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DS ii 사례중심학습 -명성대학 병원감염사례를 통한 질향상 접근전략

 1  PDS ii 사례중심학습 -명성대학 병원감염사례를 통한 질향상 접근전략-1
 2  PDS ii 사례중심학습 -명성대학 병원감염사례를 통한 질향상 접근전략-2
 3  PDS ii 사례중심학습 -명성대학 병원감염사례를 통한 질향상 접근전략-3
 4  PDS ii 사례중심학습 -명성대학 병원감염사례를 통한 질향상 접근전략-4
 5  PDS ii 사례중심학습 -명성대학 병원감염사례를 통한 질향상 접근전략-5
 6  PDS ii 사례중심학습 -명성대학 병원감염사례를 통한 질향상 접근전략-6
 7  PDS ii 사례중심학습 -명성대학 병원감염사례를 통한 질향상 접근전략-7
 8  PDS ii 사례중심학습 -명성대학 병원감염사례를 통한 질향상 접근전략-8
 9  PDS ii 사례중심학습 -명성대학 병원감염사례를 통한 질향상 접근전략-9
 10  PDS ii 사례중심학습 -명성대학 병원감염사례를 통한 질향상 접근전략-10
 11  PDS ii 사례중심학습 -명성대학 병원감염사례를 통한 질향상 접근전략-11
 12  PDS ii 사례중심학습 -명성대학 병원감염사례를 통한 질향상 접근전략-12
 13  PDS ii 사례중심학습 -명성대학 병원감염사례를 통한 질향상 접근전략-13
 14  PDS ii 사례중심학습 -명성대학 병원감염사례를 통한 질향상 접근전략-14
 15  PDS ii 사례중심학습 -명성대학 병원감염사례를 통한 질향상 접근전략-15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PDS ii 사례중심학습 -명성대학 병원감염사례를 통한 질향상 접근전략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I. 병원 감염에 대한 명성병원의 접근전략이 맞았는지 틀렸는지를 판단하고 그에 대한 이유를 설명하시오.

√ 병원체와 병원소 관리

√ 법정감염병의 신고

√ 위생 관리

√ 전파과정 관리 - 검역과 격리

√ 숙주관리 - 환자 조기발견 조기 치료

II. 현재 우리나라의 병원 감염에 대한 제도나 관리 시스템을 설명하시오.


1) 병원감염 vs. 의료 관련 감염병

2) 병원감염 관련법

[의료법] 제47조(병원감염 예방)

[의료법 시행규칙] 제43조(감염대책위원회의 설치 및 기능)

[의료법 시행규칙] 제44조(위원회의 구성)

[의료법 시행규칙] 제45조(위원회의 운영)

[의료법 시행규칙] 제46조(위원회의 운영에 필요한 조치)

3) 우리나라의 병원감염 관리 시스템의 현주소

4) 병원별 감염대책위원회 사례

① 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 감염관리위원회의 사례

② 영남대학교병원 감염관리팀의 사례

III. 주요 선진국의 병원 감염 관리

1. 미국
2. 호주

3, 프랑스

4. 영국

5. 일본

IV. 병원 감염에 대한 후진국과 선진국의 제도 및 관리 시스템의 차이를 설명하라

IV. 이러한 차이를 해결할 방안을 제시하시오.

1. 국가 및 지역사회에서의 해결방안
2. 병원규모에서의 해결방안

3. 개인차원에서의 병원 감염 예방의 구체적인 대안 - 어떻게 보면 가장 cost
* Standard Precaution (대원칙)

1) 공기감염

2) 비말감염

3) 접촉감염

본문내용

√ 숙주관리 - 환자 조기발견 조기 치료
이미 감염된 환자나 보균자는 조기 발견 및 조기 치료를 시행함으로써 합병증을 막고 필요한 결기를 시행하여 다른 사람에게 전파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 레지오넬라증의 병원감염은 완전한 제거를 위한 역학조사 및 조절대책이 중요하며 이에 대한 관리대책은 시간 및 비용이 많이 소요되지만, 레지오넬라증이 중증이고 특히 면역저하상태인 환자에게 치명적일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한다면 2차적인 감염 및 재발을 예방하기 위한 관리지침을 세우는 것이 필수이다. 또한 진료 지침의 이행에 대한 평가가 미비해 실제 치료에서 감염에 대한 관리가 이루어지고 있는지 확인하지 않았으며 병원 의료진에 대한 교육도 이행되지 않았다. 무엇보다 가장 큰 문제점은 환자에 대한 관리와 감시가 이루어지지 않았다는 것이다.

√ 이 사례에서 응급환자에 제한하지 않고 입원 환자를 받아들임으로써 병원균 보유 입원 환자와 비보유 환자간의 격리가 효과적으로 이루어 지지 않았다고 볼 수 있다. 입원 진료가 필요한지 불필요한 환자인지를 구분하는 과정을 통해 입원으로 인한 불필요한 병원균에의 노출을 최소화 할 수 있었을 것이라고 사료된다.

√ 이 밖에도 1977년의 최초 감염병 발생에도 불구하고 효과적인 감염병 대응책과 진료지침이 개발되지 않았다는 점에서 감염병의 재발을 막지 못했다는 비난을 피할 수 없게 되었다. 또한, 병원균에 노출되었을 가능성이 높은 의료진과 병원 관계자들에 대한 감염여부의 확인과 감염 방지 교육의 부재도 잘못된 대응으로 지적할 수 있다.

예방의학과 공중보건학, 수정증보판, 대한예방의학회 (계축문화사)
감염병 관리 원칙과 예방접종 P.255~262
병원감염 P.309~3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