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관계론] 코소보 분쟁

 1  [국제관계론] 코소보 분쟁-1
 2  [국제관계론] 코소보 분쟁-2
 3  [국제관계론] 코소보 분쟁-3
 4  [국제관계론] 코소보 분쟁-4
 5  [국제관계론] 코소보 분쟁-5
 6  [국제관계론] 코소보 분쟁-6
 7  [국제관계론] 코소보 분쟁-7
 8  [국제관계론] 코소보 분쟁-8
 9  [국제관계론] 코소보 분쟁-9
 10  [국제관계론] 코소보 분쟁-10
 11  [국제관계론] 코소보 분쟁-11
 12  [국제관계론] 코소보 분쟁-12
 13  [국제관계론] 코소보 분쟁-13
 14  [국제관계론] 코소보 분쟁-14
 15  [국제관계론] 코소보 분쟁-15
 16  [국제관계론] 코소보 분쟁-16
 17  [국제관계론] 코소보 분쟁-17
 18  [국제관계론] 코소보 분쟁-18
 19  [국제관계론] 코소보 분쟁-19
 20  [국제관계론] 코소보 분쟁-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국제관계론] 코소보 분쟁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목차◆

1. 서론



2. 본론

코소보란?
-지리적·문화적
-역사적

발칸반도 지역에서 알바니아&세르비아인의 기원
-알바니아 민족의 발칸반도 정착과 그 역사
-세르비아 민족의 발칸반도 정착과 그 역사
-코소보 지역에 대한 양국의 입장

코소보 분쟁
-원인
-과정
-현상황

국제상황 맥락에서 코소보 분쟁
-민족주의
-나토개입
-NGO활동



3. 결론

본문내용

세르비아 민족의 발칸반도 정착과 그 역사

6-7세기 경 세르비아인들의 조상을 포함한 일단의 슬라브족들이 발칸반도에 이주하였다. 세르비아인들은 오스만 터키 제국과 벌인 1389년의 제 1차 코소보 전투에서 패하고 정복당했다. 500여년이 넘는 기간 동안 오스만 터키 제국의 지배를 받은 세르비아아들은 결코 민족적 자긍심을 잃지 않았다. 세르비아인들은 두 차례에 걸친 반란(조지 페트로비치 반란, 밀로스 오브레노비치 반란)을 통해 약간의 자유를 얻어냈다. 1877년-1878년에 있었던 러시아-터키 전쟁에서 오스만 터키 제국이 러시아에 패배하게 되자 세르비아는 마침내 1878년에 독립을 하였다. 제 1차 세계대전 이후 세르비아인들은 크로아티아인들과 슬로베니아인들을 규합하여 왕국을 건설하였다. 이 세르비아 왕국은 1929년에 유고슬라비아 연방으로 국명을 바꾸었다. 제 2차 세계대전 중에 독일과 이탈리아가 주도하는 주축군은 유고슬라비아를 점령한 뒤 분할 강점하였다. 세르비아의 대부분은 독일이 점령하였다. 티토가 이끄는 일단의 공산주의자들은 점령군을 몰아낸 뒤 유고슬라비아 연방을 수립하였다. 유고슬라비아 연방은 중앙정부와 연방 공화국들이 동등한 권력을 갖는 제도였다. 세르비아는 유고슬라비아 연방의 6개 공화국 중의 하나가 되었다. 유고슬라비아 연방은 세르비아에 영향력이 집중되는 것에 불만을 품은 크로아티아와 슬로베니아의 독립 선언이후 와해의 국면에 접어들었다. 세르비아인들과 크로아티아인들 사이의 전쟁과 세르비아인과 보스니아인들 사이의 전쟁으로 유고슬라비아 연방은 붕괴하게 된다. 이후 1992년 4월 세르비아와 몬테네그로는 신 유고슬라비아 연방을 수립하지만 2006년 각각 독립국으로 해체한다.


코소보 지역에 대한 양국의 입장

세르비아인들은 자신들이 6-7세기에 발칸 지역으로 이주할 당시 코소보 지역에는 아무도 살지 않는 황무지였다고 주장하는 반면, 알바니아인들은 자신들이 고대 그리스문명 이전부터 발칸 서부에서 살고 있던 일리리아인의 후손이며 따라서 코소보 지역의 원주민은 자신들이라고 주장한다. 양측의 주장을 비교 검토해보면 알바니아인들의 주장이 더 설득력 있는 것으로 보인다. 왜냐하면 세르비아인들은 자신들이 6-7세기경에 이 지역으로 이주했다고 주장하는데 이 지역의 자연이나 기후 조건 그리고 고고학 발굴자료들을 고려해 볼 때 신빙성이 거의 없는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반면, 알바니아인들은 자신들이 고대 그리스 문명 이전부터 발칸 서부에서 살고 있었던 일리리아인의 후손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그러나 이 지역의 원주민이 누구냐 라는 문제는 양 민족의 이해관계와 주장뿐만 아니라 주변 국가와의 이해관계와 강대국들의 정치적 목적 등과도 연관되어 학계에서조차도 의견이 분분한 실정이다.

참고문헌
출처

민족분쟁의 세계지도, 다카사키 미치히로, 깊은강, 2003년
세계 분쟁 해결과 NGO 네트워크, 배진수·강성호, 동북아역사재단, 2008년
21세기 유엔 평화유지활동-코소보 사례를 중심으로, 정은숙, 세종연구소, 2003년
전쟁이 끝난 후, 타리크 알리 외, 이후, 1999년
민족분쟁지도, 아사이 노부오, 자작나무, 1996년
동유럽의 민족 분쟁-보스니아·코소보·마케도니아, 살림, 2003년
나는 평화를 기원하지 않는다, 김재명, 지형, 2005년
발칸지역의 코소보분쟁, 연규석, 중동연구 vol.1, 18호, p.107-p.132
네이버 지식IN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