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졸업논문] VMI 도입 기업 사례분석을 통한 VMI 성공요인 분석

 1  [졸업논문] VMI 도입 기업 사례분석을 통한 VMI 성공요인 분석-1
 2  [졸업논문] VMI 도입 기업 사례분석을 통한 VMI 성공요인 분석-2
 3  [졸업논문] VMI 도입 기업 사례분석을 통한 VMI 성공요인 분석-3
 4  [졸업논문] VMI 도입 기업 사례분석을 통한 VMI 성공요인 분석-4
 5  [졸업논문] VMI 도입 기업 사례분석을 통한 VMI 성공요인 분석-5
 6  [졸업논문] VMI 도입 기업 사례분석을 통한 VMI 성공요인 분석-6
 7  [졸업논문] VMI 도입 기업 사례분석을 통한 VMI 성공요인 분석-7
 8  [졸업논문] VMI 도입 기업 사례분석을 통한 VMI 성공요인 분석-8
 9  [졸업논문] VMI 도입 기업 사례분석을 통한 VMI 성공요인 분석-9
 10  [졸업논문] VMI 도입 기업 사례분석을 통한 VMI 성공요인 분석-10
 11  [졸업논문] VMI 도입 기업 사례분석을 통한 VMI 성공요인 분석-11
 12  [졸업논문] VMI 도입 기업 사례분석을 통한 VMI 성공요인 분석-12
 13  [졸업논문] VMI 도입 기업 사례분석을 통한 VMI 성공요인 분석-13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졸업논문] VMI 도입 기업 사례분석을 통한 VMI 성공요인 분석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목 차
Abstract
1. 서론
2. 이론적 배경

2.1. SCM
2.2. VMI

1) 공급자
2) 구매자

3. 본론


3.1. VMI 도입 시 주요 고려사항
3.2. 사례 분석

3.2.1. 자동차 및 전자 전기 제품의 부품업 체 (T사의 사례)

1) 제품 선정
2) 협력업체
3) VMI 구축 시스템

3.2.2. 모니터 및 TV 생산업체 “M” 사

1) 제품 선정

2) 협력업체 선정

3) VMI 구축시스템

3.2.3. VMI시스템 사례연구(L사)
1) 제품 선정
2) 협력 업체
3) VMI 구축 시스템

4. VMI 성공요인 도출

4.1. 제품 선정

4.2. 협력 업체

4.3. VMI 구축 시스템

5. 결론 및 향후 과제

5.1. 결론

5.2. 연구의 한계점 및 향후 과제

6. 참고문헌

본문내용
-제품 선정
: Item 선정 기준 설정
-협력 업체
: 협력 업체 발굴, 업체 선정 기준 설정, 협 력업체 정보인프라조사
-VMI 구축 시스템
: VMI 업무 절차 구축, VMI 모듈의 구성안 검토, VMI System 개발, User 교육, initial implementation, VMI System Modification, Live Operation

우리는 이 세 가지를 VMI 추진 절차에서의 주요 고려 요인으로 선정하였다. VMI 도입과정에서 제품 선정, 협력 업체, VMI 구축 시스템을 핵심적으로 고려해야 하며, 각 요인은 VMI 시스템 추진의 성패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3.2. 사례 분석

3.2.1. 자동차 및 전자 전기 제품의 부품업 체 (T사의 사례) “VMI를 활용한 전지전자부품 생산업체의 재고실적 개선사례” (2003. 홍재선, 이미숙, 문석환)


T사는 경북에 위치한 Global Company로, 100% 외국자본에 의해 설립된 회사이며, 자동차 및 전자전기 제품의 부품생산업체이다. 현재 총 인원은520명이고, 생산 직접 인원의 비율은약 70%로 구성되어있다. 그리고 2002년도 매출은1,300억을 기록하고 있고 매년 꾸준한 성장을 지속하고 있다. T사는 매년 예산 계획을 토대로 중장기 사업계획을 수립, 변경하는 사업 계획을 수행하고 그 계획을 토대로 매월 각 기능 부서의장과 최고 책임자에 의한 판매 및 운영계획인 Sales & Operation Planning을 시행하며, 이 과정에서 중장기에 필요한 자원에 대한 검토와 집행이 이루어지도록 되어있다. 그 다음 과정인 MPS의 Input의 하나인 고객 주문과 수요예측 자료가 영업부에 의해 입력되고, 생산기획부는 이 입력된 자료와 시스템에 축적된 과거자료에 대한 비교검토를 통해 MRP/CRP의 결과 값과 비교하여 실제 생산 업무가 진행된다. 생산기획부의 각 프로세스 담당자는 MPS의 값과 과거 사용량에 대한 기록을 토대로 각 공정 제품에 대한 요구에 따라 원자재 및 관련 부품 및 포장재에 대한 수급 계획을 수립하고 실행한다. 구매부서는 생산기획부의 각 담당자로부터의 발주 요청을 토대로 각 원자재 및 부품의 리드타임을 고려하여 발주하고 협력업체는 지정된 납기에 자재를 납품한다. 입고된 자재는 SFC의 Shop Order에 의해 관련 원자재 및 부품/포장재를 불출하여 생산하고, 생산된 제품은 창고에 입고된 후 출하 지시서에 의거고객으로 출하된다.

참고문헌
6. 참고문헌

1. 홍재선, 이미숙, 문석환, VMI를 활용한 전기전자부품 생산업체의 재고실적 개선사례, 경북대학교 경영학부, 2003
2. 김영삼, 송상화, 이동옥, 공급자관리 재고관리 시스템 구축에서의 문제점과 이에 대한 해결방안: 국내 전자제품 생산기업에 대한 사례연구,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pply Chain Management, 2009
3. 김주동, 재고효율 개선을 위한 VMI 시스템 사례연구, 한양대학교 공학대학원 산업 및 정보시스템, 2006
4. 정석봉, 공급 체인 환경하의 VMI 적용 연구, 성균관대학교 과학기술 대학원, 2002
5. 이승우, 김지대, VMI 도입이 기업의 생산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사례연구, 충북대학교 산업경영 연구소, 2007
6. 문성암, 김동요, 육군 훈련소에 대한 전투복 공급체인에서의 VMI 효과에 대한 동태적 분석, 국방대학교 관리 대학원, 2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