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체실험] Deep bed

 1  [유체실험] Deep bed-1
 2  [유체실험] Deep bed-2
 3  [유체실험] Deep bed-3
 4  [유체실험] Deep bed-4
 5  [유체실험] Deep bed-5
 6  [유체실험] Deep bed-6
 7  [유체실험] Deep bed-7
 8  [유체실험] Deep bed-8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유체실험] Deep bed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목 차
1. Title

2. Date

3. Object

4. Theory
(1) 여과

(2) 여과의 원리

(3) 활성탄(Activated Carbon)

(4) 공극

(5) 공극률

(6) 손실수두

① Carman-Kozeny Equation

② Fair- Hatch Equation

③ Rose Equation

※ 모래&활성탄 이중 여재 데이터

5. Experimental equipments & Materials

6. Procedure

7. Data & Results
1) 모래와 활성탄의 공극률

2) 유속 측정

3) Head loss 측정
4) Head loss 이론값
① 활성탄
② 모래
5) 오차율 산출

8. Discussion

9. Reference


본문내용

(2) 여과의 원리
최근의 정수처리장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여과는 응집이나 연화된 후, 침강에 의해서 제거되지 않는 작은 플럭이나 침전입자들을 제거하기 위한 마감재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방법이다. 용수처리에서 사용되는 여과상 사이의 기본적 차이점은 메디아의 크기에 있다. 폐수처리의 경우 여과상이 필요한 유효용량 및 누적 플록에 대하여 축적용적을 필요로 하므로 메디아 입자들이 더 큰 것이어야 한다. 고차폐수처리에 있어서 여과작용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중요한 두 가지는 플럭의 강도(응력에 버틸 수 있는 능력)와 부유 물질의 농도이다. 생물학적인 고형물들은 보통 화학적 플록들, 특히 명반과 철염응결물질들보다 응력에 더 잘 견딘다. 명반과 철염의 화학적 플록들은 여과상 내부까지 깊게 스며드는 경향이 있다. 그러므로 이 경우 주 여과작용은 여과상 내부의 성층 제거이며 여과상 운전상의 종말점은 보통 여과수질 저하에 기인되며 파괴점(break point)은 낮은 손실수두(1~2m)에서 일어난다. 여과에 앞서 명반이나 철염플록의 강도를 높이기 위하여 유입수에 고분자 응집제를 투입 할 수 있는데 이렇게 함으로써 여과의 효율을 높이고 여과기 운전 일을 길게 할 수 있다.
참고문헌
9. Reference
- 하•폐수 처리 / 성낙창 외 / 동화기술 / 1996

- 수도공학 -계획, 설계 및 운전- / 유명진 외 8명 / 동화기술 / 2005

- 상하수도공학 / 이정수 / 신광문화사 / 2002 /

- 폐수처리공학 / 김동민 외 / 신광문화사 / 1998 / p.8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