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사회학] 자주 바뀌는 입시제도에 따른 문제점과 해결방안

 1  [교육사회학] 자주 바뀌는 입시제도에 따른 문제점과 해결방안-1
 2  [교육사회학] 자주 바뀌는 입시제도에 따른 문제점과 해결방안-2
 3  [교육사회학] 자주 바뀌는 입시제도에 따른 문제점과 해결방안-3
 4  [교육사회학] 자주 바뀌는 입시제도에 따른 문제점과 해결방안-4
 5  [교육사회학] 자주 바뀌는 입시제도에 따른 문제점과 해결방안-5
 6  [교육사회학] 자주 바뀌는 입시제도에 따른 문제점과 해결방안-6
 7  [교육사회학] 자주 바뀌는 입시제도에 따른 문제점과 해결방안-7
 8  [교육사회학] 자주 바뀌는 입시제도에 따른 문제점과 해결방안-8
 9  [교육사회학] 자주 바뀌는 입시제도에 따른 문제점과 해결방안-9
 10  [교육사회학] 자주 바뀌는 입시제도에 따른 문제점과 해결방안-10
 11  [교육사회학] 자주 바뀌는 입시제도에 따른 문제점과 해결방안-11
 12  [교육사회학] 자주 바뀌는 입시제도에 따른 문제점과 해결방안-12
 13  [교육사회학] 자주 바뀌는 입시제도에 따른 문제점과 해결방안-13
 14  [교육사회학] 자주 바뀌는 입시제도에 따른 문제점과 해결방안-14
 15  [교육사회학] 자주 바뀌는 입시제도에 따른 문제점과 해결방안-15
 16  [교육사회학] 자주 바뀌는 입시제도에 따른 문제점과 해결방안-16
 17  [교육사회학] 자주 바뀌는 입시제도에 따른 문제점과 해결방안-17
 18  [교육사회학] 자주 바뀌는 입시제도에 따른 문제점과 해결방안-18
 19  [교육사회학] 자주 바뀌는 입시제도에 따른 문제점과 해결방안-19
 20  [교육사회학] 자주 바뀌는 입시제도에 따른 문제점과 해결방안-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교육사회학] 자주 바뀌는 입시제도에 따른 문제점과 해결방안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서론
2.제4 • 5차 교육과정에 따른 입시제도
3.제6차 교육과정에 따른 입시제도
4.제7차 교육과정에 따른 입시제도
5.2009개정교육과정에 따른 입시제도
6.결론
본문내용
-지금까지 얼마나 다양하게 입시제도가 변해 왔을까?
제4차부터 제7차까지 알아보겠습니다.
과연 입시제도의 변화가 우리의 삶 속에 어떤 영향을 끼쳐왔을까?
긍정적? 부정적?
그렇다면 입시제도의 어떤 대안들과 발전방안이 있을까?


→ 제4차 교육 과정의 배경

1980. 7.3 교육개혁조치 ‘교육정상화 및 과열과외 해소방안’
현행 교육과정의 문제점 보완(기초교육, 일반교육 강화, 전인교육, 인간교육의 강화)
교육 정상화를 위한 교육 개혁의 추진(교육내용의 양과 수준의 적정화, 과열과외의 잠재요인 제거)
국민 정신 교육의 강화(국민학교 교육목표, 내용의 체계화)

● 교육 과정은 교과와 특별 활동으로 편성한다.

● 교과는 보통 교과와 전문 교과로 한다.
1. 보통 교과는 윤리, 국어, 한문, 수학, 사회, 과학, 체육, 교련, 음악, 미술, 실업 ‧ 가정, 외국어와 교양 선택으로 한다.
가. 보통 교과에는 고등학교의 모든 학생이 이수하는 공통 필수 과목과 각 과정에 알맞게 이수하는 과정별 필수 과목 및 선택 과목을 둔다.
나. 공통 필수 과목은 교육부가 결정하고, 과정별 필수 과목은 시 ‧ 도 교육청이 편성하며, 과정별 선택 과목은 학교가 선택한다.
2. 전문 교과는 농업, 공업, 상업, 수산 ‧ 해운, 가사 ‧ 실업, 과학, 체육, 예술, 외국어에 관한 교과로 한다.
가. 전문 교과에는 교육부가 결정하는 계열별 필수 과목과 시 ‧ 도 교육청이 편성하는 학과별 필수 과목, 학교가 선택하는 학과별 선택 과목을 둔다.
● 특별 활동은 학급 활동, 학교 활동, 클럽 활동, 단체 활동의 4개 영역으로 편성한다.



ㄱ. 3불(不)정책

기여입학제는 대학졸업이 쉽고 어느 대학을 가느냐가 사회적 지위를 크게 결정하는 우리나라의 현실로 보아 우리에게 맞는 제도가 아니라고 생각되며, 참여정부 또한 신분제처럼 부모의 부가 자식의 앞날을 결정짓는 것을 막기 위해 이 제도를 이었다고 생각한다.

참여정부에서 본고사를 인정하지 않은 것은 공교육만으로도 명문대를 입학할 수 있게 하겠다는 의지가 보인다. 참여정부의 의도가 잘 실현되었더라면, 모든 고교가 평등해서 내신만으로도 대학에서 학생을 선발 할 수 있는 사회가 만들어졌을 것으로 생각된다.

고교등급제의 금지 또한 공교육을 모두 평등하게 만들겠다는 의지가 보이는 정책이다. 공교육을 받은 사람은 그 사람이 졸업한 학교의 가치가 아니라 공교육을 받았다는 것에 의미를 부여하는 것으로 파악된다. 따라서 이 제도에는 고등교육의 기회에서는 평등을 이루겠다는 정부의 의지가 보인다고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