석의 일면성을 드러내고 있는 것이다.
이 글은 노동과정이론의 전반적인 침체를 가져온 한 원인에는 그 이론의 전개방향 자체에 문제가 있을 수도 있다고 인식하고, 이러한 취지에서 그간 전개되어 왔던 노동과정이론의 발전 궤적을 비판적으로 재평가해보는 한편, 이러한 작업을 토대로 향후 노동과정이론이 지향해 나가야 할 바람직한 연구 관점을 도출해 보고 있다.


I. 머리말

1974년 브레이버만(H. Braverman)의 유일한 저서인 Labor and Monopoly Capital이 출간된 이후, 그에 의해서 촉발된 노동과정이론은 기업 조직과 노동분업 그리고 그 통제구조에 관한 새로운 비판적 해석을 제공하면서, 기존의 보수적인 주류 조직이론 및 산업사회학과는 다른 패러다임을 가진 하나의 독자적 학파를 구성할 정도로 발전하였다. 하지만 1990년대 이후 노동과정이론은 전반적으로 쇠퇴의 길을 걸으면서, 그 이론적 성격도 과거와는 사뭇 다른 양상으로 전개되고 있다. 또한 이러한 양상은 국내 학계에서도 크게 다르지 않다고 볼 수 있다. 노동과정이론의 기본 관점을 공유하면서 활발한 이론적 소개를 하거나, 혹은 그 분석 틀을 현장에 적용한 많은 사례연구들이 산출되었던 1980년대와는 달리, 90년대 이후 우리 학계에 노동과정이론의 최근 동향을 새로이 소개하거나 혹은 이를 현실에 적용하는 연구를 찾아보기가 거의 어려워졌다.
혹자는 이를 두고, 전통적인 대량생산방식을 대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