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악]구운몽 음악 서사적기능, 공간 역동성, 정서 생리적반응, 비판적접근, 한국음악학, 심상유도 음악프로그램 중년주부의 우울감에 미치는 영향

 1  [음악]구운몽 음악 서사적기능, 공간 역동성, 정서 생리적반응, 비판적접근, 한국음악학, 심상유도 음악프로그램 중년주부의 우울감에 미치는 영향-1
 2  [음악]구운몽 음악 서사적기능, 공간 역동성, 정서 생리적반응, 비판적접근, 한국음악학, 심상유도 음악프로그램 중년주부의 우울감에 미치는 영향-2
 3  [음악]구운몽 음악 서사적기능, 공간 역동성, 정서 생리적반응, 비판적접근, 한국음악학, 심상유도 음악프로그램 중년주부의 우울감에 미치는 영향-3
 4  [음악]구운몽 음악 서사적기능, 공간 역동성, 정서 생리적반응, 비판적접근, 한국음악학, 심상유도 음악프로그램 중년주부의 우울감에 미치는 영향-4
 5  [음악]구운몽 음악 서사적기능, 공간 역동성, 정서 생리적반응, 비판적접근, 한국음악학, 심상유도 음악프로그램 중년주부의 우울감에 미치는 영향-5
 6  [음악]구운몽 음악 서사적기능, 공간 역동성, 정서 생리적반응, 비판적접근, 한국음악학, 심상유도 음악프로그램 중년주부의 우울감에 미치는 영향-6
 7  [음악]구운몽 음악 서사적기능, 공간 역동성, 정서 생리적반응, 비판적접근, 한국음악학, 심상유도 음악프로그램 중년주부의 우울감에 미치는 영향-7
 8  [음악]구운몽 음악 서사적기능, 공간 역동성, 정서 생리적반응, 비판적접근, 한국음악학, 심상유도 음악프로그램 중년주부의 우울감에 미치는 영향-8
 9  [음악]구운몽 음악 서사적기능, 공간 역동성, 정서 생리적반응, 비판적접근, 한국음악학, 심상유도 음악프로그램 중년주부의 우울감에 미치는 영향-9
 10  [음악]구운몽 음악 서사적기능, 공간 역동성, 정서 생리적반응, 비판적접근, 한국음악학, 심상유도 음악프로그램 중년주부의 우울감에 미치는 영향-10
 11  [음악]구운몽 음악 서사적기능, 공간 역동성, 정서 생리적반응, 비판적접근, 한국음악학, 심상유도 음악프로그램 중년주부의 우울감에 미치는 영향-11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음악]구운몽 음악 서사적기능, 공간 역동성, 정서 생리적반응, 비판적접근, 한국음악학, 심상유도 음악프로그램 중년주부의 우울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구운몽에 있어 음악의 서사적기능
1. 결연과 음악
2. 복선과 음악

Ⅱ. 음악적 공간의 역동성

Ⅲ. 음악에 대한 정서의 생리적반응
1. 뇌파 반응
2. 심장순환계 반응

Ⅳ. 음악분석에 대한 비판적접근
1. 분석의 성격과 역사
2. 형식주의적 분석의 한계

Ⅴ. 한국음악학의 역사

Ⅵ. 심상유도 음악프로그램이 중년주부의 우울감에 미치는 영향
1. 심리치료로서의 GIM
2. GIM의 과정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구운몽에 있어 음악의 서사적기능

에서 활용된 기악은 크게 거문고와 옥퉁소이다. 이 악기는 주요 인물의 성격 창출에 적절히 기능하는 일면, 사건을 유기적으로 조직할 수 있도록 돕는다. 특히 여기에서 활용된 음악은 남녀 주인공의 인성을 적시한 다음에, 그들이 필연적으로 만날 수밖에 없는 운명임을 드러내고 있다. 이른바 천상인으로서의 자질을 음악이 확인시켜 주는 동시에 그 음악을 향유하는 사람들의 뛰어난 인품을 밝혀 그들의 결연을 돕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이 작품에서의 음악은 양소유가 두 정실부인을 만나는 부분에 집중되면서 결연과 복선기능을 담당하고 있다.

1. 결연과 음악

이 작품에서는 음악을 통하여 그 인물됨을 적시한 다음, 그들이 천정배필임을 확인하고는 정혼하기에 이른다.
먼저 양소유는 정경패의 인물됨을 확인하기 위하여 여장(女裝)을 하고 정경패의 집으로 찾아간다. 이어서 정경패와 대면하고는 자신이 익힌 거문고를 탄주하며 그녀의 인물됨을 속속들이 알아낸다. 실제로 그는 예상우의곡, 옥수후정곡, 출새곡, 광릉산, 수선조, 의란조, 남훈곡, 봉구황곡 등을 연주한다. 이에 대하여 정경패는 예상우의곡은 음란하고, 옥수후정곡은 망국조이며, 출새곡은 지조가 없어서 듣기에 좋지 않다고 말한다. 반면에 광릉산은 천하를 맑게 하고, 수선조 및 의란조는 심히 아름다워 듣기에 좋다고 밝힌다. 그러나 마지막 봉구황곡은 여인을 유혹하는 곡조이기에 여장한 창곡을 남자로 의심하게 된다. 양소유는 이와 같은 곡조를 탄주하면서 그 곡조에 해박한 정경패의 인물됨을 파악했으며, 이를 계기로 전란을 평정하고 돌아와 자연스럽게 그녀를 정실부인으로 맞아들인다. 그렇기 때문에 여기에서의 음악은 결연의 매개체로 기능한 경우라 하겠다.
또한 난양공주를 만나는 대목에서도 결연의 장치로 음악인 옥소가 활용되고 있다. 양소유는 장원급제 후 변란을 진압하고는 그 공로로 한림원에서 머물던 중 옥소를 꺼내 분다. 이때 옥소 소리에 맞추어 백학이 내려와 춤을 춘다. 이는 인물의 특별함을 강조하는 장치 중의 하나라 하겠다.
참고문헌
◈ 김정순, 국민학교 4학년 음악교과의 통합적 접근을 위한 수업 방안 연구, 음악교육연구 제14집, 한국음악교육학회, 1995
◈ 서우석, 음악과 현상, 문학과 지성사, 1989
◈ 이홍수, 음악 교육의 현대적 접근, 서울 : 세광음악출판사, 1991
◈ 정세문, 음악과 학습지도, 창지사, 1986
◈ 최병철, 음악치료학, 서울 : 학지사, 1999
◈ J.L.Mursell, 한국음악교재연구회 역, 음악적 성장을 위한 교육, 세광음악출판사, 19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