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소년복지] 청소년 미혼모 교육권에 대한 인식 조사 연구

 1  [청소년복지] 청소년 미혼모 교육권에 대한 인식 조사 연구-1
 2  [청소년복지] 청소년 미혼모 교육권에 대한 인식 조사 연구-2
 3  [청소년복지] 청소년 미혼모 교육권에 대한 인식 조사 연구-3
 4  [청소년복지] 청소년 미혼모 교육권에 대한 인식 조사 연구-4
 5  [청소년복지] 청소년 미혼모 교육권에 대한 인식 조사 연구-5
 6  [청소년복지] 청소년 미혼모 교육권에 대한 인식 조사 연구-6
 7  [청소년복지] 청소년 미혼모 교육권에 대한 인식 조사 연구-7
 8  [청소년복지] 청소년 미혼모 교육권에 대한 인식 조사 연구-8
 9  [청소년복지] 청소년 미혼모 교육권에 대한 인식 조사 연구-9
 10  [청소년복지] 청소년 미혼모 교육권에 대한 인식 조사 연구-10
 11  [청소년복지] 청소년 미혼모 교육권에 대한 인식 조사 연구-11
 12  [청소년복지] 청소년 미혼모 교육권에 대한 인식 조사 연구-12
 13  [청소년복지] 청소년 미혼모 교육권에 대한 인식 조사 연구-13
 14  [청소년복지] 청소년 미혼모 교육권에 대한 인식 조사 연구-14
 15  [청소년복지] 청소년 미혼모 교육권에 대한 인식 조사 연구-15
 16  [청소년복지] 청소년 미혼모 교육권에 대한 인식 조사 연구-16
 17  [청소년복지] 청소년 미혼모 교육권에 대한 인식 조사 연구-17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청소년복지] 청소년 미혼모 교육권에 대한 인식 조사 연구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연구 문제

Ⅱ. 이론적 배경

1. 청소년미혼모의 국내현황

2. 청소년미혼모의 교육권과 교육실태

3. 청소년미혼모와 교육복지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1. 설문 조사

2. 인터뷰

3. 문헌 연구

Ⅴ. 결론 및 제언




본문내용
마지막으로, 청소년 미혼모의 학습권(학교 공교육) 보장 또는 청소년 미혼모 지원방안을 위한 추가 의견이 있으시다면 적어 주시기 바랍니다.

“청소년 미혼모를 다룬 프로그램을 본적이 있는데, 임신을 한 이유로 학교에서 부당하게 퇴학을 강요받는 것을 보고 많은 생각을 하게 되었다. 청소년 미혼모에 대한 사회적 보장 마련이 시급하다”

“청소년 미혼모를 위한 시설의 확충과 미혼모 대안 교육이 시행되어야 한다.”

“사회적 인식 개선을 추진하는 동시에 학교 내에 청소년 미혼모를 위한 시설을 마련한다 ” “사회의 부정적 인식개선이 최우선이다.”
“지역사회의 탁아시설 운영 및 지원비 제공 등의 복지서비스가 마련되어야 한다.”


2) 설문지 문항 간 결과 비교 분석
① 학부모 설문지 5번, 6번(6-1번), 7번, 9번
-> 설문지 5번 문항에 학부모 100%(50명/50명)가 현재 청소년 미혼모의 학습권 보장이 잘 이루어지고 있지 않고 있으며, 청소년 미혼모에게도 교육받을 기본권리가 있기 때문에(36명/50명) 청소년 미혼모의 학교 공교육 보장이 필요하다(50명/50명)고 응답하였다.
그러나 7번 문항 자신의 자녀가 미혼모와 함께 수업을 받는 것에 대해서는 ②함께 들어도 좋지만, 꺼려진다 가 72%(36명/50명)로 가장 높은 비중으로 나타났지만, 9번 문항(귀하의 자녀가 청소년 미혼모라면 학업을 지속시키겠습니까?)에서는 80%(40명/50명)가 학업을 지속시키겠다고 응답한 것으로 나타났다.
청소년 미혼모의 학습권 보장이 필요하다고 동의하지만, 자신의 자녀와는 함께 수업을 듣는 것은 꺼려하고, 자신의 자녀가 청소년 미혼모라면 학교 공교육을 계속 지속시키겠다는 점에서 학부모들의 다소 이중적인 모습을 볼 수 있었다.

②교사 설문지 2번, 6번(6-1번), 8번, 10번

참고문헌


1) 서적
김유경(2006). 미혼모의 출산 양육환경 개선을위한 사회적 지원방안. 서울:한국보건사회연구원.
대한사회복지회(2006). 별을 보내다: 10대 미혼모들의 이야기. 서울:리즈앤북.
서울시 늘푸른여성지원센터(2008). 청소년양육미혼모의 삶과 미래 : 청소년 양육미혼모 실태조사 보고. 서울 : 서울특별시 늘푸른여성지원센터.
신학용(2006). 청소년정책 개선방향과 정책제안. 서울:신학용의원실.
여성가족부(2006). 서면답변자료 :제262회 국회(정기회)국정감사 여성가족위원회 (2006.11.2). 서울:여성가족부.
이소희(2001). 여성복지. 서울:형설출판사.

2) 정기간행물
남부현(2010). 십대 미혼모를 위한 미국의 사회복지 체계와 서비스 그리고 한국적 활용 방안에 관한 연구. 농촌지도와개발, 17(1).
백욱현(2008). 청소년의 10대 미혼모에 대한 태도와 사회복지 관점의 인식. 청소년학연구, 15(7).
변귀연·김혜래·이상희(2009). 청소년 미혼모와 그들의 교육권에 대한 교사의 인식. 청소년복지연구, 11(1).
조아미(2006). 십대 부모 청소년(리틀맘) 증가의 원인과 대책. 오늘의 청소년, 22(3).

3) 학위논문
김미령(2010). 청소년 미혼모 사회교육현황 및 Community Dance 적용연구. 경성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김영숙(1998). 미혼모의 교육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김은희(2009). 미혼모 복지정책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한성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장화숙(2008). 미혼모 지원정책 연구. 서강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정다영(2010). 청소년 미혼모의 기본권 보장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4) 보도자료
국가인권위원회(2010.03.16). 청소년미혼모 학습권 보장 토론회.
여성신문(2010.03.12). http://www.womennews.co.kr/news/437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