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학] 사회과학비평(Social-Scientific Criticism)

 1  [신학] 사회과학비평(Social-Scientific Criticism)-1
 2  [신학] 사회과학비평(Social-Scientific Criticism)-2
 3  [신학] 사회과학비평(Social-Scientific Criticism)-3
 4  [신학] 사회과학비평(Social-Scientific Criticism)-4
 5  [신학] 사회과학비평(Social-Scientific Criticism)-5
 6  [신학] 사회과학비평(Social-Scientific Criticism)-6
 7  [신학] 사회과학비평(Social-Scientific Criticism)-7
 8  [신학] 사회과학비평(Social-Scientific Criticism)-8
 9  [신학] 사회과학비평(Social-Scientific Criticism)-9
 10  [신학] 사회과학비평(Social-Scientific Criticism)-10
 11  [신학] 사회과학비평(Social-Scientific Criticism)-11
 12  [신학] 사회과학비평(Social-Scientific Criticism)-12
 13  [신학] 사회과학비평(Social-Scientific Criticism)-13
 14  [신학] 사회과학비평(Social-Scientific Criticism)-14
 15  [신학] 사회과학비평(Social-Scientific Criticism)-15
 16  [신학] 사회과학비평(Social-Scientific Criticism)-16
 17  [신학] 사회과학비평(Social-Scientific Criticism)-17
 18  [신학] 사회과학비평(Social-Scientific Criticism)-18
 19  [신학] 사회과학비평(Social-Scientific Criticism)-19
 20  [신학] 사회과학비평(Social-Scientific Criticism)-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신학] 사회과학비평(Social-Scientific Criticism)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목 차
Ⅰ. 사회과학비평과 전제
1. 사회과학이란 무엇인가?
2. 전제와 목적
Ⅱ. 사회과학비평의 배경과 발전
1. 배경
2. 발전
Ⅲ. 사회과학비평의 방법
1. 사회과학비평의 방법
2. 주요한 연구들
3. 게르트 타이센의 사회학적 해석
Ⅳ. 사회과학비평의 실례
1. 친족관계 모델을 통한 예수의 족보 비평
2. 합법성 모델을 통한 누가-행전 비평
3. 지식사회학 모델을 통한 바울서신 비평
4. 원시 기독교 자비 에토스 모델을 통한 행전 20:35절 비평
5. 집단/결속 모델을 통한 금식논쟁 비평
6. 칼 융(K. Jung)의 역동심리학 관점에서 본 사회과학적 비평.
Ⅴ. 사회과학비평의 평가와 전망
1. 장점
2. 단점
3. 전망

본문내용
2. 합법성 모델을 통한 누가-행전 비평 스티븐 헤이네스 & 스티븐 매켄지, 성서비평 방법론과 그 적용


(1) 이론과 모델
에슬러는 누가가 글을 쓴 것은 원래 사회 및 정치적 문제에 대해 발전된 신학적 입장을 적용하기 위해서라는 입장 즉 누가에게는 신학이 우선이고 사회적 혹은 정치적 중요성은 그것에서 파생된 것에 불과하다는 견해를 비판하면서 시작한다. 에슬러의 견해대로 “만일 누가가 신학적인 영역과 사회 및 정치적인 영역을 날카롭게 구분짓지 않고, 그것들을 사실상 서로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보았다면 어찌 할 것인가? 그리고 사회 및 정치적 긴박성이 누가 신학을 구성하는 단순한 요소가 아니라, 누가 신학 형성에 생생한 역할을 하고 있다면 어찌 하겠는가?”
물론 어떤 전통적인 해석은, 그리스도인이 아닌 그리스-로마의 청중을 향한 그리스도교의 변증 혹은, 비슷하게, 그리스도인들을 향한 로마 제국과 지배적인 그리스-로마 문화의 변증이라는 점에서 누가-행전이 직접적으로 정치적인 문제에 관심을 가지고 있다고 주장한다. 에슬러는 누가-행전을 이런 식으로 보는 것을 거부하면서, 누가-행전의 기능은 변증이 아니라 “합법성”이라고 주장한다. 누가는 “자신들의 개종과 전혀 다른 삶의 방식의 수용이 올바른 것이라는 강력한 보장이 필요했던,” 당시의 동료 그리스도인들, 즉 일부의 로마인들을 포함해서, 유대인들과 이방인들을 위해 그리스도교를 합법화시키고자 했다는 것이다.
버거(Peter Berger)와 루크만의 저서들로부터 자신의 합법성의 모델을 취한 에슬러는 “합법성”을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합법성이란 “처음 사회제도가 형성된 후부터 진행되어 온 과정이다. 그 본질에 있어서, 합법성이라는 것은 제도가 그 구성원들에게 설명되고 정당화되는 방식들의 집합체”이다. 이 “합법성”은 다른 신념, 가정, 신화, 혹은 청중이 지닌 “상징적 우주”의 요소들에도 해당되는 것이기 때문에, 지식사회학에서 매우 중요한 개념인 것이다. 에슬러는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참고문헌
[참고문헌]

강성열, 오덕호, 정기철, 『설교자를 위한 성서해석학 입문』,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2002.
송순열, 『성서적 설교를 위한 신약성서 연구 방법론』, 경기도, 오산: 한신대학교출판부, 2004.
소기천 외, 『신약성서개론: 한국인을 위한 최신연구』,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2002.
박창건, 『신약성서주석방법론』, 서울: 목양서원, 1991.
권종선, 『신약성서 해석과 비평』, 대전: 침례신학대학출판부, 2002.
우리사회연구회, 『알기쉬운 사회학』, 대구: 출판 파란나라, 1993.
김해동, 『조사방법론』, 경기도, 파주: 법문사, 1998.
J. 놀란드, 『누가복음』(상), 김경진 역, 서울: 솔로몬, 2003.
Theissen, Gerd. 류호성&김학철 공역, 『복음서의 교회정치학』,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2002.
Theissen, Gerd. (Die) religion der ersten christen : eine theorie des urchristentums, 박찬웅 민경식 역,『기독교의 탄생:예수 운동에서 종교로』,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2009.
Theissen, Gerd. Zur Bibel motivieren, 고원석 손성현 역,『성서,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 서울: 동연, 2010.
Charles Wright Mills, The Sociological Imagination, 강희경&이해찬 옮김, 『사회학적 상상력』, 경기도, 파주: 돌베개, 2007.
요하네스 힐쉬베르거, 서양철학사(상), 강성위 옮김, 대구: 이문출판사, 2000.
스티븐 헤이네스 & 스티븐 매켄지, 『성서비평 방법론과 그 적용』,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2007.
빅터 프랭클, 『죽음의 수용소에서』, 이시형 옮김, 경기도, 파주: 청아출판사, 2006.
조지 오웰, 『1984』, 정회성 옮김, 서울: 민음사, 2004.
김광수, “예수와 유대교 지도자들 사이에 금식을 둘러싼 대립(막 2:18-22)의 사회과학적 해설”『福音과 實踐』32집, (2003.10): 37-63.
정석환, “융의 심리학과 욥기해석,” 『연세대학교 연신원 목회자 하기 신학세미나 강의집』Vol.-No.20 (2000): 235-40.
왕인성, “신약성경의 해석과 사회과학적 비평의 적용,” 『성서마당』신창간6호, (2006.1): 68-77.
박창식, “삭개오의 회개와 로마의 조세 제도,” 『로고스경영연구』제7권 제1호 , (2009.5): 159-88.
서보현, “신체적 콤플렉스에 관한 이해와 극복방안 연구”, 미간행 신학석사학위 논문, 협성대학교, 2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