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GIS(국가지리정보시스템)계획,표준화, NGIS 현황,활용,과제 분석

 1  NGIS(국가지리정보시스템)계획,표준화, NGIS 현황,활용,과제 분석-1
 2  NGIS(국가지리정보시스템)계획,표준화, NGIS 현황,활용,과제 분석-2
 3  NGIS(국가지리정보시스템)계획,표준화, NGIS 현황,활용,과제 분석-3
 4  NGIS(국가지리정보시스템)계획,표준화, NGIS 현황,활용,과제 분석-4
 5  NGIS(국가지리정보시스템)계획,표준화, NGIS 현황,활용,과제 분석-5
 6  NGIS(국가지리정보시스템)계획,표준화, NGIS 현황,활용,과제 분석-6
 7  NGIS(국가지리정보시스템)계획,표준화, NGIS 현황,활용,과제 분석-7
 8  NGIS(국가지리정보시스템)계획,표준화, NGIS 현황,활용,과제 분석-8
 9  NGIS(국가지리정보시스템)계획,표준화, NGIS 현황,활용,과제 분석-9
 10  NGIS(국가지리정보시스템)계획,표준화, NGIS 현황,활용,과제 분석-10
 11  NGIS(국가지리정보시스템)계획,표준화, NGIS 현황,활용,과제 분석-11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NGIS(국가지리정보시스템)계획,표준화, NGIS 현황,활용,과제 분석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NGIS(국가지리정보시스템)의 필요성
1. NGIS를 이용하면 분석의 질을 높이고 입지선정을 쉽고 빠르게 함
2. NGIS를 이용하면 많은 지도와 관련통계자료를 한꺼번에 통합분석
3. NGIS를 이용하면 입지선정과정에서 투명성과 객관성이 보장됨

Ⅲ. NGIS(국가지리정보시스템)의 목표

Ⅳ. NGIS(국가지리정보시스템)의 계획

Ⅴ. NGIS(국가지리정보시스템)의 표준화
1. 수요에 입각한 국가GIS 표준 통합체계 마련
1) 수요자 중심의 표준화 사업 추진
2) 표준화분과위원회 구성 및 해당분야 전문기술보유기관 위주의 산하 소위원회 구성
3) 표준의 적시 보급 및 정보통신기술 추세에 신속히 대응하기 위한 단체표준 고시
2. 체계적인 표준화 사업 추진
3. 국가GIS 표준화 주요사업 내용
1) 기본방향 : 자료․절차․기술표준의 제정
2) 분야별 표준화 주요사업 내용
4. 국가GIS표준화 연구사업의 지속적 추진
5. 글로벌 표준 개발을 위한 국제협력 강화
6. 지자체 유형별 공동 활용 표준모델 개발․지원

Ⅵ. NGIS(국가지리정보시스템)의 현황

Ⅶ. NGIS(국가지리정보시스템)의 활용
1. 토지관련분야
2. 시설물 관리분야
3. 교통분야
4. 도시계획 및 관리분야
5. 환경분야
6. 농업분야
7. 재해・재난분야

Ⅷ. 향후 NGIS(국가지리정보시스템)의 과제
1. 지리정보 인터넷 연계 기술개발
2. 공간지리정보 가공․처리 및 통합 기술개발
3. 공간지리정보 수집 및 활용을 위한 장비 및 부품개발
4. 지리정보의 수집 추출(Sensing)기술 개발
5. 분야별 지리정보 활용 지원을 위한 응용 기술개발
6. GIS 기술센터 설립 및 운영
7. 각 분야별 GIS 전문가그룹 구성 및 운영
8. GIS 국가기술 개발의 다양한 활용

Ⅸ.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서론

지리정보체계는 지역 개발 대상지로서의 적합성, 개발 시업의 환경 영향 평가, 공공 시설의 최적 입지, 농산물 등의 수확량 예측 등과 같은 고급 수준의 국토 관리 문제에 매우 유용하다. 예를 들면, 쓰레기 매립지를 선정할 때, 지형․지질․토양․경지 분포 등 관련되는 정보를 지도화하여 중첩함으로써 가장 적합한 곳을 선정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자료를 분석하고 종합해야 하는 사전환경성평가, 국토보전계획 등 여러 분야에 이용할 수 있다. 전 국토에 걸친 지리 정보를 체계화하기까지에는 많은 시간과 자금이 필요하다. 그러나 일단 지리 정보 체계가 완성되면 도로나 전기 시설처럼 사회 간접 자본이 되므로 매우 유익하다 하겠다.
오늘날 우리는 급속한 산업화와 도시화를 겪으면서 지역간의 불균형, 도시인구의 폭증, 환경오염, 도시교통의 혼잡, 토지이용의 부적절 등 많은 문제를 안게 되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정확하고도 시기적절한 정보가 뒷받침 되어야 하지만, 자료의 양이 방대해 지고 종류가 다양해짐에 따라 전통적인 자료 관리 방법이나 기술론은 감당할 수 없게 되었다.
지리정보체계는 컴퓨터의 발달과 더불어 방대한 자료의 처리가 가능해졌다. GIS가 본질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기능은 자료의 측정과 지도화, 자료의 모델화, 자료의 평가이기 때문에 복잡하고 많은 자료를 신속, 정확하게 과학적인 방법으로 지도상에 나타낼 수 있게 되었으며, 각종 정보의 분석에 소요되는 시간의 단축과 의사 결정에 중요한 도움을 줄 수 있게 되었다. 국토 및 지역 개발, 환경 관리와 영향 평가, 각종 시설의 입지 선정, 농산물의 수확량 예측 등이 그 활용의 예가 될 수 있을 것이다.
대중화되기 이전의 GIS 분야는 소수의 전문가 및 사용자 중심으로 구성되었으며 관련된 소프트웨어나 시스템도 전문화되기 보다는 일반적인 경향의 기능 중 사용자가 필요한 것만 선택하는 경향을 가졌다.
참고문헌
◈ 김미영(2005), 도시와 GIS 도시 정보 시스템(UIS), 성안당
◈ 국토개발연구원(1993), 도시의 정보체계 구축에 관한 연구
◈ 박은관·최병남·김대종(1998), 토지이용계획을 위한 GIS 활용방안 연구, 국토연구원
◈ 성효현(1998), GIS 용어 표준화과정에 대한 고찰, 한국GIS학회지 6(2)
◈ 최운식윤성희(1995), GIS를 이용한 학군 설정의 시론적 연구, 대한지리학회지, 30(3)
◈ 최기주(1995), GIS-T의 정의·필요성 및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국토계획, 30권 4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