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문화론] 한국의 전통문화(의·식·주 문화, 사회관계를 중심으로)

 1  [한국문화론] 한국의 전통문화(의·식·주 문화, 사회관계를 중심으로)-1
 2  [한국문화론] 한국의 전통문화(의·식·주 문화, 사회관계를 중심으로)-2
 3  [한국문화론] 한국의 전통문화(의·식·주 문화, 사회관계를 중심으로)-3
 4  [한국문화론] 한국의 전통문화(의·식·주 문화, 사회관계를 중심으로)-4
 5  [한국문화론] 한국의 전통문화(의·식·주 문화, 사회관계를 중심으로)-5
 6  [한국문화론] 한국의 전통문화(의·식·주 문화, 사회관계를 중심으로)-6
 7  [한국문화론] 한국의 전통문화(의·식·주 문화, 사회관계를 중심으로)-7
 8  [한국문화론] 한국의 전통문화(의·식·주 문화, 사회관계를 중심으로)-8
 9  [한국문화론] 한국의 전통문화(의·식·주 문화, 사회관계를 중심으로)-9
 10  [한국문화론] 한국의 전통문화(의·식·주 문화, 사회관계를 중심으로)-10
 11  [한국문화론] 한국의 전통문화(의·식·주 문화, 사회관계를 중심으로)-11
 12  [한국문화론] 한국의 전통문화(의·식·주 문화, 사회관계를 중심으로)-12
 13  [한국문화론] 한국의 전통문화(의·식·주 문화, 사회관계를 중심으로)-13
 14  [한국문화론] 한국의 전통문화(의·식·주 문화, 사회관계를 중심으로)-14
 15  [한국문화론] 한국의 전통문화(의·식·주 문화, 사회관계를 중심으로)-15
 16  [한국문화론] 한국의 전통문화(의·식·주 문화, 사회관계를 중심으로)-16
 17  [한국문화론] 한국의 전통문화(의·식·주 문화, 사회관계를 중심으로)-17
 18  [한국문화론] 한국의 전통문화(의·식·주 문화, 사회관계를 중심으로)-18
 19  [한국문화론] 한국의 전통문화(의·식·주 문화, 사회관계를 중심으로)-19
 20  [한국문화론] 한국의 전통문화(의·식·주 문화, 사회관계를 중심으로)-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한국문화론] 한국의 전통문화(의·식·주 문화, 사회관계를 중심으로)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목차
Ⅰ. 머리말

Ⅱ. 한국 전통문화의 부정적 측면
1. 의(衣)문화
2. 식(食)문화
3. 주(住)문화
4. 사회관계

Ⅲ. 결론
5. 전통문화에 대한 우리의 생각
본문내용
4) 한국의 전통 쌀떡과 중국의 전통 면식에 대한 문화적 비교
지금까지 쌀을 먹는 사람들은 쌀이 영양가가 높다고 주장하고, 면을 먹는 사람들은 밀가루가 영양가가 높다고 믿는다.
곡류
명칭
칼로리
단백질
지방
탄수화물
칼슘
비타민B1
비타민B2

343
7.7
0.6
76.8
11
0.33
0.08
밀가루
354
9.9
1.8
74.6
38
0.46
20.6


얼핏 보아도 밀가루가 쌀보다 단백질, 지방, 칼슘, 비타민 함량이 높다. 쌀 영양성분이 밀가루보다 높은 것은 탄수화물이다.
밥과 떡을 만드는 식재료인 쌀의 편식은 인체에 필요한 영양분을 골고루 섭취하지 못하게 하는 결과를 초래할 수밖에 없다. 탄수화물의 과다 섭취는 노동에 필요한 일회적인 에너지만을 획들할 수 있을 뿐이다. 나라 백성의 평균 체력이 국력과 정비례함을 인정할 때 지나간 역사 속에서 한국의 국제적 위상이 어떠했을 거라는 건 불을 보듯 뻔하다.


5) 역사가 짧은 김치문화
우리가 알고 있는 오늘날의 형태를 갖춘 김치는 그 역사가 겨우 200년 남짓 밖에 안 되어 전통음식이라 하기에는 부족한 점이 있다. 진정한 의미에서의 김치는 ‘고추와 수산발효식품 결합’에 의해 탄생했다는데 고추가 널리 식용된 것은 18세기보다도 훨씬 뒤늦은 19세기 중엽이다. 김치는 쌀을 주식으로 하는 한국인에게 충분한 칼슘을 섭취하게 하여 신체 성장에 이롭게 할 기회가 될 수 있었지만 아쉽게도 배추와 고추의 한반도 도래가 근대의 일이어서 조선시대 이전 한민족의 체질 개선에는 별 영향을 미치지 못했을 것으로 간주된다.

(3) 포식문화

농업 국가였던 우리나라에서는 새참이 있었다. 새참은 일을 하다가 잠시 쉬는 동안 먹는 음식을 의미한다. 일의 효율을 증진시키기 위해서, 배를 든든하게 만들어 힘을 기르는데 주력을 한다. 때문에, 고봉밥이라는 단어가 나왔을 것이다.
음식을 먹을 때, “많이 먹어라.”가 인사치레로 주고 받는 게 일상적이다. 현대사회에 접어들어 직접 노동은 줄어들고, 기계화가 이루어져서 과거와 달리 열량 소비가 현저하
참고문헌
※ 참고문헌


- 김미자,『고분벽화를 통해 본 고구려 복식에 관한 연구』
- 장혜영,『한국 전통문화의 허울을 벗기다-한·중 문화 심층 해부』, 어문학사, 2010



- 정준현 백영흠 손광제, 『주거와 환경』, 대구대학교 출판부, 1999
- 이심, 『주거의식 주거문화』, 주택문화사, 1988
- 그 외 인터넷 검색 자료 활용


- 박용주, 「우리나라 음주문화와 개선을 위한 정책방향」, 제24회 보건학종합학술대회, 한국보건교육ㆍ건강증진학회, 1999.10, pp. 3~8(6pages)
- 이상길, 「일상적 의례로서 한국의 술자리」, 미디어, 젠더&문화 제 1호, 한국여성커뮤니케이션학회, 2004.4, pp. 39~77(40pages)
- 장혜영, 『한국 전통문화의 허울을 벗기다 : 한·중 문화 심층 해부』, 어문학사, 2010.


- 이종한, 「연고주의가 한국사회의 발전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과 이에 대한 대안의 모색」, 한국심리학회, 1994
- 이효재, 『한국 가부장제와 여성』, 창작과비평사,1996
- 김용신, 『심리학 한국인을 만나다』, 시담, 2010
- 조관일, 『이기려면 뻔뻔하라』, 위즈덤하우스, 2008
- 임태섭, 『정 체면 연줄 그리고 한국인의 인간관계』, 한나래, 1995
- 김상은, 『현대사회와 윤리』, 학문사, 1998
- 김광기, 『대한민국은 도덕적인가』, 동아시아, 2009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