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 특성이 학업 수준에 미치는 영향 연구 -사교육 의존도가 낮은 학교를 중심으로

 1  학교 특성이 학업 수준에 미치는 영향 연구 -사교육 의존도가 낮은 학교를 중심으로-1
 2  학교 특성이 학업 수준에 미치는 영향 연구 -사교육 의존도가 낮은 학교를 중심으로-2
 3  학교 특성이 학업 수준에 미치는 영향 연구 -사교육 의존도가 낮은 학교를 중심으로-3
 4  학교 특성이 학업 수준에 미치는 영향 연구 -사교육 의존도가 낮은 학교를 중심으로-4
 5  학교 특성이 학업 수준에 미치는 영향 연구 -사교육 의존도가 낮은 학교를 중심으로-5
 6  학교 특성이 학업 수준에 미치는 영향 연구 -사교육 의존도가 낮은 학교를 중심으로-6
 7  학교 특성이 학업 수준에 미치는 영향 연구 -사교육 의존도가 낮은 학교를 중심으로-7
 8  학교 특성이 학업 수준에 미치는 영향 연구 -사교육 의존도가 낮은 학교를 중심으로-8
 9  학교 특성이 학업 수준에 미치는 영향 연구 -사교육 의존도가 낮은 학교를 중심으로-9
 10  학교 특성이 학업 수준에 미치는 영향 연구 -사교육 의존도가 낮은 학교를 중심으로-10
 11  학교 특성이 학업 수준에 미치는 영향 연구 -사교육 의존도가 낮은 학교를 중심으로-11
 12  학교 특성이 학업 수준에 미치는 영향 연구 -사교육 의존도가 낮은 학교를 중심으로-12
 13  학교 특성이 학업 수준에 미치는 영향 연구 -사교육 의존도가 낮은 학교를 중심으로-13
 14  학교 특성이 학업 수준에 미치는 영향 연구 -사교육 의존도가 낮은 학교를 중심으로-14
 15  학교 특성이 학업 수준에 미치는 영향 연구 -사교육 의존도가 낮은 학교를 중심으로-15
 16  학교 특성이 학업 수준에 미치는 영향 연구 -사교육 의존도가 낮은 학교를 중심으로-16
 17  학교 특성이 학업 수준에 미치는 영향 연구 -사교육 의존도가 낮은 학교를 중심으로-17
 18  학교 특성이 학업 수준에 미치는 영향 연구 -사교육 의존도가 낮은 학교를 중심으로-18
 19  학교 특성이 학업 수준에 미치는 영향 연구 -사교육 의존도가 낮은 학교를 중심으로-19
 20  학교 특성이 학업 수준에 미치는 영향 연구 -사교육 의존도가 낮은 학교를 중심으로-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학교 특성이 학업 수준에 미치는 영향 연구 -사교육 의존도가 낮은 학교를 중심으로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목 차

Ⅰ. 서 론
1. 연구문제
(1) 문제의 제기
(2) 문제의 진술

2. 연구목적

Ⅱ. 선행 연구의 검토
1. 교육이 학업수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이론적 접근
2. 사교육과 공교육이 학업 수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1) 사교육에 관심을 두고 실태 및 영향을 분석한 연구
(2) 학교 효과에 관한 연구
(3) 사교육과 학교효과를 비교한 연구
3. ‘교수-학습’ 변인에 기초한 학교효과에 대한 연구

Ⅲ. 연구 분석틀과 가설의 설정
1. 분석의 틀
2. 가설의 구성
(1) 교수-학습 변인과 학교의 사교육 의존도 특성과의 상관관계 검토
(2) 교수-학습변인이 학업 수준에 미치는 영향 검토

Ⅳ. 연구방법
1. 변수측정 및 구성방법
(1) 변수측정
(2) 측정 도구

2. 분석방법
(1) 교수-학습 변인과 학교의 사교육 의존도 특성과의 상관관계 분석
(2) 교수-학습변인이 학업 수준에 미치는 영향 분석
1) 분석방법
2) 분석모형

[참고문헌]
본문내용
(2) 측정 도구

1) 대학진학률
교육정보 공시서비스를 제공하는 학교알리미(http://www.schoolinfo.go.kr)에서 개별고등학교의 대학진학률 등은 알 수 있으나 개별대학으로의 진학현황은 세부적으로 나와 있지 않다. 따라서 사교육률이 낮으나 진학률이 높은 고등학교에 내부 자료를 요청하여 대학진학률을 구한다.

