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전통문화연구-전통음악(국악) 역사와 박제화, 현대적 재창조

 1  한국전통문화연구-전통음악(국악) 역사와 박제화, 현대적 재창조-1
 2  한국전통문화연구-전통음악(국악) 역사와 박제화, 현대적 재창조-2
 3  한국전통문화연구-전통음악(국악) 역사와 박제화, 현대적 재창조-3
 4  한국전통문화연구-전통음악(국악) 역사와 박제화, 현대적 재창조-4
 5  한국전통문화연구-전통음악(국악) 역사와 박제화, 현대적 재창조-5
 6  한국전통문화연구-전통음악(국악) 역사와 박제화, 현대적 재창조-6
 7  한국전통문화연구-전통음악(국악) 역사와 박제화, 현대적 재창조-7
 8  한국전통문화연구-전통음악(국악) 역사와 박제화, 현대적 재창조-8
 9  한국전통문화연구-전통음악(국악) 역사와 박제화, 현대적 재창조-9
 10  한국전통문화연구-전통음악(국악) 역사와 박제화, 현대적 재창조-10
 11  한국전통문화연구-전통음악(국악) 역사와 박제화, 현대적 재창조-11
 12  한국전통문화연구-전통음악(국악) 역사와 박제화, 현대적 재창조-12
 13  한국전통문화연구-전통음악(국악) 역사와 박제화, 현대적 재창조-13
 14  한국전통문화연구-전통음악(국악) 역사와 박제화, 현대적 재창조-14
 15  한국전통문화연구-전통음악(국악) 역사와 박제화, 현대적 재창조-15
 16  한국전통문화연구-전통음악(국악) 역사와 박제화, 현대적 재창조-16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한국전통문화연구-전통음악(국악) 역사와 박제화, 현대적 재창조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연구목적 및 연구의의

Ⅱ. 본론
1. 전통음악의 특징 및 역사적 성격과 구조
2. 전통음악의 박제화
3. 전통음악의 현대적 재창조 가능성

Ⅲ.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2)전통음악의 역사적 성격과 구조적 특징
전통음악의 특징은 여러 각도의 관점에서 설명할 수 있다. 이제 세 가지 관점으로 전통음악의 특징을 조명해 보고자 한다. 첫째, 전통음악이 역사적으로 어떻게 형성되어 왔느냐 하는 생성적인 측면에서의 특징이다. 둘째, 현행 전통음악이 연주되는 장소에 따라 궁중과 민간생활에서 어떻게 발달했나 하는 것으로 궁중음악과 민간음악의 성격을 밝히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음악 자체의 구조적 특징이다. 그것은 성음이나 장단, 선율, 시김새, 얼개, 형식 등의 문제를 음악적 측면에서 다루어 보는 영역이다.
우선 전통음악의 역사적 성격에 대하여 살펴보겠다. 앞에서도 지적한 바이지만, 우리 민족은 음악을 좋아하고 또 음악을 잘하는 민족이어서 일찍부터 음악을 발달시켰다는 증거는 동이전의 영고나 동맹, 무천 같은 행사기록을 통해서도 알 수 있다. 다른 나라와 음악문화가 만날 경우에 적극적으로 그 음악문화를 받아들였다.
수용하는 태도가 주체이라는 점도 중요하게 지적할 수 있다. 우리가 사용하는 악기를 피리․장구․해금․아쟁 등 극히 민속적인 것까지도 대륙 쪽으로부터 받아들인 것이다. 그러나 그 악기들은 지금 전혀 중국음악을 하지 않고 우리 식 음악을 연주한다. 거문고는 중국에서 보내준 칠현금을 가지고 아예 우리 음악에 맞게 개조하여 새로 만든 악기이다.
악곡을 수용하는 경우에도 앞에서 설명한 , 은 한국화하여 우리 것으로 만들어 수용하고 있다. 심지어 9세기에 받아들인 불교의 의식음악 ‘범패’도 비록 가사는 중국식 한문형식을 그대로 지니고 있지만, 가사의 발음이나 곡조의 음악처리는 완전히 한국식으로 바뀌어져 있다. 이러한 현상들이 외래음악을 수용할 당시부터 그렇게 되었다고 말할 수는 없지만 시대를 거쳐 내려오면서 그렇게 되었다고 할 수 있다. 유교음악도 마찬가지이다. 12세기 송나라로부터 대성아악을 받아들였지만 15세기가 되면 멋진 아악을 중국식 음악어법으로 창작하고 한국식 음악어법으로도 창작하였다. 새로 들어오거나 새로 만들어진 음악들은 기존의 음악들과 공존하면서 차츰 서로간의 거리를 좁혀가게 되는데, 대개 한국식 음악어법으로 표현되는 음악구조로 변한다. 현재의 전통음악은 악기나 음악사상이나 악곡, 가사 등에 이르기까지 외래적인 것이 많지만, 그것들이 모두 한국화하여 전체가 국악이라는 이름으로 하나의 전통음악을 형성하고 있다.

참고문헌
∎참고문헌
백대웅, 「전통음악의 흐름과 역동성」, 보고사, 2006

백대웅, 「한국전통음악의 선율구조」, 대광문화사, 1996

김해숙, 「전통음악개론」, 어울림, 2002

우실하, 「전통음악의 구조와 원리」, 소나무, 2004

이용식, 「한국 전통음악의 전승과 미래」 , 한국공연문화학회 , 2009

전인평, 「(새로운)한국 음악사」, 현대음악, 2000

최종민, 「한국전통음악의 미학사상」, 집문당, 2003

이성천, 「한국의 음악교육을 진단한다」,풍남, 1991

노동은, 「한국민속음악의 현단계」, 세광음악, 1989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