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복지] 북한이탈주민(새터민) 청소년의 한국사회 적응-자아정체성을 중심으로

 1  [사회복지] 북한이탈주민(새터민) 청소년의 한국사회 적응-자아정체성을 중심으로-1
 2  [사회복지] 북한이탈주민(새터민) 청소년의 한국사회 적응-자아정체성을 중심으로-2
 3  [사회복지] 북한이탈주민(새터민) 청소년의 한국사회 적응-자아정체성을 중심으로-3
 4  [사회복지] 북한이탈주민(새터민) 청소년의 한국사회 적응-자아정체성을 중심으로-4
 5  [사회복지] 북한이탈주민(새터민) 청소년의 한국사회 적응-자아정체성을 중심으로-5
 6  [사회복지] 북한이탈주민(새터민) 청소년의 한국사회 적응-자아정체성을 중심으로-6
 7  [사회복지] 북한이탈주민(새터민) 청소년의 한국사회 적응-자아정체성을 중심으로-7
 8  [사회복지] 북한이탈주민(새터민) 청소년의 한국사회 적응-자아정체성을 중심으로-8
 9  [사회복지] 북한이탈주민(새터민) 청소년의 한국사회 적응-자아정체성을 중심으로-9
 10  [사회복지] 북한이탈주민(새터민) 청소년의 한국사회 적응-자아정체성을 중심으로-10
 11  [사회복지] 북한이탈주민(새터민) 청소년의 한국사회 적응-자아정체성을 중심으로-11
 12  [사회복지] 북한이탈주민(새터민) 청소년의 한국사회 적응-자아정체성을 중심으로-12
 13  [사회복지] 북한이탈주민(새터민) 청소년의 한국사회 적응-자아정체성을 중심으로-13
 14  [사회복지] 북한이탈주민(새터민) 청소년의 한국사회 적응-자아정체성을 중심으로-14
 15  [사회복지] 북한이탈주민(새터민) 청소년의 한국사회 적응-자아정체성을 중심으로-15
 16  [사회복지] 북한이탈주민(새터민) 청소년의 한국사회 적응-자아정체성을 중심으로-16
 17  [사회복지] 북한이탈주민(새터민) 청소년의 한국사회 적응-자아정체성을 중심으로-17
 18  [사회복지] 북한이탈주민(새터민) 청소년의 한국사회 적응-자아정체성을 중심으로-18
 19  [사회복지] 북한이탈주민(새터민) 청소년의 한국사회 적응-자아정체성을 중심으로-19
 20  [사회복지] 북한이탈주민(새터민) 청소년의 한국사회 적응-자아정체성을 중심으로-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사회복지] 북한이탈주민(새터민) 청소년의 한국사회 적응-자아정체성을 중심으로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왜 새터민인가?

2. 왜 새터민 청소년인가?

3. 왜 정체성인가?

4. 연구목적

Ⅱ. 이론적배경

1. 자아정체성이란?

2. 적응이란?

3. 영향요인

Ⅲ. 인터뷰 사례(한겨레학교 재직 교사)

Ⅳ. 결론 및 제언

1. 학업 및 학교적응 지원 방안

2. 해체 가정 청소년 보호

3. 사회적 지지체계 형성 (민간차원의 지원방안)

4. 정책 조정

5. 인식변화

6. 이 연구의 제한 및 함의

Ⅴ. 마무리하며..


본문내용

b. 주체의 혁명적 인생관
혁명 투쟁 속에서 사는 것이야말로 가치 있는 삶이라 주장하고 있다. 혁명투쟁의 가치 있는 삶은 근로인민대중을 온갖 구속과 예속에서 해방하는 혁명위업에 복무하는 삶, 즉 근로인민대중의 자주성 실현을 위한 삶이라 강변하고 있다. 이러한 주체의 인생관 핵심은 혁명적 수령관이다. “혁명적 수령관이 주체의 인생관의 핵이라는 것은 수령에 대한 충실성이 주체의 인생관의 진수이라는 것이다. 자주적인 삶을 위한 인민대중의 투쟁은 수령의 현명한 영도 밑에서만 성과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이태건외 공저(2003), 21세기 북한학 특강, 서울;인간사랑, pp.386

북한주민의 생명의 근원은 결국 수령에게 달려있다. 또한 북한사회 전체를 하나의 가정으로 보고, 수령과 당과 인민의 관계를 부모와 자녀의 관계로 설명하고 있다. 이태건외 공저(2003), 21세기 북한학 특강, 서울;인간사랑, pp.386
아버지인 수령의 자녀인 북한 주 민은 수령에 대한 충성과 효성이 제일의 덕목이다.

c. 공산주의적 새 인간형
북한 사회주의 헌법 제43조에서는, “국가는 사회주의교육학의 원리를 구 현하여 후대들을 사회와 인민을 위하여 투쟁하는 견결한 혁명가로, 지덕체를 갖춘 공산주의적 새 인간으로 키운다”고 제시되어 있다. 공산주의적 새 인간에 대한 의미를 .사회주의 교육학에 대하여.에서 다음 과 같이 규정하고 있다. 차종환, (2002), 북한의 교육정책과 명문대학, 서울;평화문제연구소, p. 22
① 공산주의는 놀고 먹는 사회가 아니므로 로동을 사랑하며 즐기며 이에 자각적으로 참여하는 사람, ② 개인주의, 낡은 사 상, 자본주의 사상은 철저히 뿌리뽑고 김일성 유일사상으로 무장된 사람, ③ 자기 개인의 리익을 돌보지 않고 오로지 사회전체를 위해서만 일하는 사람, ④ 공산주의의 승리를 확신하고 어떤 역경 속에서도 혁명적 낙관주의를 갖는 사람 등으로 제시하고 있다.

다. 남한 사람들이 새터민 청소년에 대해 가지는 부정적인 시각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