[표 2] 학교알리미에서의 공시내용


2010학년도
학교명
구  분
졸업자
진학자(등록자)
취업자
**기  타
전문대학
대학교
국외진학

전문대학
대학교
소  계
배문고등학교

382
43
208
0
0
0
251
0
131

0
0
0
0
0
0
0
0
0
합  계
382
43
208
0
0
0
251
0
131
비  율

11.3
54.5
0
0
0
65.7
0
34.3


용산고등학교

585
61
201
0
0
0
262
0
323

0
0
0
0
0
0
0
0
0
합  계
585
61
201
0
0
0
262
0
323
비  율

10.4
34.4
0
0
0
44.8
0
55.2


2) 창의력효과
본 연구는 Torrance가 개발한 창의성 검사 TTCT를 측정도구로 택하였고 김영채(2004)가 번안한 검사요강을 활용하여 창의성 점수를 계산하였다. TTCT는 도형검사(TTCT-Figure A, B형)와 언어검사(TTCT-Verbal A, B형)로 구성되어 있다. 도형검사는 그림 구성하기, 그림 완성하기, 선 그리기의 3가지 활동으로 구성되어 있고, 각각 10분씩 30분의 검사 시간이 소요된다. 이에 대한 평가 요인은 유창성(적절한 반응의 총수), 독창성(반응의 회귀성), 제목의 추상성(종합화 추상화 정도), 정교성(자극 도형에 대한 장식 및 정교화 정도), 성급한 종결에 대한 저항(성급하게 반응을 폐쇄하고 종결시키는 것을 지연시키는 정도)으로 구성된다. 언어검사는 질문하기, 원인 추측하기, 결과 추측하기, 작품 향상시키기, 독특한 용도 가상해보기 등 6가지 활동으로 구성되며, 총 40분의 검사 시간이 소요된다. 언어검사의 평가 요인은 유창성, 독창성, 융통성(서로 다른 범주의 아이디어 수)으로 구성된다.



참고문헌

□ 참고문헌

곽수란 (2006) “인문계 학생의 학업성취 결정요인”, 교육사회학연구 16(2).

곽수란 (2009) “학교특성이 학업성취에 미치는 효과”, 한국교육학연구 제47권 제3호.

구병두 (2001) “교수-학습 관련 변인이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메타분석”,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한국농업교육학회지, 33(2).

김광억(2003) “입시제도의 변화 : 누가 서울대학교에 들어오는가?”, 한국사회과학. 제25권 제1·2호

김경식(2003) “학교 학업성적에 대한 사교육학습의 효과”, 교육사회학 연구 13(3), 21-42쪽.

김미란 외(2008) “사교육 의존도가 낮은 학교특성 분석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김미숙 외(2007a) “사교육 실태조사 및 사교육비 경감방안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김미숙 외(2007b) “고교-대학 연계를 통한 대입전형연구(Ⅳ): 대입준비과정에서의 학교의존도”, 한국교육개발원.

김일혁‧강상진(2005) “고등학생의 수학성취도와 가정배경 요인의 구조적 관계 분 석”, 한국교육 32(4), 193-222쪽.

김태일 (2005) “고등학교 때 사교육이 대학 학업 성취도에 미치는 효과 분석: 사교 육의 ‘인적자본효과’와 대학진학효과‘에 대한 논의”.

노국향․박정․강상진 (2001) “학업성취도 국제 비교 평가에 근거한 학교 교육 효 과 분석 및 개선 방안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류방란‧김성식(2006) “교육격차: 가정배경과 학교교육의 영향력 분석”, 한국교육개 발원.

박성호․김기석 (2009) “ ‘지각된’ 수업 특성이 중학생의 수학 성적 향상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육 36(1).

반상진‧정성석‧양성관(2006) “사교육이 학습성취에 미치는 영향 분석”, KEEP 학술 대회 논문집 493-527쪽.

배용득(2003) “학교장 수업지도성, 학교풍토, 수업조직화가 고등학생의 학업성취도 에 미치는 공분산 구조 분석”, 교육행정학연구 21(2), 31-54쪽.

상경아‧백순근(2005) “고등학생의 수학 사교육이 학업성취도, 태도, 자기조절학습에 미치는 영향”, 교육평가연구 18(3), 39-57쪽.

성기선(1997) “고등학생들의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학교효과 탐색”, 교육사회학연구 7(4), 189-204쪽.

송준종(2004) “교육공간으로서 강남(江南) 읽기 : 교육정책에 주는 함의 ”, 교육사회학연구. 제14권 제3호.

오영수․윤영식 (2003) “일반계고등학생의 성적결정 요인 분석”, 교육재정경제연구 12권 1호. 33-56.

이명헌‧김진영(2006) “사교육의 학습성취도 향상 효과에 관한 연구”, KEEP 학술대 회 논문집 431-442쪽.

이수정(2007) “명문대 중심 대입관과 사교육비 지출간의 관계분석: 사교육 원인에 대한 사회심리적 접근”, 교육행정학연구 25(4), 455-484쪽.

이종태, 김양분, 이인효, 윤초희, 성기선, 김미숙 (2002)
“선행학습 효과에 관한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연구보고서 CR2002-05.

이해명 (2001) “사교육의 교육적 효과”, 한국교육포럼 제3차 교육문제 세미나, 한국교육개발원.
전우홍‧양정호(2005) “학교선택요인이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육고용패널의 위계적 선형모형 연구”, 교육재정경제연구 14(2), 109-135쪽.

최상근 외(2003) “사교육 실태 및 사교육비 규모 분석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최승현 외(2005). “교수-학습 상황과 주요 변인 분석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한대동, 성병창, 길임주(2001) “고등학생 학업성취에 대한 학교효과와 과외효과의 비교연구”, 교육사회학연구 11(1). 33-54.

Borich G. D. (1990) “Observation skills for effective teaching” Columbus: Merril Publication.

Greemers, B. P. M. (1994) “The Effective Classroom” LondonL Cassell.

De Jong, R., Westerhof, K. J. & Kruiter, J. H. (2004) “Empirical Evidence of a Comprehensive Model of School Effectiveness: A Multi level Study in athematics in the 1st year of Junior General Education in the Netherlands” School Effectiveness and School Improvement, 15(1), 3-31.

Driessen, G. & Sleegers, P. (2000) “Consistency of Teaching Approach and Student Achievement: An Empirical Test” School Effectiveness and School Improvement, 11(1), 57-79.

Reezigt, G. J., . Guldemond, & B. P. M. Greemers (1999) “Empirical Validity for a Comprehensive Model on Educational Effectiveness” School Effectiveness and School Improvement, 10(2), 193-216.